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한상소식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검색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비즈니스 정보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산업∙경제 이슈
게시글 검색
산업,경제,마케팅 자료에 대한 정보제공
산업자료
전체
산업/기술일반
전자/정보통신
화학/바이오
서비스/기타
경제자료
전체
국내경제
해외경제
금융
마케팅자료
전체
검색
보기조건 갯수 선택
10개 보기
20개 보기
30개 보기
32/127
페이지
(전체 1263)
검색분류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미국 1분기 GDP 성장률 발표와 경기 전망
미국 경제분석국, 2023년 1분기 GDP 성장률 1.1%로 집계 발표 지난 4월 27일 미국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BEA)은 2023년 1분기 미국 GDP 성장률을 속보치(advance estimate)로 집계, 연이율 1.1%로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부터 3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 수치이지만 월스트리트저널, 블룸버그 등 기존 전문가 예측치인 2.0%를 크게 하회하는 수치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분기 성장률을 직전 분기 성장률과 비교해 볼 때 2022년 3분기 GDP 성장률은 3.2%, 4분기 성장률은 2.6%에 반해, 이번 분기 성장률은 그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나 미국 경제성장의 둔화 소식에 대한 현지 언론의 보도가 잇따랐다. <2019~2023 분기별 미국 GDP 성장률> [자료: 경제분석국(BEA)] 소비자 지출은 크게 증가했지만, 기업의 재고 투자는 큰 폭 감소 미국 상무부는 보도자료에서 소비 지출은 증가했지만 기업 투자 부문이 팬데믹 이후 크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GDP 성장률의 추계 내용을 살펴보면, 2023년 1분기 실질 GDP는 주로 소비자 지출 부문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기업의 재고 투자 부분은 큰 폭으로 감소해 소비자 지출의 추가 상승분에 대한 증가 효과가 상당 부분 상쇄됐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소비자 지출 항목(consumer spending)에서는 상품 및 서비스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다. 상품에서는 자동차 및 부품 중심으로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고, 서비스는 의료 및 음식 서비스, 숙박업 중심으로 증가를 기록했다. 그 밖에도 수출, 연방정부 및 주정부 지출, 기업투자 부문도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기업 투자의 둔화는 경제성장 발목을 잡았다. 특히 재고 투자 부문(inventory investment)에서 큰 폭의 감소세가 나타났으며, 주택 투자(housing investment), 수입(imports) 역시 소폭 감소세를 기록했다. 팬데믹 이후 경기 침체를 우려한 기업들의 경영관리 차원의 재고 및 투자 리스크 관리 패턴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 구체적으로는 기업 재고가 2.26%, 미국 기업의 민간 투자가 12.5% 각각 감소했다. <2023년 1분기 항목별 실질 GDP 기여도> [자료: 경제분석국(BEA)] 경제분석국은 이번 발표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4.4%,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4.9%를 포함해 발표했다. 이는 직전 분기인 2022년 4분기 PCE 3.7%, 근원 PCE 4.4%보다 모두 상승한 수치다. 1분기 개인소비지출은 3.7% 증가했는데 이는 2021년 2분기 이후 가장 크게 늘어난 수치이며 지난 4분기에는 1.0% 증가를 기록한 바 있다. 또한 세금과 인플레이션을 감안해 조정한 실질 개인가처분소득(DPI)은 4분기에 5.0% 증가한 데 이어 1분기에도 8.0% 증가를 기록했다고 밝혔으며, 1분기 달러 DPI는 12.5% 증가(직전 분기 8.9% 증가)했는데 주로 보상 및 정부 사회 복지 혜택의 증가와 개인 세금의 감소를 반영했다고 보도자료에서 설명했다. 연준의 계속되는 기준 금리 인상은 소비 지출에 부담, 연내 경기 침체 전망 우려도 현지 언론은 1분기 GDP 성장률 발표 직후 미국 경제의 경제성장 둔화 소식을 잇달아 보도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1분기 GDP가 연준의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 상승의 무게로 점차 둔화세를 보인다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계와 기업들이 투자·지출을 자제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또한 인플레이션과 PCE 지수를 근거로 연준이 다음 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는데, 실제 연방준비제도는 현지 시각 5월 3일, 0.25% 포인트를 인상했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금융 위기 직전인 2007년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연 5.0%~5.25%까지 올랐다. <2019~2023년 1분기 PCE 가격 지수 및 인플레이션 추이> [출처: 경제분석국(BEA), 블룸버그 인용] 월스트리트저널은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률과 금리 인상 속 둔화된 성장세를 보인다고 진단하며, 소비지출과 고용은 강했지만 거듭된 금리 인상에 따른 연말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소비자들이 1월에 비해 2월과 3월 지출을 줄이기 시작했고, 지난달에는 주택 판매와 제조업 생산이 감소한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주택 투자 감소로 인한 1분기 GDP 성장률은 0.17% 감소했으며, 이는 지난 3분기 1.42%나 4분기의 1.2%보다 훨씬 낮은 상황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최근 중견은행 두 곳(SVB, 퍼스트리퍼블릭 등)의 부도에 따른 은행의 경제 스트레스에 주목했으며, 거듭된 금리 인상과 불확실성이 사업주와 소비자에게 모두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보도했다. 뱅크런 움직임이 가계와 기업 대출 조건을 엄격하게 하고, 신용 부분에서도 경제적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경제는 팬데믹 이전 10년 간 매년 2.2%씩 성장한 점을 고려할 때 이번 1.1% 성장은 향후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연준이 공격적인 긴축을 단행했음에도 불구하고 1분기는 소비자들의 지출 증대로 플러스 성장세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트렌드가 계속될지는 미지수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올해는 GDP 성장이 둔화되고 내년에 반등할 것”이라며 보도했고, 경기 침체에 따른 실업률 상승도 함께 전망했다. 계속되는 연준의 금리 인상과 더불어 미국의 금융 안정 정책에 따른 경기 전망에 귀추가 주목된다. 자료: 美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월스트릿저널, 블룸버그 등 현지 언론 보도 및 KOTRA 워싱턴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워싱턴무역관 김준희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10
벨기에 공항·항구를 통해 살펴보는 EU 운송 탈탄소화 동향
- EU, 온실가스 배출량 25%를 차지하는 운송부문의 탄소배출감축 노력 강조- - 브뤼셀 공항, 2026년까지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 혼합 비율 5% 목표 설정 - - 앤트워프항, 탄소포집부터 저장·액화·운반 인프라 구축…유럽 CO2수출 허브로 도약- EU 운송 부문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5%를 차지하며, 에너지, 산업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탄소 배출원으로 꼽힌다. 에너지와 산업 분야에서는 탈탄소화 및 기술개발 노력으로 탄소 배출량이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운송 부문의 탄소 배출량은 항공여객의 증가, 이커머스 발달 등으로 2020년까지 급속하게 증가해왔다. <EU 운송수단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단위: 1990년 배출량=100기준) [자료:유럽환경청(EEA)] EU 운송 부문 탈탄소화 노력 EU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 도달을 위해 운송부문의 탄소배출감축 필요성을 강조하고 관련법 개정 및 신규 법안을 추진 중이다. <EU 운송부문 탈탄소화 관련 법안> [자료: KOTRA브뤼셀무역관] 특히, 항공과 해운 부문의 지속가능한 연료 사용 의무화 및 연료 탄소 집약도 감축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사용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갈 전망이다. 벨기에 브뤼셀 공항과 앤트워프 항구의 친환경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유럽 내 지속가능한 연료 개발 및 탄소감축 인프라 구축 동향을 살펴보도록 하자. 브뤼셀 공항: 지속가능한 항공연료를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사용 2023년 1월 1일, 브뤼셀 항공사는 벨기에 최초로 지속가능한 항공연료를 이용한 항공기로 브뤼셀에서 말라가까지 첫 시범운행을 마쳤다. 현재 EU항공연료의 99%는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 Sustainable Aviation Fuel)는 인프라 교체 없이 기존 항공연료에 혼합하여 사용가능한 액체 드롭인(liquids drop-in)연료를 의미하며, 차세대 바이오연료(advanced biofuel), 이퓨얼(e-fuel)과 같은 합성연료(synthetic fuel)등이 있다.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를 급유 중인 브뤼셀 항공기> [자료: 스타게이트 홈페이지] 이번 시범 운행은 항공부문의 탈탄소화 방안을 연구 개발하는 스타게이트(Stargate)프로젝트의 일부로 21개 이해관계자 참여와 EU집행위의 지원을 받고 있다. 시범운행에 사용된 연료는 핀란드 정유사 네스테(Neste)에서 재생 가능한 폐기물, 폐식용유 등을 사용하여 생산된 SAF를 38% 혼합한 것으로, 벨기에 겐트에 있는 네스트사 혼합 시설에서 CEPS 송유관*을 통해 브뤼셀 공항의 연료저장 시설까지 운반되었다. *중부유럽파이프라인시스템(CEPS; Central Europe Pipeline System): 유럽전역에 연료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송하기 위해 군사목적으로 구축한 NATO(북대서양조약기구)파이프라인 시스템 중 하나로, 현재 유럽 전역 공항 및 육상 교통수단의 연료 공급에 이용 브뤼셀 공항으로 운반된 SAF는 스카이탱킹(Skytanking)사가 개발 중인 완전 전기식 연료 주유기를 사용하여 항공기에 급유되었다. 브뤼셀 공항 CEO인 피터 거버(Peter Gerber)는 “브뤼셀 공항은 벨기에에서 유일하게 파이프라인을 통해서만 항공유를 송유하고 있는 공항이며, NATO의 지원덕분에 SAF를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이용하게 될 수 있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 한다”라고 했다. 브뤼셀 공항을 유럽 허브로 두고 있는 항공사 튜이 플라이(Tui fly) 와 물류기업 DHL은 SAF를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환영의 의사를 표시했다. 