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한상소식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검색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비즈니스 정보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산업∙경제 이슈
게시글 검색
산업,경제,마케팅 자료에 대한 정보제공
산업자료
전체
산업/기술일반
전자/정보통신
화학/바이오
서비스/기타
경제자료
전체
국내경제
해외경제
금융
마케팅자료
전체
검색
보기조건 갯수 선택
10개 보기
20개 보기
30개 보기
43/127
페이지
(전체 1263)
검색분류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美 ‘22년 4분기 주요 경제지표 및 금리인상 결정에 대한 현지 반응
경제분석국(BEA), '22년 4분기 GDP 상승세 발표(1.26.) 미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BEA)은 ‘22년 4분기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이 전년 동기 대비 2.9% 상승했으며, 3분기 3.2%에 이어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에 힘입어 상반기 마이너스 성장에도 불구하고 '22년 GDP는 연평균 2.1%의 성장률을 보였다. <2019 ~ 2022 분기별 미국 GDP> 주: 2022년 3, 4분기 GDP성장률은 전반기 마이너스 성장에서 반등 [자료: 경제분석국(BEA)] BEA는 (1) 제조업, 광업, 및 건설업 민간 재고투자 증가, (2) 소비자 의료 및 기타 서비스 지출 증가, (3) 연방·주·지방 정부의 재정 지출 확대가 '22년 4분기 GDP 성장의 원인이었지만 신규 주택 건설량 감소에 따른 중개수수료 감소와 석유를 제외한 비내구재 상품 수출 감소가 마이너스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BEA, 12월 개인소득 및 지출 지표(Personal Income and Outlays) 발표 BEA는 미국인의 12월 개인소득과 가처분소득(DPI)이 전월 대비 각각 0.2%(495억 달러)와 0.3%(492억 달러) 성장했고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0.2%(416억 달러) 하락했다고 밝혔다. ‘22년 여름부터 시작된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 경고에도 노동시장이 강세를 유지하며 개인소득의 증가를 이끌었고 12월 서비스 가격과 식품가격의 상승에도 소비자 상품의 전반적인 가격 하락이 PCE 물가지수의 하락으로 이어졌다. <’22년 8~12월 개인소득과 소비지출 지표> 주: 전월대비, 12월 개인소득과 PEC 물가지수는 상승 기록 [자료: 경제분석국(BEA)] 특히 BEA는 임금과 자산 소득 증가가 서비스및 제조업 종사자들의 소득 증대로 이어져 전체적인 개인소득 증가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또한, 12월 PCE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차량과 내구재를 포함한 상품 가격이 0.7% 하락했으나 의료 및 운송 서비스의 비용과 식품 가격이 각각 0.5%와 0.2% 상승했다고 밝혔다. <’22년 6~12월 개인소득, 지출, 저축 비율> [자료: 경제분석국(BEA)] 하지만 ‘22년 12월 PCE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5.0% 상승했고 상품 가격은 4.6%, 서비스 가격은 5.2%, 식품 가격은 11.2% 인상함에 따라 물가 상승세가 유지 중인 것으로 분석했다. 2022년 4분기 경제 지표에 따른 현지 반응 바이든 대통령은 ’22년 4분기 GDP 성장률과 주요 경제지표가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결실을 본 것”이라고 호평했으나 공화당 전국위원회(RNC)는 “바이든 정권 하에 실질 임금은 하락하고 물가상승으로 미국 내 가정이 더 가난해졌다”고 비판했다. 제프리 프랭클(Jeffery Frankel) 하버드대 경제학자는 2023년 경기 침체 가능성이 있다는 작년의 전망보다는 향상된 수준의 경기 지표를 보여줄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전반적인 경기 예측은 아직 이르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저스틴 울퍼스(Justine Wolfers) 미시간대 경제학자는 4분기 GDP 결과를 통해 미국 내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인한 ‘22년 경기 침체 우려가 과장되었다고 주장하며 일부 경제학자들의 비관적인 ‘23년 경제 예측 스탠스에 반론을 제기했다. 또한, 일각에서는 올해 금융 시장과 실물경제가 기술혁신과 미국 중앙은행의 투명성으로 금리 인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예상하며, 작년 시작된 경기 둔화세로 올해 상반기 경제 성장 지체가 예상되지만 본격적인 경기 불황은 모면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따른 반응 '22년 4분기 GDP 성장세, 12월 개인소득 증가 및 PCE 물가지수 추세 속에 연방준비은행은 '23년 첫 FOMC에서 0.25% 포인트 금리 인상을 발표했다. 이어 파월 연준 의장은 2월 1일자 기자회견을 통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2% 목표를 지향한다고 밝히며 연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금리 인상을 앞두고 시장은 2월 1일 개장부터 하락세를 기록했으나 발표 이후 상승세로 마감하며 향후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또한, 닉 티미라오스(Nick Timiraos) 월스트리트저널 기자는 1월 말 주식시장이 작년 대비 반등한 것을 근거로 시장은 이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예상했고, 이번 인상률 완화가 금리 변동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일각에서는 이번 금리 인상 완화로 연준이 물가 진정세를 간접적으로 시인했다고 분석하며 추후 추가적인 금리 인상 예고에도 통화 긴축 정책이 곧 종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 경제분석국 보도자료(1.26., 1.27.), 로이터(1.26.), 엑시오스(2.1.), 월스트리트저널(1.26., 2.1.), 및 기타 언론 등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워싱톤무역관 이인덕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7
불가리아 방위산업 현대화 현황과 전망
불가리아는 2004년 나토(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에 정식으로 가입한 이래로, 무기 체계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바르샤바 조약기구(Warsaw Treaty Organization) 하에서 사용했던 동구권 무기 체계를 개량해가면서, 서구 무기를 적극 받아들여 합동작전 시 무기 체계 통일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상 장비 무기 체계 현황 현재 불가리아 육군은 정부 수립 지연으로 인해 차세대 장비 도입 사업이 일부 지연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화 추진은 지속하고 있으며, 전차 개량 및 장갑차 구매 등을 통해 새로운 무기 체계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고 있다. 1) 전차 불가리아 육군의 주력 전차는 소련에서 1971년에 개발된 'T-72' 전차다. 현재 운용 중인 전차는 소련의 수출용 모델인 'T-72/M1' 과 'T-72/M2' 모델이다. 125mm '2A46' 주포와 7.62mm 기관총을 무장으로 탑재했다. 엔진은 'V-46' 피스톤 디젤 엔진으로 도로에서는 최고 속도 60km까지 달릴 수 있다. 중량은 약 41톤 가량이다. 2022년, 불가리아 국방부는 약 4천만 유로의 예산을 배정, 44대의 'T-72' 전차를 대상으로 현대화 개량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새로운 사격 통제 장치와 컴퓨터를 장착해 풍향과 습도 등을 입력하면 사수가 사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한 대 전차 미사일 접근 시 포탑에서 인지 할 수 있도록 경고 장치를 장착해 전차의 생존성을 키웠다. 개량 작업은 이스라엘 최대 방산 업체인 'Elbit System' 에서 수행하고 있다. <T-72 전차> [자료원: 불가리아 국방부, 조사시기:2023년 1월] 2) 보병 수송 장갑차 불가리아 육군의 주력 보병 수송 장갑차는 'BTR-60'으로 1950년대 개발된 장갑차다. 무게는 10.5톤 정도이며, 'GAZ-40P' 엔진을 탑재해 도로에서 최고 속도 80km로 달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불가리아 정부는 장갑차 구매를 계속 추진해오고 있지만, 예산 부족으로 지연되고 있다. 2020년, 핀란드 ‘Patria’ 사의 ‘PATRIA AMVXP’ 장갑차와 다국적 기업 ‘General Dynamics’ 사의 ‘PIRANHA 5’ 장갑차가 경합했으나 예산을 맞추지 못해 조달에 실패했다. 