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한상소식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검색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비즈니스 정보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산업∙경제 이슈
게시글 검색
산업,경제,마케팅 자료에 대한 정보제공
산업자료
전체
산업/기술일반
전자/정보통신
화학/바이오
서비스/기타
경제자료
전체
국내경제
해외경제
금융
마케팅자료
전체
검색
보기조건 갯수 선택
10개 보기
20개 보기
30개 보기
106/127
페이지
(전체 1263)
검색분류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11월 1호
□ 해외경제 : 미국 3분기 성장률 3.5%, 중국 6.5%로 하락 □ 실물경기 : 3분기 실질GDP 성장률 0.6%, 9월 전산업 생산 감소 □ 금 융 : 9월 은행의 기업대출 및 가계대출 증가 규모 축소, 11월 초(11.1~11.9일) 금리 상승 및 원/달러 하락 □ 산업별 동향 : 9월 제조업생산 및 서비스업생산 감소 전환 □ 고 용 : 9월 전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소폭 증가 □ 수출입 : 10월 수출 +22.7%, 수입 +27.9%, 무역흑자 66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1.13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8년 9월
□ 해외경제 ○ 미국은 7월 생산이 전월 수준을 유지하고, 소비가 전월보다 더 확대되는 등 실물지표들이 비교적 양호한 흐름이나, 인플레 압력이 점차 강화. 올 2분기 중 설비투자 증가폭의 확대(전기비 8.3%)에 힘입어 성장률이 4.2%로 상승 ○ 일본과 유로권은 지난 6월 중 생산 감소와 소비 증가 등 실물지표들의 부진 및 혼조세가 이어지는 양상. 일본은 2분기 중 소비와 투자 등의 회복에 힘입어 2분기 만에 플러스 성장률을 회복하고, 유로권은 전분기와 동일한 성장률 ○ 중국은 7월 생산 증가세가 전월 수준을 유지한 모습이나, 소비 증가율이 전월보다 낮아지면서 둔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비 2.1%로 4개월 만에 2%선 돌파. 수출은 무역 분쟁 영향에도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지속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2분기 실질GDP 전기비 0.6%, 7월 전 산업 생산 반등 ○ 취업자 수 : 7월 전 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보합 ○ 물가 : 8월 소비자물가 전월비 0.5% 상승, 전년동월비 2.9% 상승 ○ 7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로 전환, 9월 초(9.3~9.7) 금리 보합, 원/달러 환율 상승 ○ 8월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8.7% 증가한 512억 달러, 수입은 9.2% 증가한 443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69억 달러의 흑자를 달성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7월 중 전년동월비 0.8%, 전월비 0.1% 증가 ○ 수출 : 무선통신기기·조선·가전 제외 10개 품목 증가(8월) ○ 자동차 :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에 따른 자동차 내수 증가 ○ 조선 : 전기비 생산 외에 모든 생산지표 하락 추세 지속 □ 서비스산업 ○ 생산 : 7월 서비스산업 전체 생산 전년동월 대비 2.0% 증가 ○ 고용 : 7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 대비 5만 4천 명(0.3%) 증가 ○ 서비스 : 7월 서비스수지 31억 1천만 달러 적자
[ 산업자료 ] [ 산업/기술일반 ] KIET | KIET | 2018.11.02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10월 2호
□ 해외경제 : 중국 3분기 성장률 6.5%, 2009.1분기 이후 최저치 □ 실물경기 : 8월 전산업생산 소폭 증가세, 소비 보합·투자 감소세 □ 금 융 : 9월 은행의 기업대출 및 가계대출 증가 규모 축소, 10월 중순(10.10~10.22일) 금리 및 원/달러 동반 하락 □ 산업별 동향 : 8월 제조업생산 & 서비스업생산 증가세 유지 □ 고 용 : 9월 전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소폭 증가 □ 수출입 : 9월 수출 -8.2%, 수입 -1.6%, 무역흑자 96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1.02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10월 1호