최근 EU입법기관은 지속가능한 항공연료(ReFuel EU Aviation)규정에 대해 잠정합의하고, 항공유의 SAF 혼합 비율의무를 2026년 2%, 2030년 6% 으로 점차 확대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브뤼셀 공항은 자체적으로 2026년까지 5% 혼합 목표를 설정하고 SAF로의 전환을 가속화 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수립 당시, 초대형 연료 혼합설비를 구축할 예정이었으나 단순히 SAF생산량을 증대하는 것 보다는 SAF 혼합비율을 높여 나가는 것에 유리한 소규모 혼합시설을 확보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이에 더 많은 SAF 원료를 수집하기 위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가 중인 벨기에 하셀트 대학 등은 설문조사 및 캠페인을 통해 시민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폐식용유 수거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 중이다. <벨기에 폐식용유 수거함> [자료 : Oliobox 홈페이지] 앤트워프 항구: 산업에서 배출된 탄소를 포집해 수출 EU 지속가능한 해운연료(FuelEU Maritime)규정은 항공부문과 달리, 특정연료 사용을 의무화하지 않고 온실가스 함량을 규제함으로써 업계가 자율적인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선택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향후 해운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해운연료뿐 아니라 저탄소배출기술 및 인프라 개발이 촉진 될 것으로 전망된다. 벨기에 앤트워프 항구는 유럽 2위 항구이자, 항만을 따라 유럽 최대 석유화학 클러스터가 자리 잡고 있다. 항구를 통해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과 밀집해 있는 에너지 및 화학 기업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7년 기준 1,865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2019년 말, 앤트워프 항만청(Port of Antwerp)을 포함한 8개 화학 및 에너지 기업*은 대규모 산업단지와 항구가 함께 위치한 지역적 특성을 살려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국경 간 협력 프로젝트 ‘Antwerp@C’를 구성했다. *Air Liquide, BASF, Borealis, ExxonMobil, INEOS, Fluxys 및 Total 산업단지에서 포집된 CO2를 항만 내 파이프라인을 통해 터미널로 이동, 액화한 후 선박이나 파이프라인을 통해 수출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로, 2021년 프로젝트 참가 이해관계자들은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였다. <Antwerp@C Co2 Export Hub 프로젝트> [자료 : 앤트워프-브뤼헤 항구 웹사이트] 앤트워프 내륙 항만을 따라, 포집설비·운송·중간 저장 및 해상적재 시설을 갖춘 CO2 액화 가스 터미널을 완공할 계획이다. 벨기에 인근 해안에는 CO2를 매립할 적절한 지질학적 지층이 없는 관계로 포집된 CO2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이동하거나(CO2TransPorts 프로젝트), 선박을 이용해 북해의 고갈된 유전·가스전으로 수송하여 매립(Northern Lights 프로젝트)되는 등 2가지 경로로 처리된다. 프로젝트를 위한 비용은 유럽 CEF(Connecting Europe Facility)프로그램, 벨기에 플랑드르 지방정부 보조금, 프로젝트 참가기업의 기부금으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앤트워프 항을 통한 CO2 수출은 연간 250만 톤으로 시작해, 2030년까지 1천만 톤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탄소 포집 및 저장을 통해 혁신 프로젝트를 이미 운영 중인 Air Liquide, BASF가 CO2수출 터미널의 첫 고객이 될 예정이다. 이로써, 앤트워프 항은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절반으로 감축하고 유럽 탄소 수출 허브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망 및 시사점 탈탄소화 및 기술개발 노력으로 탄소배출감축이 가시화된 에너지, 산업 부문과 달리 운송부문의 탄소배출량은 도리어 증가해왔다. 운송부문에 대한 유럽연합의 탈탄소화 노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벨기에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것처럼 항공부문에서는 저탄소 항공기체 개발 이전에 지속가능한 항공연료의 사용 확대가 과도기적 대안으로 지목됨에 따라,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항공연료 개발 및 상용화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공유 원료를 수집, 생산, 운반하는 가치사슬 전 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대안 마련이 중시되고 있다. 해운부문에서는 대형선박의 탈탄소화 기술 개발이 쉽지 않은 만큼 항만 인프라의 현대화가 우선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항만의 액화 가스 터미널 설비 개선·확충 외에도, 선박 정박 시 유류발전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육상전원공급설비 설치가 증가할 전망이다. EU 운송부문의 탈탄소화 규제는 유럽경제지역(EEA) 내 출도착하는 국제 항공·선박으로 확대되는 추세임에 따라 관련 규정의 입법현황과 현지 탈탄소화 노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우리 기업의 선진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협력 및 진출 기회를 모색해보아야 할 것이다. 자료원 : 스타게이트, 브뤼셀 공항, 앤트워프-브뤼헤항 홈페이지, 현지 언론 및 KOTRA브뤼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브뤼셀무역관 심은정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09
재편되는 물류망 속 떠오르는 극동러시아
각국의 대러 제재와 대형 국제 선사 및 외투기업의 철수로 인해 물동량이 크게 감소할 것이라는 일각의 비관적인 예측에도 불구하고 2022년 러시아 항만 물동량은 전년 대비 0.7% 증가한 8억 4150만 톤을 기록했다. 위기 상황에서 화주와 운송사들은 신규 협력 파트너 국가를 발굴하고 대체 운송 경로를 개발, 확대해 물류의 흐름이 발트해 등 서부에서 극동, 남북 방향 등 다방면으로 분산되었으며 특히 아시아와 인접한 극동 지역이 러시아 물류에서의 핵심 지역으로 부상했다. 2022년 러시아 해상 물류 동향 2022년 러시아 항만 물동량 8억 4150만 톤 중 건화물, 액체화물의 양은 각각 4억 470만톤(전년대비 –2%), 4억 3680만 톤(+3.4%)으로 비중이 거의 5:5에 가까웠다. 건화물 중 석탄 2억 650만 톤(+1.8%), 컨테이너 화물 4530만 톤(-26%), 곡물 4510만 톤(+6.4%), 철금속 2450만 톤(-15.7%), 미네랄 비료 2420만 톤(+25.1%), 광석 1260만 톤(+6%), 페리 화물 660만 톤(+60%) 순으로 물동량이 많았으며, 액체화물에서는 원유 2억 5600만 톤(+7.5%), 석유 제품 1억 3880만 톤(-5.3%), 액화 가스 3520만 톤(+8.8%), 식품 450만 달러(+8.6%) 순을 기록했다. 화물 유형별로는 수출 화물 6억 6750만 톤(+1%), 수입 화물 3630만 톤(-10.2%), 환적화물 6,070만 톤(-5.9%), 카보타지(연안 운송) 7,700만 톤(+10.7%)을 기록했는데 석유, 가스, 곡물 등을 중심으로 한 수출 화물 비중이 80%에 달했으며 수입 화물은 약 4%의 비중을 차지했다. 수입 화물량은 인플레이션 및 소비 침체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했다. <2022년 러시아 항만 화물 유형별 비중> (단위: 만 톤, %) CLP00003b6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6pixel, 세로 395pixel" src="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477/20230505155710867_ML314ST7.jpg" class="" style=" font-family: Roboto, "Noto Sans KR", sans-serif !important; font-size: 18px !important; width: 557px;"> [자료: PortNews] 항만 유역별로 살펴보면 발트해(-2.9%), 카스피해(-13.9%)에서 물동량이 감소했으며 특히 EU 제재에 따른 상트페테르부르크항의 물동량 감소폭(-37.5%)이 가장 컸다. 대신 극동, 아조프-흑해, 북극 유역의 물동량은 1~4%대 증가했는데 이 중 물동량이 가장 높은 노보로시스크, 보스토치니, 무스만스크, 바니노, 블라디보스톡항 모두 10% 이내의 물동량 성장을 기록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감소한 서부의 물동량을 극동, 아조프-흑해의 주요 항들이 흡수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2022년 러시아 유역(항만)별 물동량> (단위: 만 톤, %) 유역(항만) 물동량(증감률) 비고 발트해 24,550(-2.9) 건화물 9,690(-18.1), 액체화물 14,860(10.4) -우스트 루가항 12,410(13.5) -프리모르스크항 5,710(7.8) -상트페테르부르크항 3,880(-37.5) -비소츠크항 1,600(-5.2) 카스피해 600(-13.9) 건화물 320(21.3), 액체화물 280(-35.1) -마하츠칼라항 300(-30.6) -아스트라한항 250(11.8%) 극동 22,780(1.5) 건화물 15,400(3.5), 액체화물 7,380(-2.3) -보스토치니항 8,230(5.9) -바니노항 3,760(6.4) -블라디보스톡항 3,220(8.9) -나호트카항 2580(-4.1) -프리고로드노예항 1,540(6.3) 아조프-흑해 26,360(2.7) 건화물 12,110(6), 액체화물 14,250(0) -노보로시스크항 14,740(3.3) -타만항 4,280(19.5) -투압세항 2,170(-12) -카프카즈항 1,660(-3.2) -로스토프나도누항 1,500(-3.5) 북극 9,850(4.4) 건조화물 2,940(1.5), 액체화물 6,910(5.7) -무스만스크항 5,630(3.2) -사베타항 2,840(1.6) -바란데이항 590(26.9) -아르한겔스크항 230(-28.7) [자료: PortNews] 2023년 1분기에도 상트페테르부르크항 물동량은 –24.4% 감소한 반면 극동 및 아조프-흑해 연안 항구의 물동량은 각각 6.6%, 18.6% 증가하며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2년 러시아 철도 물류 동향 2022년 러시아 철도 물동량은 전년 대비 3.9% 감소한 13억 5700만 톤으로 해상 물류에 비해 러-우 사태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이 중 국내 운송량은 8억 1730만 톤(+1.1%), 국제 운송량은 5억 3970만 톤(-10.5%)으로 약 6:4의 비율을 기록했으며 국제 운송 중에서 수출은 4억 3130만 톤(-12.5%), 수입은 7150만 톤(-7%), 환적은 3690만 톤(+11%)을 차지하며 수출 물동량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품목별로는 석탄 3억 5440만 톤(-4.6%), 석유 및 석유제품 2억 1600만 톤(-0.7%), 건설 화물 1억 3390만 톤(+5.7%), 철 및 망간 광석 1억 1520만 톤(-4%), 컨테이너 포함 기타 화물 1억 1310만 톤(+1.6%) 순으로 운송 규모가 컸다. <2022년 러시아 철도 화물 유형별 비중> (단위: 만 톤, %) CLP0000578c2d2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89pixel" src="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477/20230505155711200_Q15IONEP.jpg" class="" style=" font-family: Roboto, "Noto Sans KR", sans-serif !important; font-size: 18px !important; width: 508px;"> [자료: 러시아 철도청] 2022년 러시아 전체 철도망의 물동량은 전년 대비 3.9% 감소했으나 극동지역의 모든 주요 철도 노선은 오히려 운송량이 증가하며 반대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크라스노야르스크(+1%), 동시베리아(+2.2%), 바이칼횡단(트랜스 바이칼)(+9.6%), 극동(+7.2%) 등 노선에서 물동량 증가와 동시에 화물 쏠림에 따른 과부하 현상이 나타나는 등 철도에서도 극동 지역의 중요성과 비중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물류 요지로 주목받는 극동러시아 ‘22년 초부터 시행돼 온 서방의 대러 제재는 러시아의 물류 방향을 바꿔놓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항 등 서부 항만이 예전과 같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자 블라디보스톡항 등 동부 항만 및 철도가 대체 경로로 떠올랐으며 2022년 하반기 동부 노선 화물 운송량이 역사상 처음으로 서부 운송량을 추월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 확대도 극동지역 물동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러-중 교역은 2022년 전년 대비 29.3% 증가한 1903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러-인도 교역은 전년 대비 150% 증가하며 350억 달러를 초과했다. 