현재 차기 장갑차 조달 계획이 추진 중이다. <BTR-60 장갑차> [자료원: 24언론, 조사시기:2023년 1월] 보병 화력 지원용 전투 장갑차로 'BMP-23'을 운용하고 있다. 'BMP-23'은 불가리아에서 설계되어 1980년대부터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약 15톤의 무게를 지니고 있다. 23mm 자동 기관포를 탑재하고 있고, 대전차 로켓을 무장으로 장착 할 수 있다. 'YaMZ-238N' 엔진을 장착해 도로에서 62km까지 달릴 수 있고, 승무원 3명 외 보병 6~7명이 탑승 할 수 있다. <BMP-23 장갑차> [자료원: dvidshub, 조사시기:2023년 1월] 3) 자주포 불가리아 육군의 주력 자주포는 소련에서 개발되어 1970년대부터 배치되기 시작한 '2S1'이다. 중량은 약 15톤 정도이며, 'YaMZ-238N' 엔진을 장착해 도로에서 최고 60km 까지 달릴 수 있다. 122mm 곡사포를 장착하고 있으며, 정밀 사격 시 1분에 1~2발 정도 사격 할 수 있다. 급속 사격 시에는 1분에 4~5발 정도 사격 할 수 있다. 하지만 사격 준비부터 사격까지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4~6명 정도의 승무원이 필요하고, 차체의 무게가 적어 적재 포탄수에 한계가 있고 피격 시 생존성이 낮다. <2S1 지즈퍼> [자료원: DefenseDb, 조사시기:2023년 1월] 4) 다련장 로켓포 불가리아군은 약 200대의 'BM21-Grad' 다련장 로켓포를 운용하고 있다. 122mm 로켓 발사대 40개를 탑재하고 있다. 무게는 약 13톤이며, 초당 2발의 로켓을 발사 할 수 있다. 'V8' 가솔린 엔진을 장착해 도로에서 최대 75km정도의 속도로 달릴 수 있다. 정확도가 낮아 효율적인 운영이 어렵고, 한번 사격 후 재장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BM-21 Grad 다롄장 로켓포> [자료원: SofiaGlobe 언론, 조사시기:2023년 1월] 해상 장비 무기 체계 현황 불가리아 해군은 여러 국가로부터 많은 중고 함정을 인도 받아 초계함*, 구축함, 소해함** 등을 운용하고 있다. 최근 독일 'NVL Group'과 초계함 2척에 대한 5억 9천만 달러 규모의 구매 계약을 추진, 2025년경 인도 받고 실전 배치할 예정이다. 해당 함정은 2,300톤 급이며, 76mm 함포와 대함, 대공 미사일을 장착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스웨덴의 방산 기업 ‘Saab’ 와 협업하여 차세대 전투 체계를 도입할 예정이다. * 초계함(Corvett)은 해상의 정찰 및 감시 업무를 위해 투입되는 함선을 의미함. ** 소해함(Mine Sweeper)는 기뢰를 제거할 목적으로 운용되는 중소형 함선을 의미함. <Hrabri급 신형 초계함> [자료원: NavalNews언론, 조사시기:2023년 1월] 항공 장비 무기 체계 현황 불가리아 공군은 최근 F-16 을 구매하면서 육/해/공군 중, 서구권 무기 체계로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주력 전투기는 러시아 'Mikoyan'사의 'MIG-29 UB' 형 전투기인데, 11기를 운용중에 있다. 'Klimov RD-33' 엔진 및 , 'RLPK-29'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전투기의 많은 부품을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러시아와 유지보수 용역 계약을 체결하여 관리하고 있다. 러시아에 유지보수를 맡긴다는 점과, 서방 무기체계와의 통합문제 등으로 불가리아 공군은 서방제 전투기(F-16 Block 70)를 구매하게 되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새로 구매한 전투기는 2025년, 2029년에 인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IG-29 전투기> [자료원: Seenews언론, 조사시기:2023년 1월] 신규 무기 도입 계획 불가리아의 국방비 지출 추이는 2018년 9억 6천만 달러에서 2019년 21억 달러로 급등했다가 다시 감소해 2021년 기준 12억 달러 정도이다. 이는 2021년 기준 GDP의 1.6% 수준으로, NATO의 GDP 대비 국방비 지출 목표인 2%에 도달할 때 까지 지출액이 높아질 전망이다. <2018년~2021년 불가리아 국방비 지출 추이> (단위 : 천만 달러) [자료원: 월드뱅크(Worldbank), 조사시기:2023년 1월] 불가리아 군은 2032년까지 군의 현대화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32억 유로의 예산을 배정하여 다양한 무기조달을 추진할 예정이다. <2032년까지 추진될 불가리아군 현대화 프로젝트> 순번 프로젝트 도입 목표 년도 1 장갑차 구매 2026 2 155mm 자주포 구매 2026 3 방공망 설치 2026 4 다련장 미사일 체계 구매 2026 5 F-16/70 추가 구매 2026 6 3차원 대공레이더 구매 2026 7 대공 방어 미사일 구매 2026 8 고고도 무인항공기 구매 2026 9 연안 대함 체계 구축 2026 10 다목적 디젤 잠수함 구매 2026 11 다목적 공병 전투차량 구매 2032 12 전술 교신 및 정보 시스템 도입 2032 13 미사일 전투정 구매 2032 [자료원: Armymedia 언론, 조사시기:2023년 1월] 불가리아 육군은 기계화 여단용 장갑차 구매를 계획 중이다. 또, 155mm 자주포를 구매해 포병 지원 능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기동력이 우수하고 자동장전 시스템을 갖춘 자주포를 조달할 계획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궤도' 방식이 아닌 '차륜' 방식의 자주포를 선호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기계화 보병용 대공 장비 구매, 대공 방어 체계 구축, UAV 체계 구축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해군은 디젤 추진 잠수함과 미사일 함정 획득을 추진하면서 전투력 증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군은 'F-16/Block 70'을 추가 구매할 예정이며, 조종사 훈련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시사점 만약 불가리아가 기존의 무기 체계를 계속해서 운영하게 된다면 원 제조국인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가 지속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NATO 연합국과 군사작전을 위해서 무기 운영을 효율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불가리아 등 동유럽 국가들은 서구권 무기 구매를 통해 현대화를 지속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폴란드가 'K9' 자주포와 'K2' 전차 및 다양한 한국산 무기 체계를 도입한 후, 헝가리와 발트3국 등 동유럽 국가에서 한국산 무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현재 불가리아는 방산 산업의 현대화에 대한 의지는 확고하다. 하지만 정부 수립 지연 등의 이유로 조달 계획이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NATO의 GDP 대비 2% 수준으로의 방위비 증가 목표에 따라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방위비 증액이 예상된다. 또한 동유럽 국가들의 현대화 추세에 맞춰 현대화 추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불가리아 방위 산업의 현대화 계획에 맞춰 발주될 프로젝트에 관심을 기울여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불가리아에도 우리나라 무기 수출의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원 : 월드뱅크, 암드포스, Seenews 언론, Navalnews 언론, Sofia Globe 언론, 불가리아 국방부, 24언론, dvidshub, Armymedia언론, 무역관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소피아무역관 박민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6
2022년 캄보디아 대외교역 동향 및 한-캄 교역 분석