□ 해외경제 : 연준 25bp 추가 금리 인상, 인민은행 지준율 1%p 인하 □ 실물경기 : 8월 전산업생산 소폭 증가세, 소비 보합·투자 감소세 □ 금 융 : 8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세 유지, 가계대출 증가 규모 확대, 10월 초(10.1~10.8일) 금리 강보합 & 원/달러 상승 □ 산업별 동향 : 8월 제조업생산 & 서비스업생산 증가세 유지 □ 고 용 : 8월 전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보합 지속 □ 수출입 : 9월 수출 -8.2%, 수입 -2.1%, 무역흑자 97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1.02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9월 2호
□ 해외경제 : 日 2분기 성장률 수정치 0.7%, ECB 성장률 전망치 하향 □ 실물경기 : 7월 전산업생산 소폭 증가, 소비 증가·투자 감소 지속 □ 금 융 : 8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세 유지, 가계대출 증가 규모 확대, 9월 중순(9.10~9.20일) 금리 강보합 & 원/달러 하락 □ 산업별 동향 : 7월 제조업생산 & 서비스업생산 동반 증가 □ 고 용 : 8월 전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보합 지속 □ 수출입 : 8월 수출 +8.7%, 수입 +9.2%, 무역흑자 69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0.01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9월 1호
□ 해외경제 : 일본 2분기 성장률 전기비 0.5%, 유로권 0.4% 성장 □ 실물경기 : 7월 전산업생산 소폭 증가, 소비 증가·투자 감소 지속 □ 금 융 : 7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세로 전환, 가계대출 증가 규모 축소, 9월 초(9.3~9.7일) 금리 보합 & 원/달러 상승 □ 산업별 동향 : 7월 제조업생산 & 서비스업생산 동반 증가 □ 고 용 : 7월 전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보합 □ 수출입 : 8월 수출 +8.7%, 수입 +9.2%, 무역흑자 69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0.01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8월 2호
□ 해외경제 : 일본 2분기 성장률 전기비 0.5%, 유로권 0.4% 성장 □ 실물경기 : 2분기 실질GDP 전기비 0.7%, 6월 전산업생산 감소 전환 □ 금 융 : 7월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세로 전환, 가계대출 증가 규모 축소, 8월 중순(8.14~8.23일) 금리 약보합 & 원/달러 하락 □ 산업별 동향 : 6월 제조업생산 감소 전환 & 서비스업생산 증가 지속 □ 고 용 : 7월 전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비 보합 □ 수출입 : 7월 수출 +6.2%, 수입 +16.4%, 무역흑자 69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0.01
KIET 경제 · 산업동향 2018년 8월 1호
□ 해외경제 : 미국 2분기 성장률 전기비 4.1%, 유로권 0.3% 성장 □ 실물경기 : 2분기 실질GDP 전기비 0.7%, 6월 전산업생산 감소 전환 □ 금 융 : 6월 은행의 기업대출 감소세로 전환, 가계대출 증가 규모 축소, 8월 초(8.1~8.7일) 금리 약보합 & 원/달러 상승 □ 산업별 동향 : 6월 제조업생산 감소 전환 & 서비스업생산 증가 지속 □ 고 용 : 6월 전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0.4% 증가 □ 수출입 : 7월 수출 +6.2%, 수입 +16.2%, 무역흑자 70억 달러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KIET | KIET | 2018.10.01
KIET 산업동향 브리프 2018년 8월
□ 해외경제 ○ 미국은 6월 생산과 소비 등 실물지표들이 동반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2분기 전체로는 증가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인 반면, 체감지표들은 소폭 하락. 올 2분기 중 소비와 수출의 동반 확대 영향으로 성장률이 4.1%로 상승 ○ 일본은 5월 생산과 소비가 동반 감소세를 보이면서 실물경기의 약세 흐름을 시사하고, 유로권은 생산 확대와 수출 둔화 등 역내 실물지표들이 혼조세. 유로권의 올 2분기 역내 성장률은 전기비 0.3%로서 전분기보다 소폭 하락 ○ 중국은 6월 생산과 수출 등이 전달보다 증가세가 둔화된 반면, 소비가 3개월 만에 확대되면서 부문 간 혼조세를 시현. 지난 2분기 중 실물지표들이 전분기보다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경제성장률도 전분기보다 약간 낮은 6.7% □ 국내 실물경제 ○ 실물경기 :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비 0.7% 성장, 6월 전 산업 생산 감소, 소비증가, 투자 축소 ○ 취업자 수 : 6월 전 산업 기준 전년동월비 0.4% 증가 ○ 물가 : 7월 소비자물가 전월비 0.2% 상승, 전년동월비 1.5% 상승 ○ 6월 은행의 기업대출 감소, 7월 초(7.2~7.6) 금리 및 원/달러 환율 하락 ○ 7월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6.2% 증가한 519억 달러, 수입은 16.2% 증가한 449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70억 달러의 흑자를 달성 □ 제조업 ○ 제조업 생산 : 6월 중 전년동월비 0.7%, 전월비 0.8% 감소 ○ 수출 : 자동차·조선·가전 제외 10개 품목 증가(7월) ○ 자동차 : 자동차부품 수출 4개월 연속 증가 ○ 조선 : 전기 생산 지표 외에 모든 지표 하락 추세 지속 □ 서비스산업 ○ 생산 : 6월 서비스산업 전체 생산 전년동월 대비 1.7% 증가 ○ 고용 : 6월 서비스산업 취업자 수 전년동월 대비 20만 명(1.1%) 증가 ○ 서비스 : 6월 서비스수지 24억 5천만 달러 적자
