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한상소식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검색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비즈니스 정보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산업∙경제 이슈
게시글 검색
산업,경제,마케팅 자료에 대한 정보제공
산업자료
전체
산업/기술일반
전자/정보통신
화학/바이오
서비스/기타
경제자료
전체
국내경제
해외경제
금융
마케팅자료
전체
검색
보기조건 갯수 선택
10개 보기
20개 보기
30개 보기
105/127
페이지
(전체 1263)
검색분류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9년 1월
□ 해외경제 ○ 미국은 2018년 11월 생산 확대와 소비 둔화 등 실물지표들이 부문 간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체감지표들도 부문 간 혼조세 시현 ○ 일본은 2018년 10월 실물지표들이 동반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월의 자연재해 영향이 완화되었음을 시사 ○ 유로권은 역내 실물지표들이 증가세로 전환된 반면, 경기체감지수가 2017년 5월 이후 최저치로 하락(9월 110.9 → 10월 109.7) ○ 중국은 2018년 11월 생산과 소비 증가율이 각각 2016년 2월과 2003년 5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지는 등 내수 부진이 심화되었고, 수출도 한 자릿수 증가율(2018.3월 이후 최저치)로 하락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2018년 11월 전 산업 생산 감소 전환, 소비 연속 증가, 투자 감소 ○ 취업자 수 : 2018년 11월 전 산업 취업자 수, 전년 동월비 0.6% 증가 ○ 물가 : 2018년 12월 소비자물가, 전월비 0.3% 하락, 전년 동월비 1.3% 상승 ○ 2018년 11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 규모 소폭 확대, 1월 초(1.2~1.10) 금리 보합 및 원/달러 환율 소폭 하락 ○ 2018년 수출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6,055억 달러, 수입은 11.8% 증가한 5,350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705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2018년 11월 제조업 생산 : 전년 동월비 0.1% 증가, 전월비 1.9% 감소 ○ 자동차 : 기저효과에 따른 내수 및 수출 동반 상승 ○ 조선 : 2018년 11월 모든 지표 전년 동월비 증가 지속 □ 서비스산업 ○ 생산 : 11월 서비스산업 전체 생산, 전년 동월비 1.0% 증가 ○ 고용 : 12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전년 동월비 7만 명(0.4%) 증가 ○ 서비스 : 11월 서비스수지 22억 9천만 달러 적자 원문 보기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9년 1월
[ 산업자료 ] [ 산업/기술일반 ] KIET | KIET | 2019.02.18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9년 2월 1호
□ 해외경제 : 美 정부 셧다운 재개 우려 고조, 中 2018년중 6.6% 성장 □ 국내경기 : 12월 전산업생산 전월비 감소 지속, 소비 증가, 투자 감소 □ 금 융 : 12월 기업대출 감소·가계대출 증가세 유지, 2월 초(2.1~2.11일) 금리 약보합 및 원/달러 환율 상승 □ 산업별 동향 : 12월 제조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전년동월비 증가 □ 고 용 : 12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0.1% 증가 □ 수출입 : 1월 수출 -5.8%, 수입 -1.7%, 무역흑자 13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9.02.14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9년 1월 2호
□ 해외경제 : 美 정부 셧다운 장기화 우려, 中 2018년중 6.6% 성장 □ 실물경기 : 2018년 실질GDP 2.7% 성장, 11월 전산업생산 감소 전환 □ 금 융 : 12월 기업대출 감소·가계대출 증가세 유지, 1월 중순(1.14~1.24일) 금리 및 원/달러 환율 상승 □ 산업별 동향 : 11월 제조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증가세 크게 둔화 □ 고 용 : 12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0.1% 증가 □ 수출입 : 2018년 수출 +5.5%, 수입 +11.8%, 무역흑자 700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9.01.30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9년 1월 1호