캄보디아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2년 캄보디아 대외교역액은 전년대비 9.2% 증가한 약 524억2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각종 악재에도 불구하고 수출은 전년대비 16.4% 증가한 224억8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은 4.3% 증가한 299억42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수지 적자는 20.6% 감소한 74억5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5년 캄보디아 대외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https://stats.customs.gov.kh/en)] 2022 캄보디아 수출 현황 캄보디아 주요 수출 상대국은 미국, 베트남, 중국, 일본, 캐나다, 독일, 영국, 태국 등이다. 미국은 캄보디아 최대 수출 시장으로 2022년 캄보디아 총 수출의 39.9%를 차지했으며 베트남 9.6%, 중국 5.5%, 일본 5.2%, 캐나다 5.0%의 비중을 각각 차지하고 있다. <2022 캄보디아 주요국별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국가명 수출액 증감률 비중 1 미국 8,968 19.7 39.9 2 베트남 2,168 9.2 9.6 3 중국 1,240 -17.9 5.5 4 일본 1,173 7.3 5.2 5 캐나다 1,120 17.4 5.0 6 독일 1,083 23.0 4.8 7 영국 886 21.1 3.9 8 태국 831 34.1 3.7 9 벨기에 642 26.3 2.9 10 네덜란드 552 25.2 2.5 11 스페인 474 39.0 2.1 12 프랑스 423 27.9 1.9 13 호주 379 84.6 1.7 14 이탈리아 332 30.7 1.5 15 한국 233 20.4 1.0 합 계 22,482 16.4 100.0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캄보디아 주요 수출 품목은 의류, 핸드백 등 여행용품, 신발, 전기기기, 곡물, 자전거, 가구 및 침구, 과일 및 견과류, 고무 등이다. 캄보디아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의류·신발·여행용품의 2022년 수출액은 약 126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대비 수출액은 약 15% 증가했으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6.9%에서 56.2%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HS Code 87류에 포함되는 자전거 수출은 전년대비 48% 증가한 9억66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주로 EU,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등으로 수출되었다. <2022 캄보디아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HS Code(chapter) 및 품목 수출액 증감률 비중 1 61- 편물 의류 6,367 9.4 28.3 2 62- 편물제외 의류 2,668 21.4 11.9 3 85- 전기기기 및 부품 2,668 84.8 8.9 4 42- 가죽제품·여행용구·핸드백 1,860 17.6 8.3 5 64- 신발류 1,737 24.8 7.7 6 10- 곡물 1,204 -3.7 5.4 7 87- 차량 및 부품(자전거 포함) 1,030 49.3 4.6 8 94- 가구와 침구·매트리스 등 948 8.7 4.2 9 08- 과일 및 견과류 561 3.7 2.5 10 40- 고무와 그 제품 541 28.3 2.4 11 07- 식용 채소 및 뿌리 436 66.9 1.9 12 39- 플라스틱과 그 제품 395 -3.7 1.8 13 44- 목재와 그 제품 및 목탄 283 -14.5 1.3 14 71- 진주·귀석·귀금속 등 261 74.6 1.2 15 06- 살아있는 수목 및 기타 식물 252 1.3 1.1 합 계 22,482 16.4 100.0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2022 캄보디아 수입 현황 2022년 캄보디아의 주요 수입 대상국은 중국,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이며 한국은 9위를 기록했다. 대캄보디아 3대 수출국인 중국, 베트남, 태국이 캄보디아 총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1%에 육박할 정도로 이들 국가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 캄보디아 주요국별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비중 1 중국 10,445 7.9 34.9 2 베트남 3,967 26.2 13.2 3 태국 3,832 10.7 12.8 4 싱가포르 3,230 -36.6 10.8 5 대만 1,036 5.8 3.5 6 인도네시아 911 50.0 3.0 7 일본 774 21.0 2.6 8 홍콩 764 5.5 2.6 9 한국 545 -6.0 1.8 10 말레이시아 508 26.6 1.7 11 미국 312 -7.1 1.0 12 인도 243 31.4 0.8 13 라오스 208 31.6 0.7 14 독일 163 -0.8 0.5 15 호주 144 20.3 0.5 합계 29,941 4.3 100.0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캄보디아 주요 수입품목은 연료, 섬유 및 직물, 차량 및 부품, 기계 및 부품, 플라스틱, 알루미늄, 종이류, 철강제품 등이다. 전체 수입 중 캄보디아 내 생산을 위한 각종 원부자재 관련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꽤 큰 편이다. 참고로, ITC Trade Map 등 세계 무역 통계를 보면 최근 캄보디아의 금(gold) 수입이 크게 늘어 2020년과 2021년 수입액이 각각 10억4500만 달러와 59억4000만 달러 이상을 기록했으나 캄보디아 관세청 무역통계에는 금을 제외한 무역 통계(non-gold trade)만 반영돼 있다. <2022 캄보디아 품목별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 순위 HS Code(chapter) 및 품목 수입액 증감률 비중 1 27- 광물연료 3,667 52.6 12.2 2 60- 편직물 2,891 -2.1 9.7 3 87- 차량 및 부품 2,374 20.7 7.9 4 84- 기계류 및 부품 1,468 6.4 4.9 5 85- 전기기기 및 부품 1,464 23.0 4.9 6 39- 플라스틱 및 그 제품 1,216 4.5 4.1 7 55- 인조스테이플섬유 1,199 7.2 4.0 8 76- 알루미늄과 그 제품 780 45.7 2.6 9 48- 종이·제지용 펄프 등 617 -2.0 2.1 10 73- 철강 제품 608 7.6 2.0 11 38- 화학공업 생산품 593 40.9 2.0 12 52- 면 507 -5.9 1.7 13 23- 조제 사료 414 23.2 1.4 14 40- 고무 및 그 제품 373 39.3 1.2 15 72- 철강 359 23.1 1.2 합계 29,941 4.3 100.0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한국의 대캄보디아 교역 동향 한국과 캄보디아 간 교역은 꾸준히 증가해 2019년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과 2021년 감소했다가 2022년 다시 10억5100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2년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은 전년대비 2.9% 증가한 6억4200만 달러를, 수입은 19.7% 증가한 4억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참고로, 한-캄보디아 교역 규모의 경우 한국무역협회와 캄보디아 관세청 무역통계 간에 상당한 편차가 존재한다. <최근 5년 한국의 대캄보디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연도 수출 수입 수지 교역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18년 660 9.4 314 20.3 346 974 2019년 697 5.5 336 6.8 361 1,033 2020년 567 -18.6 318 -5.3 249 885 2021년 624 10.0 342 7.4 282 966 2022년 642 2.9 409 19.7 233 1,051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 한국의 대캄보디아 주요 수출 품목은 음료, 섬유 및 직물, 가죽, 차량, 화장품, 의약품 등이다. 대캄보디아 수출 효자 상품으로 알려져 있는 박카스를 포함한 음료가 2022년에도 11.6%의 비중으로 수출 1위 품목 자리를 유지했다. 음료 외에 낙농품, 라면류 등의 가공식품도 수출 상위 20대 품목에 포함됐다. 승용차 수출은 2021년 대비 70.8% 증가한 반면 화물자동차 수출은 41.9% 감소했다. 의약품 수출이 60% 이상 대폭 감소한 것은 효과적인 방역정책으로 코로나19 상황이 크게 개선되고 관련 제한 조치가 폐지되어 관련 제품 수요가 약화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겠다. <대캄보디아 주요 수출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수출품목 2021년 2022년 금액 증감률 비중 금액 증감률 비중 1 음료 72,872 -1.1 11.7 74,265 1.9 11.6 2 편직물 71,424 6.9 11.4 69,950 -2.1 10.9 3 기타가죽 47,604 64.6 7.6 61,065 28.3 9.5 4 승용차 28,855 47.4 4.6 49,275 70.8 7.7 5 화물자동차 54,756 -11.7 8.8 31,839 -41.9 5.0 6 화장품 22,539 23.0 3.6 29,427 30.6 4.6 7 경유 0 0.0 0.0 25,281 0.0 3.9 8 기타의직물 25,203 82.1 4.0 24,662 -2.1 3.8 9 의약품 50,971 187.5 8.2 20,110 -60.5 3.1 10 기타섬유제품 24,162 -33.9 3.9 19,958 -17.4 3.1 11 알루미늄조가공품 13,129 -71.9 2.1 13,867 5.6 2.2 12 전선 8,340 -18.7 1.3 12,441 49.2 1.9 13 자동차부품 13,049 34.7 2.1 10,224 -21.6 1.6 14 낙농품 6,366 57.0 1.0 9,073 42.5 1.4 15 기타정밀화학제품 8,597 1169.6 1.4 8,858 3.0 1.4 16 평판디스플레이 6,876 11.9 1.1 8,543 24.2 1.3 17 기타플라스틱제품 6,171 -22.4 1.0 8,134 31.8 1.3 18 플리에스터직물 7,541 66.9 1.2 7,666 1.7 1.2 19 나일론직물 3,533 140.9 0.6 7,260 105.5 1.1 20 면류 6,730 3.9 1.1 7,260 7.9 1.1 합 계 623,848 10.0 100.0 642,034 2.9 100.0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MTI 4단위)] 대캄보디아 주요 수입 품목은 의류 및 액세서리, 신발, 가방, 제어용 케이블, 천연고무,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자전거 등이다. 