[ 산업자료 ] [ 산업/기술일반 ] KIET | KIET | 2018.09.28
2019년 국내외 경제전망
세계경제는 지난해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올 들어서는 미국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의 생산이 둔화되고 경제심리가 위축되는 등 상승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선진국 금리인상으로 경기를 떠받치던 유동성 효과가 점차 사라지고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교역위축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세계경제는 올해 말이나 내년 초부터 하향 흐름으로 돌아설 전망이다. 유럽과 일본의 경기가 이미 둔화되기 시작한 가운데 그동안 세계경제 성장을 주도해 온 미국경제도 내년중 정점을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지만 미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과 통상환경의 악화로 신흥국 경제도 전반적인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 3.8%에서 내년 3.5%로 낮아질 전망이다. 글로벌 경기의 재반등을 가져올 모멘텀이 마땅치 않아 경기하향 흐름은 2~3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세계경제는 2012년 이후 지속된 3%대 성장터널에서 당분간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경기는 세계경기보다 뚜렷한 둔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고용증가세가 거의 멈추면서 체감경기가 크게 악화되어 있다. 국내경제는 세계경제에 앞서 올해부터 하향흐름으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우리경제를 반등시켰던 반도체 경기의 성장추진력이 점차 약화되면서 투자와 수출활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것이다. 세계 반도체 수요 확대 추세는 지속되겠지만 글로벌 공급부족이 해소되면서 지난해와 같은 빠른 단가 상승 및 설비투자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공급부족 현상이 해소되면서 지난 4년간 크게 늘었던 주택투자도 향후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더욱이 지난해 이후 나타나고 있는 급격한 출산율 저하는 인구감소 시대가 앞당기면서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정부는 재정부양책을 확대하며 경기하락 속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우리 경제는 지난해의 일시적 반등국면을 마무리하고 중기적인 하향흐름을 재개할 전망이다.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1%에서 올해 2.8%, 내년에는 2.5%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 부진으로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 중반으로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출산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속도가 빨라지면서 고용둔화 추세는 장기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내년 상반기경 일단락 되는 반면 유럽, 일본의 긴축기조는 점차 강화되면서 달러화는 올해 말 이후 약세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내년 하반기 금리인상이 유력한 유로화의 강세가 예상되며 안전자산 선호로 엔화도 소폭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경기둔화와 저물가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내년까지 한 차례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여 국내 시중금리는 완만한 상승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달러화 가치와 반대되는 흐름을 보여온 원화는 내년 소폭 절상되어 달러당 1,080원 수준이 예상된다. < 목 차 > 1. 세계경제 전망 2. 국내경제 전망 3. 금융시장 전망
[ 경제자료 ] [ 국내경제 ] 경제연구부문 | LG경제연구원 | 2018.09.28
처음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지로 이동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