극동 항만 및 철도의 주요 운송 제품은 석탄·코크스로 항만의 경우 물동량의 약 50% 가량을 석탄·코크스가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하지만 2022년 극동 철도 노선 과부하로 인해 석탄·코크스의 선적량은 크게 증가하지 못했으며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석탄·코크스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원유, LNG 등 액체화물도 가격상한제 시행 등 제재로 수출이 어려워지며 큰 물동량 성장을 기록하지 못했다. Shell의 철수 및 Sakhalin-1의 석유·가스 생산량 감소로 인해 De-Kastri 항구 환적량이 대폭 감소했으며, Nakhodka의 Rosneft 항구를 통한 석유 제품 환적량도 감소했다. <2022년 극동 유역 항구 품목별 물동량 비중> (단위: %) [자료: 네벨스코이 해양 주립대학교 물류 연구소, RG.RU] 2022년 극동 지역 물동량 확대를 주도한 것은 수입 화물이었다. 그 중에서도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수입 물동량이 전년과 비교해 약 30% 증가했으며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이었다. 러시아 언론사인 RBC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는 승용차·트럭, 굴삭기, 로더, 크레인, 타이어, 펌프, 컴프레서, 밸브 등의 수입이 증가했다. 한국으로부터는 중고차, 화장품, 윤활유, 의료용기기, 운반하역기기, 타이어 등의 수입 물동량이 증가했으며 일본으로부터는 중고차, 펌프, 엑스·알파·베타·감마·그 밖의 전리선 사용 기기, 고무·플라스틱 가공 기계 등의 수입이 늘었다. 특히 러-우 사태로 현지 신차 생산 및 해외 수입이 중단됨에 따라 주로 한국과 일본으로부터 블라디보스톡항으로의 중고차 수입이 72% 급증했으며 Toyota, Mazda, Nissan, Honda, Subaru, Suzuki 등 일본 브랜드와 현대, 기아 등 일부 한국 브랜드 차량이 각광을 받았다. 이러한 극동지역 물동량 증가는 통계에서도 드러난다. 2022년 극동유역 항구의 총 물동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했고, 특히 컨테이너 처리량은 8.2% 증가한 229만 TEU에 달했으며 항만 가동률이 95~115%을 기록하며 화물 선적·하역 지연 및 선박 입출항 정체로 이어졌다. 블라디보스톡항과 보스토치니항은 2022년말 1~2주 이상 해상에서 접안을 기다리거나 항구에서 하역·선적을 기다리는 선박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철도의 경우도 러시아 전체 물동량이 3.9% 감소할 때, 극동 지역은 오히려 7% 증가한 7000만 톤을 기록했으며, 컨테이너 수송량은 11.6% 증가한 1백만 TEU 이상을 기록했다. 지난 12월 17일에는 역대 최대 일 컨테이너 적재량인 4318 TEU를 기록하기도 했다. <2022년 러시아 극동 철도 주요 품목별 컨테이너 운송 동향> (단위: TEU, %) 품목명 운송량 전년대비 증감률 화학제품 및 소다 172,000 35.6 자동차 및 부품 110,000 37.2 기타 및 그룹 화물 53,000 22.9 어류 35,000 29.3 종이 26,000 50 건설 화물 20,000 19.3 철금속 19,000 5.5 석유 및 석유제품 11,000 80 농기계 3,500 30.9 [자료: 러시아 철도청] 이렇게 증가한 극동 지역 화물량을 소화하고 혼잡을 줄이기 위해 러시아 정부와 물류기업들은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철도에서는 국내외 신규 노선 개시도 진행되었으나 가장 효율적이었던 대책으로는 무개차를 활용한 컨테이너 운송이 꼽힌다. 이 방식은 2022년 가을부터 이용되기 시작돼 현재까지 약 40000 TEU가 운송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무개차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모습> [자료: https://dzen.ru/a/YzNoTUYuwjj-x8La] 무개차를 컨테이너 운송에 활용할 경우 왕복 양방향에 다양한 화물을 컨테이너와 함께 적재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공차율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철도청은 당초 2022년 말까지 시행할 계획이던 무개차를 이용한 컨테이너 운송비 할인 정책을 2023년 말까지 연장하였으며 하루에 3쌍씩 동쪽 방향으로 컨테이너 운송 열차 수도 증편했다. 또한 2023년 상반기까지 극동에서 일 컨테이너 적재를 6~6.5천 TEU까지 확대하는 여러 방안들을 고안할 계획이다. 해상 운송은 발트해 항들을 극동 항들이 점차 대체해 나가고 있으며 유럽 운송 업체들이 떠난 시장을 중국 중소형 운송사 등이 메우고 있다. 극동지역에 운항 중인 노선은 2022년 4분기 기준 약 30여개로 전년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이와 더불어 연해주 수호돌항 석탄터미널(연간 처리능력 12백만 톤)과 캄차트카주 베체빈스카야항 액화천연가스 터미널(연간 처리능력 11백만 톤) 등이 올해 가동을 개시할 경우 극동유역 항만 물동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사점 러-우 사태 이후 서방에서 아시아 및 기타 우호국으로 러시아의 공급망이 재편되면서 동시에 물류망도 재편되고 있으며 극동지역이 물류의 요지로 부상하고 있다.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1분기까지 극동 유역 항만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으며 철도 컨테이너 물동량은 올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25.2% 증가하는 등 극동으로의 물류망 재편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러시아 철도 노선 및 컨테이너 관련 장비의 운반 능력 부족 문제는 단기간 내 모두 해소되기는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올해도 정부의 중점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각국 정부의 수출 통제가 향후 더욱 강화될 경우 극동 지역 물동량에도 추가적인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자료원: PortNews, RG.RU, 네벨스코이 해양 주립대학교 물류 연구소, 러시아 철도청, RZD-Partner, Kommersant, Infranews, 극동러 세관, 극동철도공사, Logirus.ru dzen 페이지, KOTRA 블라디보스톡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08
미 정부 직접공기포집 허브 건설에 35억 달러 투자한다
최근 몇 년 사이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 등을 해결하기 위한 탄소 감축의 문제는 인류의 생존과 더불어 중요한 화두가 됐다. 급변하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즉각적인 탄소 감축의 해결책으로 대기 중의 탄소를 직접 포집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탄소 정책의 하나로 직접공기포집(Direct Air Capture, DAC)기술 연구기술, 설비 확대 지원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직접공기포집(Direct Air Capture, DAC) 기술이란? 직접공기포집(DAC) 이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직접 포집해 농축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말한다.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영구 저장하거나 다양한 제품(음료, 건자재, 합성항공유 등)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Climeworks의 직접공기포집 플랜트> [자료: climeworks] 바이든 정부의 투자 규모 바이든-해리슨 정부의 인프라투자법(the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 Act) 중 지원되는 탄소정책 규모는 약 190억 달러에 달하며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이산화탄소 포집과 감축에 관련된 지원이다. 약 58%에 달하는 지원금이 직접공기포집(DAC) 프로젝트에 쓰일 예정이다. <탄소정책 지원금의 사용> (단위: US$) [자료: Bipartisan Policy Center] 이와 관련해 2022년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약 35억 달러에 달하는 정부지원금을 직접공기포집 허브(DAC Hub) 건설에 쓸 예정이다. 미국 전역에 4군데의 허브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초기 연구 지원과 설계 그리고 건설 운영까지 지원하게 된다. 첫 번째 라운드 펀딩 지원 모집이 지난 3월 마감돼 다가오는 여름에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직접공기포집 허브 건설 제안 지역> [자료: Reuters] 직접공기포집 허브 건설로 인한 경제적 효과 미국 에너지부 제니퍼 그랜홀름(Jennifer M. Granholm) 장관의 말을 인용하면 “바이든 정부의 초당적기반시설법(Bipartisan Infrastructure Law)이 지원하는 새로운 기술은 탄소중립의 미래를 현실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청정에너지 산업 전환으로 인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하는데 미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라고 해 직접공기포집 기술이 기후 문제를 해결하는 것뿐 아니라 경제적인 기회 창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높였다. 직접공기포집 프로젝트로 인해 일어날 일자리는 대략 1메가톤 용량의 직접공기포집시설에서 필요한 인력은 공급 체인의 인력까지 포함 3500명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며 건설 설비 장비공급 등의 주변 산업을 통틀어 30만 개 정도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는 시멘트와 철강 산업의 고용인원은 현재의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허브가 수용되는 지역의 일자리 증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1메가톤 용량의 직접공기포집 허브 1기 건설과 함께 예상되는 고용> (단위: 명) [자료: Rhodium Group] 또한, 직접공기포집시설에 공급되는 자재와 관련된 수요가 급증하면서 현재 640억 달러의 시장 규모가 2050년에는 259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직접 공기 시설에 사용되는 자재 부품 등의 관련 산업, 예를 들어 터빈·상업용 공기 순환기 등에 대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기존의 철강 시멘트 등의 산업에도 새로운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직접공기포집 허브 건설과 함께 예상되는 경제 규모> (단위: US$ 십억) [자료: Rhodium Group]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에 따르면 10여 개의 관련 기업이 기술 개발 중이며, 그중 대표적인 민간 기업은 1) Carbon Engineering, 2) Climeworks, 3) Global Thermostat, 세 곳 정도이다. <주요 DAC 기업 현황> 기업명 Climeworks Carbon Engineering Global Thermostat 위치 스위스 캐나다 미국 시스템 타입 고체 솔벤트 액체 솔벤트 고체 솔벤트 소요 에너지 온도(℃) 80~120 900 105~120 에너지 공급원 비화석연료(지열,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열 등) 탄소포집과정에서 발생하는 천연가스 알려지지 않음 프로젝트 유럽 전역에 15개의 시설을 운영 연간 600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 캐나다에 시범 시설 운영 미국 내에 연간 1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시설 건설 미국 내 150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 가능한 2곳의 시설 보유 투자 2022년 3월 6억5000만 달러 투자 유치 정부와 기업으로부터 총 7천만 달러 유치 2019년 6800만 달러 투자유치 [자료: World Resources Institute] 시사점 우리나라도 4월에 개최된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탄소 포집 기술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 곳에서도 실현 가능한 2030온실 감축 목표를 설립하고 탄소 포집 활용 저장 산업 활성화 및 기술혁신 추진방안이 논의됐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에 대한 지원 및 인력 양성으로 해외사업으로의 확대를 추진해 볼 수 있겠다. 자료: U.S. Department of Energy, Rhodium Group, Reuter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ESG Today, World Resource Institute, Bipartisan Policy Center, Climeworks,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및 KOTRA 뉴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실리콘밸리무역관 김소연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08