대캄보디아 전체 수입 중 의류, 신발 가방 등의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육박할 정도로 매우 높다. <대캄보디아 주요 수입 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수입품목 2021년 2022년 금액 증감률 비중 금액 증감률 비중 1 편직제의류 109,381 -9.6 32.0 124,439 13.8 30.4 2 신발 54,129 12.9 15.8 71,318 31.8 17.4 3 직물제의류 56,646 19.2 16.6 65,100 14.9 15.9 4 제어용케이블 36,160 -15.9 10.6 49,318 36.4 12.1 5 천연고무 18,447 280.5 5.4 26,128 41.6 6.4 6 가방 23,518 13.8 6.9 23,707 0.8 5.8 7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9,648 145.6 2.8 11,967 24.0 2.9 8 자전거 3,086 50.7 0.9 5,879 90.5 1.4 9 의류악세서리 2,897 7.9 0.8 4,742 63.7 1.2 10 취미오락기구 3,902 -12.9 1.1 3,848 -1.4 0.9 합 계 341,515 7.4 100.0 408,891 19.7 100.0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MTI 4단위)] 2023년 캄보디아 대외교역 전망 캄보디아 상무부는 2022년 성과 검토 및 2023년 목표 설정을 위한 연례회의에서 코로나19 영향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에너지 및 식량 위기, 인플레이션 등 전 세계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2022년 캄보디아 상품 수출이 상당한 성장을 기록했다고 높이 평가했다. 또한 이런 좋은 성과는 캄보디아의 효과적인 코로나19 관리, 지속적인 개혁 노력, 수출 경쟁력 개선, 우호적인 비즈니스 및 투자 환경 등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상무부는 특히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캄보디아-중국 FTA, 한국-캄보디아 FTA 등의 자유무역협정 발효와 각종 관세특혜 등으로 시장이 다각화되어 지난해 대외교역과 수출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들은 각종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의 수출 품목 다변화 및 시장 다각화 노력, 자유무역협정 등을 바탕으로 올해 캄보디아 대외교역도 긍정적인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료: 캄보디아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K-stat 무역통계, ITC Trademap, 프놈펜포스트, 크메르타임즈,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프놈펜무역관 서정아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6
2023 캄보디아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2019년까지 약 20여 년간 7% 내외의 탄탄한 경제성장을 지속해 오던 캄보디아는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3.1%의 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효과적인 코로나19 관리 및 상대적으로 빠른 경제활동 재개 등을 바탕으로 2021년 3%, 2022년 5% 내외의 경제 성장을 달성했다. 2023년 캄보디아는 전 세계 경제 위기 및 불확실성 등 다양한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무역, 관광, 외국인직접투자 등의 회복세를 바탕으로 약 6% 내외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캄보디아 정부, 2023년 경제성장률 6% 내외 전망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최근 발표한 ‘2022 거시경제 및 은행 부문 성과 및 2023년 전망’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정부의 효과적인 보건 정책 및 코로나19 관리로 2022년 국내 경제활동이 재개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위드코로나’ 관련 다양한 경제 및 금융 조치 도입과 은행 부문 규제 완화 등이 캄보디아 경제 성장 회복을 지원하고 가속화했다고 평가했다. 중앙은행은 이러한 국내 여건 및 외부 수요 증가 등을 바탕으로 2022년 캄보디아 경제가 5.1%의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예측했다. 부문별로는 제조업 9.4%, 호텔 및 식당 15.2%, 운송 6.1%, 도소매업은 4.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수출은 19.8%, 수입은 8% 증가했고 관광 수익도 6.6% 성장했으며, 캄보디아 이주 근로자들의 본국 송금은 4% 증가했다. 의류 및 식품 가공 분야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도 4% 증가했다. 외환보유액은 약 7개월분 수입대금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수출 및 FDI 증가가 외환보유액 감소 폭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당 리엘 환율은 전년 대비 0.1% 하락한 4,102리엘로 안정세를 기록했다. 2022년 평균 인플레이션은 연료 및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2021년 2.9%보다 상승한 5.3%를 기록했다. 시기별로는 2022년 상반기 말 7.8%로 가장 높았으나 연료 및 식료품 가격이 하락하면서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 민간 부문 대출은 21%, 소비자 예금은 11.3% 증가했다. 결제 시스템이 현대화되면서 전자지갑 사용자 계정은 1,790만 개에 달했다. 2023년 캄보디아는 글로벌 경제 위기 및 불확실성 등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경제 재개로 무역, 관광, 투자를 포함한 주요 경제 부문이 회복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캄보디아 중앙은행은 2023년 캄보디아 경제가 약 6% 내외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의류 제조업은 6.9%, 비의류(non-garment) 제조 부문은 14.3%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고, 관광 부문은 중국 관광 재개 및 항공편 증가 등에 따른 국내외 관광 활성화에 힘입어 18.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농업 부문은 RCEP, FTA 및 유럽 시장의 캄보디아 쌀에 대한 세이프가드 해제 등을 바탕으로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건설 및 부동산 부문의 경우 보급형 주택에 대한 내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각각 1.7%와 2.1%의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세계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2023년 인플레이션 또한 매우 불확실할 것으로 전망했다. 캄보디아 경제재정부(Ministry of Economy & Finance)는 지정학정 긴장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수출 및 관광 회복 등에 힘입어 2022년 캄보디아 경제가 5.2% 성장한 것으로 분석했다. 경제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의류 및 비의류 제조 부문은 각각 10.8%와 12.2% 성장했으며, 호텔 및 요식업은 30%, 농업은 0.7%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및 부동산은 각각 0.5%와 0.2%라는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도소매 부문은 내수 회복에 힘입어 4.