□ 해외경제 : 연준 25bp 금리 인상, 2019년도 금리 인상 횟수 하향 □ 실물경기 : 11월 전산업생산 감소 전환, 소비 증가 지속, 투자 감소 □ 금 융 : 11월 은행의 기업대출 및 가계대출 증가세 유지, 1월 초(1.2~1.10일) 금리 보합, 원/달러 소폭 하락 □ 산업별 동향 : 11월 제조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증가세 크게 둔화 □ 고 용 : 11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0.6% 증가 □ 수출입 : 2018년 수출 +5.5%, 수입 +11.8%, 무역흑자 705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9.01.22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8년 12월
□ 해외경제 ○ 미국은 지난 10월 생산 둔화와 소비 증가 등 실물지표들이 부문 간 혼조세를 보인 데 이어 체감지표상으로도 혼조세가 완연 ○ 일본은 9월 실물지표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3분기 성장률이 소비와 투자의 동반 감소 여파로 전기비 -0.6%까지 떨어지고, 유로권도 역내 최대 경제국인 독일의 마이너스 성장 영향 등으로 3분기 성장률이 0.2%로 하락 ○ 중국은 10월 생산과 투자가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전월보다 확대된 반면에, 소비는 다시 8%대 중반까지 떨어지면서 5개월 만에 증가율이 최저치 기록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10월 전 산업 생산 소폭 증가, 소비·투자 증가 ○ 취업자 수 : 10월 전 산업 기준 전년 동월비 소폭 증가세 유지 ○ 물가 : 11월 소비자물가 전월비 0.7% 하락, 전년 동월비 2.0% 상승 ○ 10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규모 소폭 확대, 12월 초(12.3~12.7) 금리 상승 및 원/달러 환율 하락 ○ 11월 수출은 전년 동월비 4.5% 증가한 519억 달러, 수입은 11.4% 증가한 468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51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10월 중 전년 동월비 11.1%, 전월비 0.8% 증가 ○ 자동차 : 내수 및 수출 모두 소폭의 하락세로 반전 ○ 조선 : 생산 및 수출입 지표 모두 큰 폭 증가로 전환 □ 서비스산업 ○ 생산 : 10월 생산, 전년 동월비 5.4% 증가 ○ 고용 : 10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전년 동월비 2만 5천 명(0.1%) 증가 ○ 서비스 : 10월 서비스수지 22억 2천만 달러 적자
[ 산업자료 ] [ 산업/기술일반 ] KIET | KIET | 2019.01.21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12월 2호
□ 해외경제 : 연준 25bp 금리 인상, 내년도 금리 인상 횟수 하향 □ 실물경기 : 10월 전산업생산 소폭 증가 전환, 소비·투자 동반 증가 □ 금 융 : 11월 은행의 기업대출 및 가계대출 증가세 유지, 12월 중순(12.10~12.24일) 금리 상승, 원/달러 환율 하락 □ 산업별 동향 : 10월 제조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증가 전환 □ 고 용 : 11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0.6% 증가 □ 수출입 : 11월 수출 +4.1%, 수입 +11.5%, 무역흑자 49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9.01.08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8년 11월
□ 해외경제 ○ 미국은 9월 중 생산과 소비 등 실물지표들이 소폭 증가하고, 체감지표들이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면서 지표상으로는 양호. 지난 3분기 중 개인소비 등의 확대에도 순수출 등의 감소 전환 영향으로 전기비 성장률이 3.5%로 하락 ○ 일본은 8월 중 생산과 소비가 동반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IMF가 최근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1%로 상향. 유로권은 생산 증가와 소비 감소 등 실물지표들의 혼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IMF는 올해 전망치를 2.0%로 하향 ○ 중국은 9월 생산 증가율이 2016년 2월(5.4%) 이후 최저치로 떨어진 반면, 소비는 전월보다 좀 더 확대, 수출은 다시 두 자릿수 증가율을 회복. 3분기 경제성장률은 소비와 투자 등 내수둔화 여파로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치(6.5%)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3분기 실질GDP 전기비 0.6%, 9월 전 산업 생산 감소 전환 ○ 취업자 수 : 9월 전 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소폭 증가 ○ 물가 : 10월 소비자물가 전월비 0.2% 하락, 전년동월비 2% 상승 ○ 9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폭 축소, 11월 초(11.1~11.9) 금리 상승 및 원/달러 환율 하락 ○ 10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22.7% 증가한 550억 달러, 수입은 27.9% 증가한 484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66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9월 중 전년동월비 8.9%, 전월비 2.1% 감소 ○ 자동차 : 개별소비세 인하로 내수 증가 ○ 조선 : 생산과 수입 감소로 전환, 수출은 감소 지속 □ 서비스산업 ○ 생산 : 9월 서비스산업 전체 생산 전년동월 대비 1.4% 감소 ○ 고용 : 9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 대비 1만 7천 명(0.1%) 증가 ○ 서비스 : 9월 서비스수지 25억 1천만 달러 적자