국내기업을 위협하는 필리핀의 무역사기
지난 2020년부터 현재까지 마닐라 무역관에 접수된 무역 사기 문의 및 피해 건수는 연평균 100건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필리핀에서 한인 보이스피싱 조직을 이용한 무역 사기로 우리 기업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필리핀 기업 사칭 방식의 무역 사기 시도 개요 한국인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필리핀 기업의 직원이라고 사칭하며 한국 기업들에 접촉해 물류비 혹은 물품비를 횡령하려는 시도가 다수 접수되고 있다. 해당 인물은 사칭 기업의 기업 로고와 사업자 등록증까지 도용해 접근하고 있다. 현재 해당 사기 시도로 인한 피해사례 또한 다수 접수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20개 국내 기업이 필리핀 기업정보 확인 및 사기 시도 정보 공유를 위해 KOTRA 마닐라무역관에 제보 및 문의를 진행하고 있다. 무역사기 수법 주로 필리핀 현지 바이어로 가장해 한국 기업에 접촉하고 있으며 필리핀 기업 담당자(바이어 사칭 인물)이 연락을 담당하며 통관 비용 및 물건 선적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인이 국내 기업에 직접 연락해 신뢰를 주고 있으며 사칭한 기업 명의로 사업자등록증, 명함 등을 함께 전달하고 있다. 보통 수출 초보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스마트팜 등 규모가 작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량의 물품을 구매 희망 이메일을 발송한다. 해당 기업에서 메일을 확인하여 거래가 진행될 경우 제품 구매대금 영수증을 허위로 작성하고 운송을 위해 주로 거래하는 통관기업(한국인, 동일한 사기 조직)이 연락해 통관비용 및 물건 선적을 요구한다. 이후 통관·운송하는 담당자가 운송 스케줄 상 문제를 이유로 비용 송금을 독촉하거나 한국의 유령 물류회사에 제품을 보내도록 유도하고 있다. ㅇ 무역 사기 피해 사례 1 수출 초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국계 무역업체라고 소개한 뒤 대량의 물품 구매를 원한다며 접근하고 있으며 주로 해당 기업의 주력 제품을 구매 요청하고 있다. 거래 요청에 따라 견적서를 보내주면 계약서를 작성해서 회신, 이 때 사기 무역업체에서 선정한 물류회사가 있기 때문에 물류비까지 미리 선입금한다. 이후 위조된 송금 확인증을 발송해 기업을 안심시킨 뒤 업체 물품 대금 및 선입금된 물류비를 재차 강조하며 1~2일 뒤 물류 회사 직원으로 위장한 사람이 선적을 위한 물류비 잔금을 국내기업에 입금하라 종용한다. 물류비가 입금된 후에는 물류업체 및 무역회사 모두 연락이 끊긴다. ㅇ 무역 사기 피해 사례 2 해외 수출 초보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국계 무역업체라고 소개한 뒤 대량의 물품 구매를 원한다며 접근하고 있으며 기업에 접근 후 물품 구매를 위한 견적서를 요청한다. 통상 1000~3000만 원 가량의 제품을 수입하겠다고 하며 물품 구매를 위해 계좌 문의한다. 이후 위조 송금증 및 필리핀 현지 실존 기업의 법인등록증, 세금 납부증명서 등을 전달한다. 또한 선박이 아닌 항공으로 제품을 받길 희망한다며 제품 운송비를 지정된 계좌로 입금하고 한국 유령 물류회사에 제품을 송부하라 요구한 뒤 입금이 완료되면 운송비 및 제품을 편취한다. 필리핀 기업의 일반적인 고용형태 일반적인 필리핀 기업은 한국인과 현지인간의 임금 격차로 한국인을 잘 고용하지 않는다. 필리핀 마닐라 기준 최저임금은 1일 500페소(약 US$ 9, 2023년 4월 US$1=57.4)이므로 한국인을 고용할 여지가 크지 않다. 간혹 글로벌 기업이나 초대형 기업의 경우, 한국인을 고용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업무는 기업 중역 또는 전담자가 담당하므로 필리핀 기업에서 한국인을 통해서 수입 문의를 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필리핀 바이어 및 수입회사 직원인데 한국인이며 비용 선입금이나 빠른 선적을 독촉한다면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통상적인 필리핀 기업들의 무역 대금 지불 방식 일반적으로 무역 거래에 앞서 필리핀 바이어 및 수입 회사는 구입을 희망하는 제품 샘플을 먼저요청하며, 샘플 확인 후에 거래를 제안한다. 통상의 필리핀 기업들은 무역 계약서를 작성하고 선금으로 10%를 우선 납부하며 30일 후 나머지 금액 중 50%를 추가 납부, 60일 후 잔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실질적인 거래가 진행되어도 구매한 제품이 필리핀으로 도착하기도 전에 전체 제품의 구입 비용을 먼저 입금하지 않는다. 이는 대금 납부를 위한 비용 충당 및 거래 기한을 고려한 사항으로 만약 제품을 선적하지도 않았는데 입금을 완료했다고 하면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또한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입금 시 영업일 기준 3~5일이 소요되므로 필리핀 현지 기업이 입금했다고 선적을 독촉한다면, 최소 5일은 기다려 본 뒤에 입금이 확실히 됐는지 확인 후 제품을 선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역 사기 대응 방법 1) 연락처 및 기업 확인 필리핀 기업들도 홈페이지 또는 페이스북 페이지는 구축하고 있어 구글 등 해외 포털사이트를 통해서 바이어가 알려준 현지 기업명을 먼저 검색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인 바이어가 알려준 주소와 현지 기업의 실제 위치가 다른 경우가 많으며 실제 기업 운영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연락을 담당하는 한국인 바이어의 연락처가 001(국제전화 서비스)-63(필리핀 국가번호)-9**-**** 등으로 시작한다면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국가번호 이후의 번호가 9로 시작되면 현지 휴대폰 번호인 바, 회사의 실제 연락처를 가르쳐주지 않고 휴대폰으로만 통화를 유도하는 바이어는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한국 기업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필리핀 기업은 아웃룩이나 기업 이메일을 사용하므로 이메일 도메인에 기업명이 들어가지 않고 gmail, yahoo 등을 사용하는 경우를 주의해야 한다. 2) 무역 사기 피해 발생 시 필리핀 바이어 사칭 바이어를 통해 무역 사기 피해를 본 경우 즉시 한국 경찰서에 신고해야 하며, 입금 직후 무역 사기인지 의심되는 경우 은행에 전화해 온라인 송금 취소를 요청해야 한다. 3) 필리핀 바이어와 거래 전 의심이 가는 경우 KOTRA 해외시장조사 ‘해외 수입업체 연락처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KOTRA 마닐라 무역관(+63-2-8894-4084, manila@kotra.or.kr)으로 문의하는 것을 추천한다. 1. KOTRA 마닐라 무역관 신규 파트너로부터 회사 등록증이나 명함 등을 받으면 실제로 존재하는 업체인지 건실한 업체인지를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무역 거래 전 상대 바이어에 의심이 드는 경우 KOTRA 마닐라 무역관(+63-2-894-4084, manila@kotra.or.kr)으로 연락해 바이어 확인 요청하길 권장한다. 2. KOTRA 해외시장조사 해외수입업체 연락처 확인 서비스 KOTRA의 해외시장조사 서비스 중 해외수입업체 연락처 확인서비스를 통해 문의한 기업의 존재 여부, 대표 연락처 확인 등이 가능하며 신청한 기업당 연간 6개사로 한정적으로 무료 이용 가능하다. 추가 신청 시마다 별도 수수료가 부과되며 조사기간은 신청 후 약 2주가 소요된다. 3. 한국무역보험공사 국외기업 신용조사 서비스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는 해외지사 및 전 세계 신용조사기관과 연계해 해외 소재 기업의 기본정보, 재무 정보 등의 신용조사를 실시한 후 의뢰인에게 신용조사 보고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신용등급평가 정보, 수출보험 이용 정보, 신용조사보고서 원본 및 요약보고서 등이 포함된 보고서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심층 조사가 필요하거나 신용조사에 기타 어려움이 있는 경우 실제 조사 소요 기간이 변동될 수 있다. 시사점 필리핀에 실제 있는 기업명을 사칭한 무역사기 사례가 지속해서 접수되는 만큼 한국 기업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무역사기 의심 사례의 주요 특징은 담당자들이 이메일과 카카오톡 연락을 통해서만 거래를 추진한다는 것이며 전화 통화 시 국가번호 이후 번호가 9로 시작되면 현지 휴대전화 번호(63-9**-****의 경우)이므로 회사의 유선 번호가 아닌 휴대전화로만 통화를 유도하는 바이어는 반드시 의심해야 한다. 또한 기업계정 이메일이 아닌, gmail, yahoo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필리핀 바이어 및 수입 회사는 제품이 도착하기 전에 전체 제품 구입비용을 먼저 입금하지 않음을 참고해야 한다. 계약서를 작성하고 선금으로 10%, 30일 이후 나머지 중 50%, 60일 후 잔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제품을 선적하지도 않았는데 입금을 했다고 하면 의심할 필요가 있다. 자료: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마닐라무역관 김진형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08
파라과이 대선, 산티아고 페냐 집권당 후보 당선
현 집권당인 국민공화당이 대권부터 국회, 지방정권까지 모두 장악 지난 4월 30일(일) 치러진 파라과이 선거에서 현 집권당인 공화국민연합당(Asociacion Nacional Republicana, ANR·일명 콜로라도당) 소속 산티아고 페냐(Santiago Peña) 후보가 중도좌파 성향의 에프라인(Efraín Alegre) 후보를 제치고 대통령 당선인이 되었다. 이 날 선거에서는 대통령 뿐 아니라 상원의원, 하원의원, 주지사도 함께 선출되었는데 모두 공화국민연합당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보수 성향의 국민공화당은 1947년 이후 단 한 번(2008년-2012년)을 제외하고는 정권을 놓친 적이 없었으며 금번 대선의 승리로 다시 한 번 정권 유지에 성공하였다. 신임 대통령은 2023년 8월 15일에 취임할 예정이며 임기는 5년이다. 파라과이 국민, 변화보다 안정 선택 1978년 생인 산티아고 페냐 당선자는 아순시온 가톨릭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미국 콜롬비아 대학에서 행정학을 공부하였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애널리스트로 근무한 바 있으며 파라과이에 귀국해서는 중앙은행 이사회 멤버로 근무한 바 있는 경제통이다. 전임 카르테스(Horacio Cartes) 대통령 재임 시절에는 재무부 장관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대선 직전 여론 조사에서는 산티아고 페냐 후보가 제1야당 대표인 에프라인 알레그레 후보에 밀리고 있다는 결과가 발표된 적도 있지만 결과는 반대로 나타났다. 파라과이의 제1야당인 정통급진자유당(Partido Liberal Radical Autentica, PLRA)은 금번 선거를 앞두고 여러 야당세력을 결집, 야당연합(Concentracion Nacional)을 만들어 대선에 도전했으나 다시 고배를 마시게 되었다. 파라과이 국민은 급격한 변화보다는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금번 대선은 중국과 대만의 대리전 양상으로 번져 국제사회의 관심을 모은 바 있다. 파라과이는 대만과 수교관계를 맺고 있는 13개 국가 중 하나로 전통적으로 친 대만 입장을 표명해 왔다. 이에 반해 제1야당 후보인 에프라인 알레그레 후보는 중국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파라과이의 주요산업은 농업인데 중국과 수교 관계를 맺으면 농산물 수출이 늘어날 것이라는 실리적인 이유를 앞세웠으나 기대 수준의 민심을 얻지는 못 했다. 이로서 파라과이의 친미국, 친대만 노선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급진민족주의 성향의 국민십자군당(Cruzada Nacional) 소속 후보 쿠바스(Paraguayo Cubas) 후보가 22.9%라는 높은 득표율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당초 국민십자군당은 야당연합에 합류하였으나 중도에 탈퇴하였다. 