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 경제 성장률 및 인플레이션 추이> [자료: 캄보디아 경제재정부] 한편 경재재정부는 코로나19 여파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지역 및 세계 경제가 침체되는 등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2023년 캄보디아 경제 성장 전망을 지난 10월 전망치인 6.6%에서 5.6%로 하향 조정했다. 부문별로는 의류를 포함한 수출 부문이 EU 등 외부 수요 감소로 5.5%의 다소 둔화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비의류 제조는 가구, 태양광, 전자부품 등 일부 수출 품목의 높은 잠재력과 식음료 등 내수 생산을 바탕으로 11.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 및 부동산 부문은 해외자금유입의 더딘 회복세로 각각 1.1%와 1.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농업 부문 1.1%, 도소매 부문은 6.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 부문은 사람들의 이동 증가, 중국 봉쇄 해제, 동남아시아 경기대회(SEA Games) 개최 등으로 32.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이션은 유가 및 기타 원자재 가격이 정상 수준으로 점진 회복됨에 따라 약 3.2%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지역 및 글로벌 지정학적 갈등 고조, 세계 경제 침체 심화, 미국 등의 통화긴축 장기화, 신흥국 등에서의 부채 리스크 증가,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등 잠재적 위협으로 인한 하방 리스크도 경고했다.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 전망은? 세계은행은 지난해 말 발표한 “캄보디아 경제 업데이트” 보고서에서 캄보디아가 효과적인 방역 정책 시행으로 코로나19 관련 침체에서 회복하고 있으며, 상품 수출, 관광 부문의 점진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2022년 캄보디아 GDP가 4.8%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의류·신발·여행용품 수출이 견조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고 투자심리 회복에 따라 외국인직접투자를 비롯한 투자도 증가하고 있으며, 여행 및 관광업을 비롯한 서비스 부문 또한 ‘위드코로나’ 정책 시행과 함께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경제 성장률 및 부문별 기여도> (단위: %) 주: 2022년은 추정치, 2023년은 전망치 [자료: 세계은행] 한편 세계은행은 지난해 캄보디아의 경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올해 경제성장률은 2022년 6월 전망치인 5.8%보다 0.6% 하락한 5.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무역 둔화, 인플레이션, 낮은 생산성, 세계 에너지 공급 불안, 금리 인상 등도 캄보디아를 포함한 개도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캄보디아 수출 주도형 제조업의 경우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이나 EU의 경기 침체 및 수요 감소에 취약하며, 대캄보디아 최대 투자국인 중국의 경기 침체 또한 투자 및 자금 유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RCEP, 캄-중 FTA, 한-캄 FTA 등 자유무역협정으로 농업 생산 및 농가공 부문 성장이 예상되고 인프라 부문 투자 확대로 관광 및 접객업 등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기 전망은 긍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세계은행은 또 에너지 가격 상승 장기화, 지정학적 갈등 고조, 스태그플레이션, 금융 불안정, 공급망 교란 지속, 식량 불안 악화 등 다양한 요인들이 캄보디아 경제 회복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캄보디아가 지속가능성을 위해 재정 여력을 회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과세 표준 확대, 재정안정성 보호, 관광 및 접객업 등의 내수 경제 촉진, 공급망 관련 문제 해결을 통한 외부 경쟁력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23년 캄보디아 경제가 6.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022년 캄보디아 경제 성장 전망치를 5.3%로 유지했지만, 2023년도 전망은 세계 경제 성장 둔화를 이유로 기존 전망치인 6.5%에서 6.2%로 하향 조정했다. 2023년 캄보디아 주요 이슈 (제7대 총선) 2023년 캄보디아 내 최대 관심사는 단연 7월 23에 실시될 제7대 캄보디아 총선이다. 집권여당인 캄보디아국민당(CPP)은 지난 2018년 치러진 제6대 총선에서 125석 전석을 차지한 데 이어 2022년 지방선거에서도 대승을 거두었으며, 올해 치러질 제7대 총선에서도 무난한 승리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훈센 총리의 장남인 훈마넷 장군이 차기 총리 후보로 결정된 가운데, 총리직 승계 시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무역협정 효과) 캄보디아는 다양한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통해 수출시장 다각화 및 교역·투자 확대에 힘쓰고 있다. 2022년 1월 캄보디아-중국 FTA 및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12월에는 한-캄보디아 FTA가 공식 발효되었으며, 인도, 영국, 유라시아경제연합 등과의 FTA 체결도 검토 중이다. 캄보디아 상무부에 따르면 2022년 RCEP 회원국에 대한 캄보디아의 수출과 수입은 각각 7%와 3% 증가했으며, 교역은 4% 증가했다. 캄보디아는 각종 FTA를 적극 활용하여 주요국과의 무역 및 투자 협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확대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경제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핵심 인프라 개선) 캄보디아는 도로, 철도, 공항 등 핵심 인프라 확충 및 개선을 통해 연결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2022년 캄보디아 최초의 고속도로인 프놈펜-시하누크빌 간 고속도로 개통을 시발점으로 프놈펜-바벳 간 고속도로 건설도 추진 중이며, 그 외에도 주요 국제공항 신설 또는 증축, 철도망 개선 등 핵심 인프라 확충을 통한 연결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관광 부문 회복) 캄보디아 핵심 성장 동력 중 하나인 관광 부문은 코로나19로 관광객 급감, 관련 업체 폐업 등 심각한 침체를 겪었으나, 내국인 관광 회복, 국가 재개방 등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캄보디아 관광부에 따르면 2022년 캄보디아를 찾은 외국인 방문객 수는 전년 대비 1,058% 증가한 227만 6600여 명을 기록했다. <캄보디아 외국인 관광객 동향> [자료: 캄보디아 관광부] 올해는 특히 중국의 봉쇄 해제로 인한 중국인 단체 관광 재개, 캄보디아에서 개최되는 동남아시아 경기대회(SEA Games) 및 ‘캄보디아 방문의 해’ 캠페인 등을 통해 회복세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캄보디아 정부는 올해 약 400만 명의 외국인이 캄보디아를 찾아 관광업계가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료: 캄보디아 중앙은행, 캄보디아 경제재정부, 캄보디아 관광부,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국제통화기금, 프놈펜포스트, 크메르타임즈, KOTRA 프놈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프놈펜무역관 서정아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6
체코 대선, 페트르 파벨 후보자 당선