[ 산업자료 ] [ 산업/기술일반 ] KIET | KIET | 2018.12.20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12월 1호
□ 해외경제 : 일본 3분기 성장률 전기비 ?0.6%, 유로존 0.2% □ 실물경기 : 10월 전산업생산 소폭 증가 전환, 소비·투자 동반 증가 □ 금 융 : 10월 은행의 기업대출 및 가계대출 증가 규모 확대, 12월 초(12.3~12.7일) 금리 하락, 원/달러 환율 상승 □ 산업별 동향 : 10월 제조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증가 전환 □ 고 용 : 10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소폭 증가세 유지 □ 수출입 : 11월 수출 +4.5%, 수입 +11.4%, 무역흑자 51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2.14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8년 10월
□ 해외경제 ○ 미국은 지난 8월 생산과 소비 등 실물지표들이 전월에 이어 미약하나마 증가세를 유지한 가운데 체감지표들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경기 여건은 양호. 연준은 9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0~2.25%로 25bp 인상 결정(9.26일) ○ 일본과 유로권은 지난 7월 실물지표들이 전월에 비해 다소 부진한 모습. 일본은 2분기 성장률이 소비 증대와 투자 확대 영향으로 전기비 0.7%로 상향. 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0%와 1.8%로 하향 ○ 중국은 8월 생산과 소비 증가세가 전월보다 약간 더 확대된 반면, 투자 증가율이 통계 집계 이래 최저치(5.3%)로 떨어지고, 수출도 한 자릿수 증가. 중국 인민은행은 지급준비율(RRR)을 15.5% → 14.5%(대형은행 기준)로 1%포인트 인하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8월 전 산업 생산 두 달 연속 증가, 소비 보합, 투자 감소 지속 ○ 취업자 수 : 8월 전 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보합 지속 ○ 물가 : 9월 소비자물가 0.7% 상승, 전년동월비 1.9% 상승 ○ 8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폭 축소, 10월 초(10.1~10.8) 금리 및 원/달러 환율 상승 ○ 9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8.2% 감소한 506억 달러, 수입은 2.1% 감소한 408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97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8월 중 전년동월비 2.0%, 전월비 1.6% 증가 ○ 수출 : 반도체·컴퓨터·석유제품 제외 10개 품목 감소(9월 ○ 자동차 : 추석 연휴에 따른 근무일수 감소로 내수와 수출 부진 ○ 조선 : 생산지표는 개선되었으나 수출은 큰 폭 감소 지속 □ 서비스산업 ○ 생산 : 8월 서비스산업 전체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1.6% 증가 ○ 고용 : 8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 대비 6천 명(0.0%) 증가 ○ 서비스 : 7월 서비스수지 31억 1천만 달러 적자
[ 산업자료 ] [ 산업/기술일반 ] KIET | KIET | 2018.11.26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11월 2호
□ 해외경제 : 일본 3분기 성장률 전기비 -0.3%, 유로존 0.2% □ 실물경기 : 3분기 실질GDP 성장률 0.6%, 9월 전산업 생산 감소 □ 금 융 : 10월 은행의 기업대출 및 가계대출 증가 규모 확대, 11월 중순(11.14~11.23일) 금리 약보합 및 원/달러 하락 □ 산업별 동향 : 9월 제조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감소 전환 □ 고 용 : 10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소폭 증가세 유지 □ 수출입 : 10월 수출 +22.7%, 수입 +28.1%, 무역흑자 65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1.26
처음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지로 이동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