이로 인해 야당 표가 분산되어 대선 패배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있다. <2023 파라과이 대선결과> (단위 : 표, %) 사진 대통령 후보명 소속당 (정당성향) 득표수 (득표율) 산티아고 페냐 Santiago Peña 공화국민연합당 (보수) 1,292,079 (42.7) 에프라인 알레그레 Efraín Alegre 정통급진자유당 (중도진보) 830,842 (27.5) 파라과요 쿠바스 Paraguayo Cubas 국가십자군당 (급진민족주의) 692,663 (22.9) [자료: 파라과이 중앙선관위(Tribunal Superior de Justicia Electoral, TSJE)] 국민공화당, 상원, 하원, 주지사 모두 승리 대선과 함께 치러진 상원의원, 하원의원, 주지사 선거에서도 현 여당인 국민공화당이 승리하였다. 파라과이의 상원의원은 총 45석으로 이 중 공화국민연합당이 23석을 차지하여 근소하기는 하나 절반을 넘겼다. 하원의원은 총 80석인데 이 중 48석이 공화국민연합당 소속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지사 선거에서는 공화국민연합당의 승리가 더욱 두드러졌다. 당선자 17명 중 2명을 제외한 15명이 모두 공화국민연합당 소속이다. 한 가지 눈여겨 볼 것은 수도 아순시온이 속해 있는 센트랄(Central)주는 야당연합이 승리하였다는 것이다. 2022년 당시 센트랄주 주지사였던 우고 하비에르(Hugo Javier Gonzales Alegre)가 부패 혐의로 파면됨에 따라 주민들의 공화국민연합당에 대한 불신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주요 정당별 2023 파라과이 총선 및 지방선거 결과> (단위: 석, 주) 구분 공화국민연합당 야당연합 기타 합계 상원 23 12 10 45 하원 48 23 9 80 주지사 15 2 - 17 [자료: 파라과이 중앙선관위(TSJE)] 산티아고 페냐, 일자리 창출과 물가안정, 복지확대 약속 산티아고 페냐 당선인의 경제 관련 공약 중, 일자리 창출과 물가 안정이 가장 눈에 띈다. 코로나19로 고통을 겪었던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제 분야 외 주요 공약은 최근 파라과이 사회 문제로 대두 되고 있는 약물 퇴치, 건강 및 보건 서비스 확대를 들 수 있다. 1. 무료 보육원: 국가에서 어린 자녀를 돌봄으로서 여성의 근무, 학습 여건 향상 2. 약물 퇴치: 중독자 교육, 재활 지원, 마약 판매원 퇴치 등 약물 퇴치를 위한 전방위적인 정책 3. 복지: 식량, 교육, 건강을 고루 지원하는 프로그램 4. 서민 주택 확대: 모든 국민이 저렴한 가격으로 내 집 마련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 5. 물가 안정: 생활 필수품으로 꼽히는 에너지, 식료품 위주로 가격 안정 정책 추진 6. 50만 일자리 창출: 사회보장기금(Instituto de Previsión Social, IPS)을 강화하여 새로운 일자리 50만개 창출 7. 발전하는 젊은이: 첫 직장을 찾고 있는 젊은 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8. 건강 및 교육: 양질의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형 병원 5개 신설, 원격 의료 투자, 어린이가 더 나은 환경에서 학습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등 추진 전망 및 시사점 올해 파라과이 중앙은행에서 발표한 경제성장률 예상치는 4.5%로 중남미 최고 수준이다. 농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성장에 더해 대통령 당선자의 공약 이행까지 더해진다면 파라과이에서의 비즈니스 기회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티아고 페냐 당선인은 의료와 교육 부분에 대한 투자확대를 예고하고 있어 한국기업에게도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침 파라과이에서 한국산 의료기기와 진단키트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한 가지 눈여겨봐야 할 것은 공공부채이다. 2022년 기준 파라과이의 국가부채는 GDP 대비 36.6%로 높지 않은 편이나 코로나 이전이었던 2019년 22.9% 대비해서는 확연히 높아진 수치이다. 이에 파라과이 재정부에서는 국가부채가 GDP 대비 40%를 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의 환기한 바 있다. 산티아고 페냐 당선자가 재정건정성과 경제개발 프로그램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해 나가는 지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파라과이 중앙선관위(TSJE)의 선거 결과 전송 시스템(TREP), 현지 주요 언론 자료, KOTRA 아순시온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아순시온무역관 서주영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04
2023년 헝가리 경제 동향 - 주요 경제지표를 중심으로
빅토르 오르반 총리는 올해 2월 국정연설에서 2022년이 가장 어려운 한 해였다면, 2023년은 체제 전환 이후 가장 위험한 한 해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는 2가지 새로운 위협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러-우 사태이고 다른 하나는 인플레이션입니다.’라고 말했다. ‘러-우 사태'와 ‘인플레이션’이라는 2가지 위협을 마주한 헝가리의 경제 동향을 주요 경제지표를 통해 살펴본다. GDP 성장률: 2022년 대비 낮은 성장률 예측 2022년 헝가리 경제는 1989-90년 공산주의 붕괴와 체제 변화 이후 6번째로 높은 GDP 성장률(4.6%)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러-우 사태의 장기화와 에너지 가격의 급격한 상승, 금리 상승 및 가뭄 등의 요인으로 인해 경제 상황은 크게 악화되었다. 주요 경제지표에 대한 정부 및 민간의 예측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지난해 말, 헝가리 정부는 2023년 GDP 성장률을 1.5%로 예측하였으며, 올해 수출은 2.8% 증가할 것이라 밝혔다. 지난해의 4.6% 성장률을 고려하였을 때, 올해 성장률 예측치는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이다. 경제분석기관은 정부에 비해 낮은 수준의 GDP 성장률이 기대된다고 하였으나, 1분기 중 여러 분석기관의 2023 GDP 전망치가 0.5%~1% 내외에서 소폭 상향 조정되었다. 헝가리 금융지주회사 Magyar Bankholding은 지난해 말 2023년 GDP 성장률이 0.4%일 것으로 전망했으나, 올해 1월 0.8%로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였다. ING Bank 역시 지난 해 12월 23년 성장률이 0.1%일 것이라 발표하였으나 지난 3월 0.7%로 상향 조정하였다. 다만 대부분의 민간 분석가들은 정부의 1.5% 성장률 전망에 비해서는 성장률이 낮은 수준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경제 분석 기관 헝가리 GDP 성장률 전망> 분석가 – 소속기관 2023 GDP 성장률 전망치(기존 예측치) Gergely Suppan – Magyar Bankholding 0.8% (0.4%) Peter Virovacz – ING Bank 0.7%(0.1%) Orsolya Nyeste – Erste Bank 1.0%(0.2%) [자료 :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종합] 물가상승률: 두자릿수 물가상승률 지속 예상 2023년 1분기 헝가리 물가상승률은 전년 대비 25%로 EU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러-우 사태로 인한 에너지 가격의 상승, 우크라이나 접경국이라는 지리적 위치 및 현지화 가치의 변동성으로 인한 수입재 가격의 상승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헝가리의 2022년 물가상승률은 14.5% 였으며, 식료품 물가상승률은 25%였다. 두 자릿수의 물가상승률은 2023년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헝가리 중앙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3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물가상승률은 25.2%였다. 오르반 총리가 러-우 사태와 더불어 인플레이션을 언급한 것은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계속하여 높은 물가상승률이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2024년까지는 헝가리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치(3%)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 예측에 따르면 2025~2026년에 이르러서야 3%대로 낮아질 것이며, 2023년까지는 연간 15%의 인플레이션이 예상된다. 다만 정부는 2023년 말까지는 물가상승률을 한자릿수로 낮출 것이라 발표하였다. 라이파이젠 은행 경제분석가 Zoltan Török은 올해 상반기까지는 헝가리 물가상승률이 20% 이상을 유지할 것이라고 보았다. 다만 그는 하반기에 큰 폭의 하락이 뒤따를 수 있으며 2023년 12월에 한 자릿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였다. 경제 분석기관들은 일부 제품군의 경우 물가상승률 완화 현상이 더욱 명확히 나타날 것으로 보았다. 러-우 사태의 영향으로 인해 크게 가격이 상승했던 연료를 포함하여, 식품 및 소비재를 위주로 물가상승률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말 일부 완화된다고 하더라도 평균적으로10%대 후반의 높은 물가상승률이 예측되고 있다. <2023년 연간 물가상승률에 경제분석기관의 예측치> 분석가 – 소속기관 연간 인플레이션(%) Gergely Suppan – Magyar Bankholding 17.6 Zoltan Török– Raiffeisen Bank 18.0 Peter Virovacz – ING Bank 19.0 David Nemeth - K&H Bank 18.0 [자료 : vg.hu, ING Bank, portfolio.hu KOTRA부다페스트무역관 종합] 환율: 현지화 가치 일시적 강세 지난해 헝가리 현지통화(HUF, 포린트화)의 가치는 크게 변동하였다. 특히 2022년 5월에 1유로당 약 360포린트였던 EUR/HUF 환율이 22년 10월에1유로당 435포린트까지 치솟으면서 포린트화 가치가 급락하기도 했다. 다만 올해는 포린트화 가치가 다소 안정되었으며 지난해의 약세를 극복하고 강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포린트의 상대적 강세는 주로 국제정세의 개선과 헝가리 국립은행의 엄격한 통화 정책에 기인한다. 헝가리 중앙은행은 엄격한 통화 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고 있으며, 높은 금리로 인하여 유로화를 보유하고 있는 시장 참여자들이 포린트화에 투자할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포린트화의 가치가 일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전문가들은 2022년 12월 유럽연합(EU)과 헝가리 정부 간 호의적인 논의가 보도된 것도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한다. EU 기금 수령 가능성이 높아지며 헝가리 경제에 대한 긍정적 신호가 시장에 전달된 것이다. EUR/HUF 환율이 연말까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통일된 예측이 있지는 않으나, 대부분의 경제 분석가들은 2023년에는 2020년 혹은 2022년처럼 포린트화 가치가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Magyar Bankholding의 수석 분석가인 Gergely Suppan은 2023년에 포린트가 점진적으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Raiffeisen 은행의 수석 애널리스트인 Zoltan Török은 포린트화의 강세가 일시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며 EU 기금의 보류, 높은 수준의 에너지 의존도 및 부채 등의 위험 요소로 인해 포린트화 가치가 다시 떨어질 수 있다고 본다. ING의 수석 분석가인 Peter Virovacz 역시 EU 기금 보류가 위험요소라고 보면서도, 2023년 포린트화 가치가 높게 유지될 것이며, 1유로당 375포린트의 평균환율을 보일 것이라 예측한다. <2023년 평균 EUR/HUF 환율에 대한 경제분석기관의 예측> 분석가 – 소속기관 2023년 말까지 EUR/HUF 환율 (단위: HUF) Gergely Suppan – Magyar Bankholding 385-390 Zoltan Torok – Raiffeisen Bank 400 이상 Peter Virovacz – ING Bank 375 [자료 : vg.hu, thinking.ing.com,portfolio.hu KOTRA부다페스트무역관 종합] 기준금리: 물가상승 대응을 위해 연중 고금리 유지 헝가리 중앙은행은 지난 2월 28일 기준금리 결정회의에서 고금리 유지를 강력히 주장하며 기준금리를 동결하였다. 