체코 4대 대통령에 페트르 파벨(Petr Pavel) 당선 <체코 4대 대통령 당선자 페트르 파벨> [자료: 페트르 파벨 facebook] 2023년 1월 27~28일 실시된 체코 대선 결선투표에서 전 체코군 참모총장, NATO 군사위원장 출신의 무소속 후보인 페트르 파벨(Petr Pavel)이 야당 (ANO당) 대표이자 전 총리인 바비쉬(Andrej Babiš) 후보를 이기고 당선됐다. 파벨 당선인은 1993년 슬로바키아와 분리 후 체코 공화국의 4대 대통령으로서 2023년 3월 9일* 부터 공식 취임해 5년간 임기를 수행한다. * 현직 제만 대통령의 임기는 2023년 3월 8일자로 종료 파벨 당선인은 2차 투표에서 57.8%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41.68%의 득표율을 얻은 바비쉬 후보와 약 16% 이상의 상당한 차이로 당선을 확정지었다. 앞선 1차 투표(1월 13~14일)에서 두 후보는 단 0.4%의 근소한 차이를 보인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이는 1차 선거 이후 피알라 총리는 물론 네루도바, 피셰르, 힐셰르 등 결선에 진출하지 못한 경쟁 후보들도 파벨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면서 타 후보자 지지층 및 부동층의 표를 확보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반면 바비쉬 후보의 경우 지지층과 반대층이 분명한 편으로 중도층을 흡수하기 어려웠던 점, 네거티브 선거 캠페인 등이 패배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파벨 당선인은 13개 주와 프라하시에서 모두 승리했으며, 특히 프라하에서는 76.4%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한편 이번 대선의 1,2차 투표율은 각각 68%, 70%로 역대 대선 중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이는 러-우 사태, 그에 따른 에너지 위기, 역대 최고수준의 인플레이션 등 대내외 현안이 엄중한 가운데 새로운 리더십의 중요성이 그만큼 부각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당선 후 파벨 당선인은 소감을 통해 "이번 승리가 체코 국민 대부분이 공유하는 진리,존엄, 겸손과 같은 가치의 승리다"고 밝혔다. 바비쉬 후보도 패배를 인정하고 파벨에게 축하를 건넸으며 새로운 대통령을 지지해 줄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3년 1, 2차 체코 대선 결과> [자료: novinky.cz] 피알라 총리가 이끄는 현 내각과 협치 강화 기대 체코는 헌법상 의원내각제(총리 중심)를 채택하고 있지만 직선제로 선출되는 대통령은 국가수반으로서 정치적 대표성과 정당성을 가진다. 대통령이 행정부를 통솔하지 않는 만큼 세부 정책의 수립과 집행은 총리가 주도하는 내각의 몫이지만 대통령은 총리, 내각, 중앙은행총재, 헌법재판소장 등의 임명권을 가지며, 국군통수권자로서 국방, 외교 분야 대표성을 가진다. 정책 면에서도 의회를 통과한 동일 사안에 대해 최대 3회까지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어 대통령의 성향, 내각과의 관계에 따라 영향력이 커질 수 있다. 대통령-총리간 정치적 입장이 다를 경우 정책 추진 및 안정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파벨 당선인은 피알라 총리와 비슷한 중도우파, 친서방 인사로 평가 받으며 피알라 총리도 선거 과정에서 파벨 후보를 지지한 바 있다. 반면 현 제만(Miloš Zeman) 대통령의 경우 현 내각과 일부 다른 정치적 견해를 보여 왔다. 전문가들은 피알라 총리가 지지했던 파벨 후보가 당선됨으로써 내각과 대통령의 협력 증진, 내각의 정책 추진력 확보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정치학자 Kopeček는 파벨은 여당의 후보가 아니었지만 현 정부의 지지를 받은 만큼, 파벨 차기 대통령과 현 정부의 관계가 이전보다 갈등이 적고 훨씬 더 합의적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파벨 당선인 역시 당선 후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전직 대통령들과 달리 정치 경험이 없는 점이 오히려 독립적이고 당파적이지 않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며, 정치 경험 부족을 개방적 자세로 해결책을 찾는 노력으로 채우겠다고 밝혔다. (경제) 파벨 당선인은 유로화 채택을 지지하는 입장이며, 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특정기간 일부 세금 인상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와 의회에서 경제 정책을 시행하고 대통령은 법안 승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권한을 행사하는 만큼 세부 경제정책 결정에 대한 대통령의 영향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세부 경제정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다만 경제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조짐, 높은 인플레이션, 재정적자 심화 등 당면 경제 과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현 시점에서, 차기 대통령과의 협력적인 관계는 정책 추진 속도를 높일 수 있어 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UniCredit 은행 경제 전문가인 Sobíšek은 “체코 대통령의 경제적 영향력은 간접적이고 제한적이며, 국내 경제정책에서 대통령의 권한은 주로 관련 법안 승인의 가속화 또는 지연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행사된다"고 언급했으며, Creditas 은행 경제 전문가 Dufek도 “대통령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다만 경기침체, 인플레이션 문제 등 현안을 풀어야 하는 피알라 내각 입장에서 적대적이지 않은 대통령이 당선된 것은 반길만 한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경제 전문가 Hradil은 “파벨 후보의 당선이 체코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구체적 경제정책은 내각이 실행하겠지만, 바비쉬 후보와 달리 대통령이 내각과 다른 목소리로 혼란을 야기하는 경우는 줄어들 것”이라고 언급했다. 체코 산업연맹(Confederation of Industry, SP)은 파벨 당선인에 사회안정과 수출지원을 요청했다. 산업연맹 측은 “기업들에게는 사회안정과 균등, 예측가능한 사업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통령이 선거 당시 경제외교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는 만큼 차기 대통령의 해외 순방이 기업들에 새로운 시장을 열어주고, 기업들이 외국 방문에 동행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 고 밝혔다. (에너지) 선거 캠페인을 통해 파벨은 자립적, 효율적 에너지 확보를 우선 순위 중 하나로 선정한 바 있다. 러시아산 에너지 대체를 위해 독일, 폴란드 등 주변국과 천연가스 운송 인프라 확장 협력 강화를 위한 외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또한 원전에 대한 관심도 표명하면서 안전한 저탄소 에너지원인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을 위해 부지 마련, 해외 기술 공급사와 협력, 필요한 법 개정 등을 지원할 계획을 캠페인을 통해 밝힌 바 있다. 추가로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같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촉진도 지지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현 피알라 정부가 진행 중인 에너지 정책 방향과도 맥을 같이 하고 있어 소형모듈원자로(SMR), 재생에너지 개발 관련 정부 지원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 파벨 당선자의 체코군 육군참모 총장, NATO 군사위원장 경험이 강점으로 작용할 분야다. 체코 정부가 추진 중인 GDP의 2% 수준으로 국방비 증액을 찬성하며 효율적인 국방비 사용을 통해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방산장비 구매는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우선 국방전략 수립 측면에서 포괄적 분석이 수반되어야 하며, 장갑차, 포병, 레이더, 헬리콥터 등의 현대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외교) 외교 측면에서는 파벨 당선인이 친서방, 친EU, 친NATO 성향을 가진 인사로 분류되는 만큼 피알라 총리 내각과 공조 속에 EU 및 NATO와 협력관계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점쳐진다. Sobíšek UniCredit 경제전문가는 "외교 측면에서는 대통령이 대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만큼 외교면에서 현 정부와 한목소리를 낸다면 피알라 정권 외교에 힘이 실릴 것이고, 그의 NATO 군사위원장 경력은 EU, 미국과 관계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파벨 본인도 외교정책 우선순위에서 대통령, 정부, 의회 간의 불일치가 국제사회에서 체코의 위상과 영향력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향후 정부와 조화를 이루고 예측 가능한 대외정책을 펴나가겠다고 선거운동 기간 중 밝혔다. 이에 따라 향후 내각과 조화를 이룬 외교정책이 추진될 경우 체코의 국제사회에서 입지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외신들도 파벨의 ‘친서방’ 외교성향에 주목하고 있다. 르 몽드(Le Monde)지는 체코 대선 소식을 전하는 기사 헤드라인에서 ‘파벨 당선으로 친유럽 온건파 대통령이 복귀했다’고 보도하였으며, 블룸버그도 파벨 후보자의 승리가 러시아와 갈등을 겪는 EU 회원국 단합에 기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파벨은 후보들 중 우크라이나 지원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인사로, 관련 지원 및 향후 있을 재건 사업에 체코의 참여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트위터를 통해 파벨의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며, 당선 직후 통화하여 향후 긴밀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사점 2022년 1월 피알라 총리가 이끄는 중도우파 연립정부가 들어선지 1년여만에 역시 중도우파, 친서방 성향의 대통령이 당선됐다. 2022년부터 러-우 사태, 에너지 가격 급등, 인플레이션 등 어려운 과제에 직면한 체코 정부가 새로운 리더십의 변화를 맞게된 것이다. 국내적으로는 대통령과 총리가 이끄는 정책 방향의 합치로 정책 추진력 및 안정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대외적으로도 일관된 외교노선으로 EU, NATO와 협력이 지속될 것이란 관측이다. 당선인이 군사외교 전문가로 군 현대화, 원전,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에너지 안보 등을 지지하고 있는 만큼 관련 분야에서 우리 기업과 협력 기회도 주목해볼 때다. 자료: ceskenoviny.cz, irozhlas.cz, seznamzpravy.cz, novinky.cz 및 KOTRA 프라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프라하무역관 정지연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3
2023년 미얀마 경제 및 시장 전망
미얀마는 2010년대 초중반 경제 개방을 본격화하며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잠재력 높은 시장으로 주목받았다. 해당 시기에는 외국인 투자와 대외 교역 규모가 모두 증가했으며 경제성장률도 6% 내외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부터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경기가 급격히 하강했으며, 2021년에는 군부 쿠데타와 국가 비상사태 선포라는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경제 위기를 맞이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이 군부 집권에 반대하며 부과한 경제 제재와 현지 근로자들이 전면 파업 형태로 전개한 ‘시민불복종운동(CDM, Civil Disobedience Movement)’이 주요 악재로 작용했다. 2022년 금융·교역 통제와 경기 침체 2021년 하반기부터는 양곤(Yangon)과 만달레이(Mandalay) 등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정세가 다소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시민불복종운동에 참여했던 공무원과 항만 근로자들의 업무 복귀로 물류시스템이 정상화됐으며 코로나19로 중지됐던 중국, 태국과의 국경 무역도 재개됐다. 그러나 외환보유고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현지 정부의 금융 및 무역 통제가 시행되며 2022년에도 미얀마 경제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했다. 특히 2022년 4월 3일 미얀마 중앙은행이 외화의 보유 및 거래를 제한하는 ‘행정명령 제12/2022호’를 도입하여 기업의 경영 환경이 크게 악화됐으며, 상무부도 수입 라이선스(Import License) 심사 대상을 HS Code 10자리 기준 9032개 품목으로 대폭 확대해 해외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을 어렵게 했다. 또한 지난해 10월 20일부터 21일 사이에 개최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Financial Action Task Force) 총회에서 미얀마가 ‘고위험국가’로 재지정되며 금융 환경이 더욱 악화됐다. 이와 같은 대내외 불안 요소들이 미얀마 경제에 미친 영향은 지난해 무역 및 투자 관련 지표에서 확인된다. 특히 무역에서는 교역 규모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수입이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제 2022년 교역 규모는 총 352억4230만 달러로 팬데믹 이전인 2019년 367억2860만 달러에 근접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와 국가 비상사태로 294억7150만 달러까지 위축됐던 2021년의 교역 총액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그러나 교역 규모 전반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수입 총액은 174억2670만 달러에 그치며 여전히 2019년(186억1100만 달러) 수준까지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가 외화 거래와 수입 라이선스 발급을 제한하는 현재의 정책을 이어간다면 수입 시장은 앞으로도 한동안 침체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도별 수출입 동향> (단위: US$ 백만) 구분 총 교역량 수출 수입 무역수지 2019년 36,728.6 18,117.6 18,611.0 -493.4 2020년 34,905.2 16,936.6 17,968.6 -1,032.0 2021년 29,471.5 15,144.9 14,326.6 818.3 2022년 35,242.3 16,815.5 17,426.7 -611.2 주: 상기 표는 일반적인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작성됨. [자료: 미얀마 통계청, 상무부] 투자유치 실적도 부진했다. 미얀마 투자기업관리국(DICA, Directorate of Investment and Company Administration)이 회계연도 개정 이후인 2022년 4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집계한 8개월간의 외국인 투자유치 금액은 총 14억6200만 달러였다. 이는 임시 회계연도로 설정된 2021년 10월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6개월간 집계된 6억4700만 달러와 비교했을 때 추세상 양호한 수치이지만, 2020-2021 회계연도 연간 투자유치액인 37억9100만 달러와 2019-2020 회계연도의 연간 실적 48억8100만 달러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실제로 국가 비상사태 선포 이후 미국의 쉐브론(Chevron), 프랑스의 토탈(Total Energies), 일본의 기린(Kirin), 노르웨이의 텔레노르(Telenor) 등 서방권 주요 기업들이 투자를 중단하거나 철수했으며 공적개발원조(ODA) 사업도 대부분 중지된 바 있다. 미얀마 정부는 중국, 태국 등 제3국에서 대체 투자를 유치하겠다고 밝혔으나 연간 실적을 회복할 만큼의 성과는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9개 회계연도 외국인투자 동향> (단위 : US$ 백만) 회계연도 2015-2016 2016-2017 2017-2018 2018 (2018. 4~9.) 2018-2019 2019-2020 2020-2021 2021-2022 (2021.10.~2022.3.) 2022~2023.12. 투자규모 9,486.123 6,649.812 5,718.086 1,764.701 4,158.474 4,880.973 3,791.398 647.127 1,462.325 [자료: 미얀마 투자청(MIC)] 상기 표는 미얀마식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작성됐다. 2018년 4월 이전에는 ‘시작연도의 4월 1일부터 종료연도의 3월 31일까지’를 1회계연도로 정의했으며 이후 ‘시작연도의 10월 1일부터 종료연도의 9월 30일까지’로 회계기준이 변경된 바 있다. 그리고 2021년 10월 기존 회계기준인 ‘시작연도의 4월 1일부터 종료연도의 3월 31일까지’가 다시 도입됐다. 회계연도 변경 과도기에는 임시회계연도가 설정된다. 글로벌 경제분석기관의 2023년 전망 이처럼 2022년의 경제 성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글로벌 경제분석 기관들이 미얀마의 2023년 경제 전망을 잇따라 발표했다. 국제신용등급 평가기관 피치 그룹(Fitch Group) 산하의 ‘피치 솔루션(Fitch Solutions)’은 미얀마의 점진적 경제 회복을 예상하면서도 반등 속도는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피치 솔루션은 먼저 미얀마 통계청 자료에 나타나는 월간 철도 교통량과 화물 운송량의 반등을 언급하며 경제가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기업들이 정치 환경에 점차 적응해나가고 있다고 분석했으며, 중국의 경기 회복도 대중(對中) 수출이 전체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미얀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022년 6월 한 때 20%에 이르는 등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세계은행(World Bank)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빈곤층이 전체 인구의 40%에 이르는 등 부정적 요소가 여전하다는 사실도 지적했다. 