앞서 헝가리 총리실 관계자는 중앙은행 금리 결정 회의 직전 현재 금리가 경제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금리 인하를 촉구하였다. 그러나 중앙은행은 현재 국제정세 및 물가상승 기조를 고려하였을 때 엄격한 금리정책이 계속하여 유지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현재 13%의 기준금리가 유지되어야 할 것이라 결정하였다. 더불어 1일 예금금리 역시 18%로 동결한다고 발표하였다. 따라서 당분간은 고금리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완화되는 추세에 따라 금리 정책도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ING은행의 수석분석가 Peter Virovacz는 헝가리 중앙은행이 물가상승률 관련 추세를 5~6월까지 지켜본 이후 금리 완화 관련 발표를 할 것이라고 보았으며, 23년 말에는 11.5%로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 보았다. <2023년 말 기준금리에 대한 경제분석가 예측> 분석가 – 소속기관 '23.12월 기준금리 예측(%) Orsolya Nyeste – Erste Bank 9.0 Peter Virovacz – ING Bank 11.5 Mariann Trippon – CIB Bank 10.5 [자료: portfolio.hu] 정부의 대응방향 헝가리 정부 주요 인사들은 현재 헝가리 경제 상황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대응하고 있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한동안 유지되리라는 전망에 대하여, 오르반 총리는 2023년 말까지 물가상승률을 한 자릿수 대로 낮출 것이라고 이야기하였다.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면서도 현재의 높은 투자실적을 유지하는 것이 헝가리 정부의 주요 과제로 보인다. 3월 9일 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행사에서 재무부 장관 미하이 바가는 헝가리가 글로벌 경기 침체, 높은 가스 가격 및 두 자릿수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위험한 시기에 접어들었다고 했다. 또한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적자를 GDP 대비 3.9% 수준에서 2.5% 수준까지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동일한 행사에서 경제 개발부 장관인 마르톤 나기는 투자가 경제 성장의 기초라고 말하며, 외국인 투자 지원을 위해 예산을 일부 희생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헝가리 경제에 있어 투자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헝가리 경제는 유례없는 높은 물가상승률을 경험하고 있다. 낮은 경제성장률 및 높은 물가상승률, 현지화 가치의 불안정성 등의 악재 앞에서 2023년 하반기 중 헝가리 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 수 있는지 주목해보아야 한다. [자료 : ING Bank, Erste Bank, KSH 등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부다페스트무역관 신가영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02
폴란드 정부 지원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
유럽연합의 탈탄소 정책 기조에 따라 전기차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유럽 자동차생산자협회(ACEA)는 2023년 1월 유럽 내 전체 등록 차량 중 배터리 전기차(BEV)의 비율이 9.5%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폴란드에서 전기차는 여전히 고가의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어 서유럽만큼 전기차 보급이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폴란드에서는 2023년 3월에야 전기차 비율이 처음으로 4%를 넘어섰다. 폴란드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로 빠르게 전환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높은 판매 가격이다. 참고로 올해 폴란드에서 출고된 전기차의 평균 가격은 약 26만 즈워티(한화 약 7800만 원)로 나타났다. 2035년부터 EU 역내 내연기관차 판매가 금지됨에 따라 폴란드 자동차 시장은 전기차로의 전환 압력을 더욱 강하게 받고 있다. 폴란드 정부는 2021년 7월부터 실시된 전기차 및 수소차 보조금 제도인 ‘나의 전기차(Mój Electryk)’ 프로그램을 2023년 1월 개정,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절차를 간소화해 전기차 구매를 적극 독려하는 중이다.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 홍보 이미지> [자료: www.swiatoze.pl] ‘나의 전기차(Mój Elektryk)’ 프로그램 이 정부 지원 프로그램은 대기오염 물질 감축을 목표로 하며 전기차 및 수소차의 구매 또는 리스 시 현금을 지원한다. 폴란드 정부의 대기오염 물질 감축 목표는 다음과 같다.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을 통한 대기오염 물질 감축 목표> 대기오염 물질 연간 감축 목표(톤) 이산화탄소 52,700 미세먼지(PM-10, 지름 10마이크로미터 미만) 0.37 질소 산화물 50 [자료: www.gov.pl] 이 프로그램은 개인이나 회사뿐만 아니라 조합, 협회, 재단, 개별 농업인, 금융기관, 종교단체와 같은 기관도 신청 가능하다.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은 2026년 6월 30일까지 운영 예정이나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개인의 경우 폴란드 환경보호 및 수자원관리기금(Narodowy Fundusz Ochrony Środowiska i Gospodarki Wodne, NFOŚiGW)에서 직접 지급하며 리스의 경우는 폴란드 환경보호은행(Bank Ochrony Środowiska, BOŚ)이 관련 업무를 지원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 지원 대상 차종은 M1, M2, M3, N1 및 L1e~L7e이며, 분류 기준은 아래와 같다.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 지원 차종> 차종 분류 기준 M1 운전석을 제외한 8인 미만 승용차 M2 운전석을 제외한 8인 이상, 5톤 미만 승합차 M3 운전석을 제외한 8인 이상, 5톤 이상 승합차 N1 3.5톤 미만 상용차 L1e~L7e 속력이 6km/h를 넘지 않는 2륜, 3륜, 4륜차 [자료: www.gov.pl] 한편, 지원 대상과 금액은 개인·다자녀 가구와 기업 및 기관으로 구별돼 차등 지원되며, 개인의 경우 22만5000즈워티(한화 약 6750만 원) 미만의 차량에 대하여 1만8750즈워티(한화 약 560만 원), 다자녀 가구의 경우 위와 같은 조건으로 2만7000즈워티(한화 약 810만 원)를 지원하고 있다. 기업 및 기관의 경우 M1 차종, 즉 운전석을 제외한 8인 미만의 승용차의 경우 개인 지원과 동일하다. M1 차종의 리스 신청 시 주행 예정거리를 1만5000km 이상으로 신고하면 2만7000즈워티(한화 약 810만 원)까지 지원 가능하며 M2, M3, N1 차종의 경우 5만 즈워티(한화 약 1500만 원) 한도 내에서 인정 금액의 20%까지 지원 가능하다. 이 차종들의 리스 신청 시 주행 예정거리를 2만km 이상 신고하면 7만 즈워티(한화 약 2100만 원) 한도 내에서 인정금액의 30%까지 지원 가능하다. 리스 지원금은 금융기관과 폴란드 환경보호 및 수자원관리기금(NFOŚiGW) 간의 신청 업무를 연계하는 폴란드 환경보호은행(BOŚ)에 대한 1.5% 수수료(opłata transferowa)를 공제한 후 지급된다. 이 금액은 전액 리스 선납금(opłata wstępna)으로 납입된다. 기타 속력이 6km/h를 넘지 않는 2륜, 3륜, 4륜차에 대해서는 4000즈워티(한화 약 120만 원) 한도 내에서 인정 금액의 30%까지 지원 가능하다.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 지원 대상과 금액> (단위: 즈워티) 지원대상 차종 차량 가격(미만) 연평균 주행예정거리 지원금액 개인 M1 225,000 (약 6750만 원) - 18,750(563만 원) 다자녀 가구 M1 - - 27,000(810만 원) 기업 및 기관 M1 225,000 (약 6750만 원) - 18,750(563만 원) 15,000km 이상 신고 시 27,000(810만 원) M2, M3, N1 - - 인정금액의 20%까지, 5만(1500만 원) 한도 20,000km 이상 신고 시 인정액의 30%까지 7만(2100만 원) 한도 L1e~L7e - - 인정액의 30%까지 4000(120만 원) 한도 [자료: www.gov.pl] 개인의 경우 지원금은 폴란드 환경보호 및 수자원 관리기금의 온라인 신청 플랫폼(Generator Wniosków Dofinansowania, GWD)을 통해 차량 구매 영수증을 첨부해 간단히 신청할 수 있다. 기업 및 기관 리스의 경우 폴란드 정부가 기금 접근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리스 차량 판매자를 통해 구비서류를 갖추어 원스톱으로 신청 가능하며 폴란드 환경보호 은행과 업무 협약이 체결된 15개 금융기관(향후 추가 예정)을 통해 직접 접수도 가능하다. 다만, 차량이 국내 또는 해외, 특히 EU 기금으로 구매됐을 경우 환급되지 않으며 50km 미만의 주행거리를 가진 신차만 신청 가능하다. 그리고 구매된 차량은 폴란드 국내에서 등록돼야 하며 책임보험(OC, ubezpieczenie od odpowiedzialności cywilnej)과 자기차량손해보험(AC, ubezpieczenie Autocasco)에 가입돼야 한다. 또한 보조금을 받은 차량은 구매 후 2년간 거래가 제한된다. 개인은 1인당 1대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1인 사업자도 일반 기업과 같은 조건으로 신청할 수 있다. 한편, 보조금을 받은 차량은 환경보호 및 수자원 관리기금의 로고를 차량 판매가 금지된 2년 동안 부착해야 하며 이 스티커는 별도로 취득한다.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 차량용 스티커> [자료: www.auto-swiat.pl]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으로 성장하는 폴란드 전기차 시장 2023년 3월 30일 폴란드 환경보호은행은 2021년 이후 6800여 건 이상의 보조금 지원 신청이 이루어졌고 총 2억2000만 즈워티(한화 약 660억 원)가 지원됐다고 발표했다. 특히 올해 1분기에만 1000여 건 이상, 총 3650만 즈워티(한화 약 109억 원)가 지원됐으며 리스의 경우 200여 건, 1430만 즈워티(한화 약 42억 원)가 지원됐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 폴란드 대체연료협회(Polskie Stowarzyszenie Paliw Alternatywnych, PSPA)에 따르면 2023년 1월 말 폴란드에 등록된 전기차는 총 6만7097대이며 올해 1월에만 2376대가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56% 성장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시사점 폴란드 정부의 적극적인 전기차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이 지역에서 전기차 수요가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또한 전기차 배터리 수요 확대로 연결될 공산이 크다. 특히 폴란드를 포함한 중동부 유럽은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이 집중 진출한 지역으로 전반적인 수요 확대를 기대해볼 수 있다. 다만, 중국 등 경쟁 업체들 또한 매우 공격적인 현지 투자를 감행하고 있어 현지 수요 확대의 과실을 우리 기업들이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폴란드 정부가 제공하는 '나의 전기차'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해 구매력있는 수요층 확보를 위한 시장 세분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폴란드 정부(www.gov.pl), 폴란드 환경보호 및 수자원관리기금(Narodowy Fundusz Ochrony Środowiska i Gospodarki Wodnej, NFOŚiGW), 폴란드 환경보호은행(Bank Ochrony Środowiska, BOŚ), www.mleasing.pl, www.muratorplus.pl, www. jakiwniosek.pl, 일간지 rzeczpospolita, KOTRA 바르샤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바르샤바무역관 김여주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5.02
미국 화물운송 업계 침체... 리세션의 전조인가?
미국 해운 물류 업계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 공개 데이터에 따르면, 3월 미국 전체 컨테이너 수입 물량은 185만 TEU로 전월 대비 6.9% 증가해 지난 6개월간 내림세에서 반등했으나, 여전히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7.5%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의 운송업계 불경기가 미국 리세션 돌입의 전조현상일 수 있다는 분석이 현지 전문가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미국 운송 경기 침체, 끝은 어디인가? 3월 미국 컨테이너 수입 물량은 서부 LA와 롱비치 항구로 유입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월 대비 7%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작년 3월 수입량 256만 TEU에는 아직 한참 못 미치는 수준(72.5%)이다. 현지 전문가들은 컨테이너 수입 물량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국내 내구재 소비 위축과 대중 수입 부진을 지목한다. <미국 컨테이너 수입 추이(2021~2023)> [자료 : Descartes Datamyne™] 팬데믹 당시 폭증했던 가전, 가구, 운동용품 등 내구재 수요가 줄고, 기업들도 비축해 놓았던 재고 소진에 나서고 있어 전반적으로 해외 수입이 감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즉, 국내 소비시장 위축 ⇒ 기업 재고 비용 상승 ⇒ 제조업 구매 주문 감소가 악순환하면서 전반적인 수입 경기 침체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중국으로부터 컨테이너 수입량도 계속해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3월 대중 컨테이너 수입 물량은 약 58만 TEU를 기록해, 최고치를 기록했던 작년 8월에 비해 무려 4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컨테이너 수입 물량은 회복의 기미를 보였으나, 중국으로부터 수입은 3월에도 역성장(-7%)을 기록했다. <미국 컨테이너 수입 비교 : 전체 vs. 대중> [자료 : Descartes Datamyne™] 컨테이너 운송 정보 플랫폼 기업 FreightWaves SONAR의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로부터 미국 항구로 향하는 해양 운송 주문(ocean freight order)은 작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작년 4월에 132.7(2019.1.1. 주문 실적을 100으로 기준)를 기록했던 미국향 해양 운송주문이 4월 23일 현재 56.23으로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컨테이너 수입 비교 (2021년~현재) : 전체 vs. 대중> [자료 : FreightWaves SONAR / CNBC] 트럭 운송업계 한파, 유가 하락으로까지 이어져 해상뿐만 아니라 육상 운송업계에도 빨간 불이 들어왔다. 최근 발표된 3월 미국 트럭 수요 지표는 95.8로 전월 101.3에서 급격히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운송 부문 애널리스트는 미국 내 트럭 운송 수요가 2020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사실상 운송 불황(freight recession)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라고 밝혔다. 최근 트럭 업계 설문조사에서도 단기 경기에 대한 긍정 전망이 지난 50%에서 30%로 떨어졌고, 트럭 운임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은 17%에서 36%로 치솟았다. 이런 육상 운송업계의 불경기는 곧바로 유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뉴욕항 내 경유(디젤) 도매가격이 지난 5월 5.34달러에서 현재 2.65달러까지 곤두박질했다. 미국 금리인상과 소비 심리 위축에 따른 제조업 생산 및 무역 감소가 유가까지 끌어내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내 트럭 운송 수요 동향 (2020~현재)> [자료 : American Trucking Associates / Wall Street Journal] 미국 리세션 돌입 우려 재점화 최근 비즈니스경제협회(NABE)가 실시한 설문조사(4.4~12)에 응답한 경제학자 중 과반이 넘는 53%가 12개월 내 미국의 리세션 돌입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 1월 조사(응답자의 54%가 12개월 내 리세션 돌입 전망)와 상반된 결과로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지난 1년 동안 총 9차례 4.75% 금리 인상이라는 초긴축 통화정책에도 불구하고 고용, 소비, 자산 시장이 비교적 안정을 보인 것이 낙관적인 경기 전망의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화물운송 업계를 중심으로 리세션 돌입에 대한 경고의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해운 대기업 Maersk의 CEO 조렌 스코우(Søren Skou)는 CNN에 출연해 “컨테이너 물동량 감소는 소비시장 위축의 명백한 시그널”이라고 밝히며 미국도 머지않아 리세션에 돌입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또한, FOX New는 1972년 이래 총 12번의 트럭 업계 불황 사례를 분석했을 때 50%의 확률로 경기 후퇴(리세션)가 후행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Bleakley Financial Group의 투자 부문 대표인 피터 부커바(Peter Boockvar)는 CNBC와 인터뷰에서 현재 글로벌 제조업 PMI 부진은 소비시장 위축과 깊게 연관됐다며, 또한 미국 경기 후퇴의 선행 지표로서 최근 화물운송 시장 동향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지 경제통상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전반적인 무역 데이터가 미국 경제 수축을 가리키고 있다며, 1분기 미국 GDP 실적 및 수출입 통계가 5월 초(2~3일)에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추가 금리인상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했다. 현지 시간 4월 27일 미국 상무부는 1분기 미국 GDP 성장률(잠정치)을 연율 1.1%로 발표했다. 이는 직전 분기 성장률 2.6%에서 크게 하락한 것으로 소비지출 성장 둔화과 기업 투자(설비 및 재고 등) 축소, 순수출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 됐다.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은 5월 4일에 올해 1~3월까지 상품․서비스 교역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자료] CNBC, 월스트리트저널, Descartes Datamyne, Fox News, CNN, Fortune 및 기타 무역관 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워싱턴무역관 이정민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4.28
바이든 정부가 꿈꾸는 바이오 경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작년 9월 12일, 국가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 이하 NBBI)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현재 미국이 직면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해줄 대안으로 생물학(biology)과 바이오 경제(바이오 기술·제조업 등을 망라하는 개념)를 주목한 것이었다. 이 행정명령 3조는 관계부처에 행정명령 발효 후 180일 이내 미국의 바이오 경제 육성 계획서를 제출하도록 적시했으며, 이에 따라 지난 3월 22일, 미 백악관은 미국 바이오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보고서 3종을 공개했다. NBBI 행정명령 발효, 그 이후 NBBI 행정명령 발효 이틀 뒤인 작년 9월 14일, 백악관 안보 보좌관 주재로 열린 장관급 회의를 통해 주요 관련 예산 프로그램과 주무부처를 공개했다. 국방부가 자국 내 바이오 산업 제조 기반 강화 등 미화 14억 달러가 넘는 예산을 집행할 예정이며, 농업부는 5억 달러를 바이오 기술 및 제조업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비료 개발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 그 외 주요 의약 원재료 생산에서의 바이오제조업 비중 확대(보건복지부, 4천만 달러), 바이오매스 전환 기술 등 R&D 지원(에너지부, 2억7800만 달러) 프로그램 추진이 예고됐다. <NBBI 행정명령 주요 예산 프로그램(9.14.)> (단위: US$ 백만) 담당부처 예산규모 주요 내용 보건복지부 40 항생제·API 등 주요 의약 원재료 생산에서의 바이오제조업 비중 확대 국방부 270 바이오 기반 재료 R&D 활성화를 통한 국방물자 공급망 안정화 1,000 자국 내 바이오산업 제조기반 강화 200 바이오 안보 및 바이오산업 제조기반 보안 강화 농업부 500 바이오 기술 및 제조업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비료 개발 에너지부 100 바이오매스의 연료·화학전환기술 R&D 지원 178 바이오산업 첨단 혁신 R&D 지원 [자료: 백악관(2022.9.14.)] 주목할만한 것은 바이어 산업 제조기반 강화 관련 예산이 국방부에 편성됐다는 것이다. 이는 팬데믹을 계기로 전염병뿐만 아니라 공급망이 근시일 내에 무기화될 수 있는 것을 깨닫고, 국가안보 측면에서 주요 물자 생산 기반을 자국이나 신뢰할 수 있는 동맹국가 중심으로 재편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보고서에 담긴 미국의 바이오 경제 청사진 백악관이 공개한 3종 보고서는 상무부 경제분석국의 "바이오 경제 측정지표 개발 경과 보고(Developing a National Measure of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Bioeconomy)", 국방부의 "바이오제조업 전략(Biomanufacturing Strategy)", 그리고 5개 부처 합동의 "미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를 위한 담대한 목표(Bold Goals for U.S.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이다. ① 상무부 경제분석국, "바이오 경제 측정지표 개발 경과 보고" 해당 보고서의 목적은 NBBI를 통해 지시된 바이오 경제 측정을 위해 바이오 경제의 분류 정의 등을 마련하는 것에 있다. 상무부 보고서는 다른 국가들이 바이오 경제, 혹은 유사한 산업을 어떻게 측정했는지 벤치마크 분석과 그 한계점을 제시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규정하는 바이오 경제는 통상적인 생명과학산업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에 바이오 제조과정이나 기술이 접목된 혁신 제품까지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기 때문이다. 바이오 경제를 구성하는 세부 분야별 정의의 부재와 더불어 과거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측정된 신뢰할 만한 기존 데이터가 없는 것을 고려할 때 세부 분야별 측정은 지금 시점에서는 불가능하다고 결론을 짓고, 정부 지표와 민간 조사 기관에서 측정하는 지표를 같이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으로 보고서는 마무리된다. ② 국방부, "바이오제조업 전략" 국방부는 바이오 제조업이 연료와 화학제품뿐만 아니라 건축자재 생산에도 활용되고 있다며 웨어러블, 환경 센서, 새로운 특성의 소재 개발 등 분야에의 기술 접목 및 발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며 시작했다. 다소 짧은 이 보고서의 핵심은 국방부에 배정된 12억 달러의 집행 계획의 지향점을 제시한 것이다. 지향점은 세가지로 요약이 될 수 있으며 (1) 현장 활용이 가능한 수준까지 개발이 가능한 기술을 탐색하는 것과 (2) 동맹국을 포함하는 자국 내 자급자족 가능한 바이오 제조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 그리고 (3) 현 바이오 제조 생태계(공급망)를 맵핑하고 공급망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③ 관계부처 합동, "미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를 위한 담대한 목표" 바이든 정부는 미국의 바이오 경제 진흥을 통해 공급망 자급도를 강화하고, 미국의 혁신 동력을 공급하는 등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달성코자 한다.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미국 사회가 풀어나가야 할 다섯 가지 과제를 위해 보건부 등 과제별 주무 부처가 집중할 중점 분야와 목표, 연관 연구개발 대상 기술들을 이번 보고서는 공개했다. <부처별 주요 연구과제 및 목표> 담당과제 주무부처 주요 연구과제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부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2050 넷제로 기여 (1) 바이오 기반 연료·대체 연료 등 지속가능한 연료 개발 (2) 저탄소 화학물질·소재 및 바이오 기반 재활용 가능 폴리머 등 지속가능한 화학물·소재 개발 (3) 바이오산업에서의 탄소 측정, 불모지에서 잘 자라는 원료식물 개발 등 기후에 대응하는 농업시스템 구축 (4) 토양 탄소저장기술 및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탄소 제거기술 개발 식량 및 농업 혁신 농업부 농업 생산성 확대와 품질 강화, 역병 대처 강화 등 (1) 질소 배출 저감, 작물 손실률 감소 등 농업의 지속가능성 및 생산성 강화 (2) 새로운 영양 공급원 개발 등 품질, 영양요소 강화 (3) 기후·역병 등 선제적 감지 역량 제고 및 농임업 안정성 강화 공급망 안정화 상무부 바이오 기술·제조 R&D를 통한 공급망 안정성 강화 (1) API, 화학물질 등에 대해 바이오제조기술을 활용한 대체공급선 개발 (2)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바이오제조기술 혁신 (3) 바이오기술의 상업화 지원을 위한 데이터 공유 기반 및 표준 개발 국민 보건 진흥 보건복지부 국민 보건 강화를 위한 바이오 연구개발 추진 (1) 신규 건강 측정지표와 저렴한 건강진단 키트 개발 (2) 멀티옴(다중체학) 발전, 보급을 위한 데이터 수집 등 (3) 세포치료제 생산능력 및 효율성 향상 (4) AI 활용 바이오 치료제 개발·생산 능력 증대 (5) 유전자 편집 기술 발전 범분야 협력 국가과학재단 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위한 범분야 R&D 협력 (1) 다양한 생물체의 게놈, 대사활동 등 분석 (2) 생체시스템 모델링기술(예측 포함) 개선 (3) 다양한 생체 측정 및 생산 역량 확대 (4) 개발된 생체기술의 상용화 기술 개발 (5) 생체-기계 융합 등 바이오 제조기술 접근방법 혁신 (6) 윤리적이고 안전한 바이오기술 제품 개발 [자료: 백악관('23.3.22.)] 저탄소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바이오 기반 대체연료 개발에서부터 국민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신속하고 저렴하게 진단할 수 있는 건강진단 키트 개발까지 에너지, 식품영양, 보건, 제조분야까지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서 바이오 기술을 통한 혁신을 추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중 공급망 재편과 관련이 있어 우리 기업의 미국에의 수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과제는 기후변화 대응 과제의 (2)번 연구과제와 공급망 안정화 과제의 (1)번 연구과제다. <상기 언급된 연구과제 중 주요 과제 상세 내용 > 담당과제 주무부처 주요 연구과제(상세)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부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2050 넷제로 기여 (2) 저탄소 화학물질·소재 및 바이오 기반 재활용 가능 폴리머 등 지속가능한 화학물·소재 개발 - 전 제조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70% 이상 감축된, 상업성이 있는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소재를 5년 내 20개 이상 개발·생산 - 20년 내에 바이오 원료 기반,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머를 효율적으로 생산해 현 플라스틱 수요의 90% 이상을 대체 공급망 안정화 상무부 바이오 기술·제조 R&D를 통한 공급망 안정성 강화 (1) API, 화학물질 등에 대해 바이오제조기술을 활용한 대체공급선 개발 - 5년 내 비용 효율적인 바이오 제조기술을 개발해 중국, 인도 등 특정 국가에 의존도가 높음 API 등 의약원료 생산을 국산화 - 20년 내 미국 내 화학물질 수요의 30% 이상을 지속가능하고 비용 효율적인 바이오 제조기술로 생산된 제품으로 대체해 충족 [자료: 백악관('23.3.22.)] 현재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탄소감축 관련 제도 및 법안을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바이든 행정부는 에너지부의 지속가능한 화학물·소재 개발 연구과제를 통해 현재 플라스틱으로 발생하는 공해 해소와 더불어, 탄소국경제도에 대한 대응, 국내 청정 제조업 기반 확보를 통한 수입대체,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일석사조, 혹은 그 이상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무부 과제를 통해서는 공급망 안전성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읽힌다. 백악관과 보건복지부의 2021년 6월 조사에 따르면 120개 필수 의약품 중 60개만이 원료의약품(API)을 미국에서 생산할 수 있는 등 의약품 제조분야에서 해외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FDA 승인 약품용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소재 현황(2021년 3월 기준)> [자료: 백악관('21.6.8.)] 이번 바이오 경제 진흥 정책에서 엿볼 수 있는 바이든 행정부가 그리고 있는 미국의 미래는 '지속가능성'이다. 미국은 아직도 원천 및 핵심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나, 개발된 기술을 활용한 제조는 경제적 효율성 등을 이유로 다른 지역에 위탁하는 경향이 최근 있었다. 그러나 세계는 팬데믹과 최근 국제정세를 통해 세계화 시대의 공급망의 취약성과 무기화 가능성을 목도했기에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체제로의 전환이 화두가 된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바이오 경제의 진흥-뿐만 아니라 반도체법, 인플레이션 감축법, 인프라법 등 다양한 산업 관련 정책-을 통해 공급망, 환경, 지역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현지 반응과 시사점 현지에서는 이번 발표가 미국의 혁신 생태계 진흥뿐만 아니라 경제 활성화, 자국 내 생산 기반 확충을 위한 좋은 기회라고 평가하고 있다. 플라스틱 산업협회의 패트릭 크리거 부회장은 지속가능한 플라스틱의 개발이 주된 목표로 선정한 것을 환영하며, 행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등의 개발을 추진하겠다 밝혔다. 미국 제약업계에서도 API 생산 자국화, 세포치료 기술 개발 지원 등의 과제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백악관에서 제시한 목표가 현실적이지 않다는 의견이 있으나, 이번 발표 관계자는 이번 정책 발표의 의의는 미국이 지향하는 미래에 대한 원대한 청사진을 제시해 민간의 협력을 구하는 것이고, 반드시 달성해야 할 책무를 설정한 것이 아니라는 의견을 냈다. 2022년 기준 미국은 한국의 폴리머(7.5%)와 바이오의약품 원료(12.4%) 주요 수출 대상국이다. 보고서에서 제시한 과제가 다소 공격적이고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은 목표임을 감안 시 단기적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 다만 우리 기업은 장기적으로 이 상황의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국 등 전 세계에서 현재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려면 저탄소 제조공정이나 제품의 친환경 요소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연구개발 추진도 요구된다. 한편으로, 미국의 공급망 재편은 동맹국을 포괄하는 개념이므로(국방부 보고서에 언급) 동맹국인 우리에게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국의 폴리머(HS 3911) 수출통계> (단위: US$ 백만) 순위 국가명 2018 2019 2020 2021 2022 0 전 세계 518 478 514 661 676 1 중국 139 130 157 206 194 2 네덜란드 30 28 23 47 66 3 미국 52 47 53 55 51 4 일본 46 45 43 45 44 5 독일 52 44 40 41 37 [자료: IHS Markit] <한국의 API 등 바이오의약품 원료(HS 300214, 3003, 3004) 수출통계> (단위: US$ 백만) 순위 국가명 2018 2019 2020 2021 2022 0 전 세계 1,883 2,312 3,558 3,050 3,348 1 독일 404 518 1,262 590 632 2 튀르키예 342 396 576 331 506 3 미국 269 247 478 641 416 4 이탈리아 5 12 15 124 313 5 일본 152 177 198 326 296 [자료: IHS Markit] 미국의 리쇼어링 장려, 제조업 거인이 다시 깨어난다 취임 이래,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이 개발한 모든 것이 미국 내에서 생산될 수 있게 하겠다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달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 제약업계가 행정부에 반도체과학법과 유사한 25% 제조 세액공제 혜택을 제약산업에 제공하는 법안을 요청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입법 및 통과 가능성은 현 단계에서 논할 수 없으나, 바이든 행정부 하 미국은 반도체, 전기차 등 첨단 제조산업의 리쇼어링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 기업도 미국에 제조시설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잠시 휴지기를 가졌던 미국의 제조업이 친환경 등 지속가능성이라는 목표를 향해 기지개를 켜고 다시 달릴 준비를 하고 있다. 자료: 미 백악관 보도자료, IHS Markit, 파이낸셜타임스, KOTRA 워싱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워싱턴무역관 장석일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4.27
처음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지로 이동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