이와 같은 경제 상황을 종합하여 피치 솔루션이 추산한 2023년의 경제성장률은 2.5%로 2021년 기록한 –17.9%의 역성장과 2022년의 정체(0.5%)를 만회하기에는 부족한 수치이다. <미얀마의 경제성장률(좌)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우)> [자료: Macrobond, Fitch Solution] 국제통화기금(IMF)은 2022년 경제성장률을 2.0%로 추산했으며, 2023년에는 3.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피치 솔루션보다는 다소 높은 수치를 제시했다. 단, 이후 4년간의 경제성장률은 2024년 3.4%, 2025년 3.2%, 2026년 3.3%, 2027년 3.6%로 지속적인 정체를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은행(World Bank)도 최근 발표한 ‘Myanmar Economic Monitor’ 보고서에서 미얀마가 신규 회계연도 종료 시점인 2023년 9월 말까지 3.0%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은행은 동아시아 및 아태지역 국가 대부분이 팬데믹 이전의 경제 수준을 회복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미얀마의 경기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양곤 시내에서 진행 중인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현장>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자체 촬영] 글로벌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Economist)의 계열사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 이하 EIU)’도 지난해 9월 26일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발표한 ‘Country Report’ 보고서를 통해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EIU는 미얀마 경제가 2022년 4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집계될 2022-2023 회계연도에 2.5%의 성장세를 기록하며 지난 2년간의 경기 후퇴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현 군정의 경제 운영이 미숙하고 아세안에서 가장 유망한 시장이라는 평판도 잃었기 때문에 경제를 이끌 장기적 성장 동력이 상실됐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2023년 4월 1일부터 시작되는 2023-2024 회계연도의 경제성장률은 보다 낮은 2.1%로 추산했으며, 이후의 경기 회복도 느리게 진행돼 2027-2028 회계연도에 이르러서야 4.8%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특히 경제 개방 시기에 기록했던 6.0% 내외의 성장세는 단기간 내에 재달성하기 어렵다고 평했다. <미얀마의 향후 경제성장률 전망치> 지표 2022/2023 2023/2024 2024/2025 2025/2026 2026/2027 2027/2028 경제성장률(%) 2.5 2.1 2.8 3.6 4.5 4.8 주: 상기 표는 미얀마식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작성됨. [자료: Economist Intelligence Unit] EIU는 다른 경제 지표에 대한 장기적 전망치도 제시했다. 먼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022년에 17.1%, 2023년에도 11.2%로 높게 유지되지만 이후에는 안정세를 보이며 2027년 6.2%까지 내려올 것으로 분석했다. 참고로 미얀마는 경제 개방 시기인 2010년대 중반 6%에서 9% 사이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고용 상황은 예측 기간 동안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EIU가 추산한 2023년의 실업률은 10.2%였으며 4년 후인 2027년의 예상치도 9%로 비교적 높게 산정했다. 또한 현지화 차트의 지속적인 가치 하락과 달러화 환율의 상승을 전망하고 있다. 2022년의 평균환율은 달러당 1942차트로 계산됐는데 해당 기간 중 미얀마 중앙은행 고시환율은 4월 3일부터 8월 5일까지는 달러당 1850차트, 이후 연말까지는 2100차트로 유지된 바 있다. EIU는 평균 고시환율이 2023년 달러당 2301차트로 오르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해 2027년에는 달러당 3000차트를 돌파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단, 이는 미얀마 중앙은행의 고시환율 변동을 추산한 수치이므로 실제 시장 환율은 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경제지표별 전망치> 지표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 평균) 17.1 11.2 8.7 7.7 6.9 6.2 소비자 물가 상승률(%, 기말) 15.9 9.4 8.2 7.3 6.6 5.9 대출 금리(%) 14.5 14.5 14.5 14.5 14.5 14.5 수출(10억 달러, FOB기준) 10.5 10.9 11.5 11.9 12.4 13.3 수입(10억 달러, FOB기준) 11.5 11.8 12.3 12.8 13.1 13.7 경상수지(10억 달러) -2.2 -2.0 -1.8 -1.7 -1.3 -1.0 경상수지(%, GDP 대비) -3.6 -3.5 -3.0 -2.8 -2.7 -1.9 대외부채(10억 달러, 기말) 15.4 15.3 15.7 15.8 15.8 15.8 환율(달러당 차트, 평균) 1,942 2,301 2,561 2,731 2,873 3,015 환율(달러당 차트, 기말) 2,155 2,433 2,651 2,796 2,938 3,080 실업률(%) 10.5 10.2 9.5 9.2 9.0 9.0 주: 상기 표는 일반적인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작성됨. [자료: Economist Intelligence Unit] 소비 시장 전망 소비 시장에 관해서는 부정적인 전망이 이어졌다. 특히 대부분의 경제분석기관들은 시장 침체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높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지목하고 있다. 실제로 피치 솔루션은 미얀마의 2023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앞서 언급한 EIU의 전망치보다 더 높은 18%로 추산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2023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 예상치를 13.3%로 책정했다. 11.2%를 제시했던 EIU는 극심한 물가 상승에 따른 압력이 민간 소비 증가율을 1.5% 수준으로 제한할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소득의 감소도 소비 시장 회복을 저해하는 악재로 지목되고 있다. EIU는 높은 실업률과 가계 소득의 감소, 저축의 축소가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소득 감소 정황도 다방면으로 관찰되고 있다. 세계은행은 1월 30일 발표한 ‘Myanmar Economic Monitor’에서 2023년 미얀마 국민의 1인당 소득이 2019년보다 13% 가량 낮아질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지난 2022년 7월과 8월 국제식량정책연구소(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가 실시했던 조사를 인용하며 전체 가구의 46%에서 소득 감소가 관찰됐고 인구의 절반에서 식품과 비(非)식품 소비 전반의 축소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양곤시 중심가 대형 쇼핑몰의 모습>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자체 촬영] 시장 회복에 대한 생산자들의 전망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시장조사기관 IHS Markit은 미얀마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Purchasing Managers' Index)가 2022년 12월 42.1까지 떨어졌다고 전했다. 구매관리자지수는 기업의 구매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신규 주문, 생산, 고용, 원자재 공급, 재고 등 5개 항목에 관한 향후 전망을 ‘악화(worse)’, ‘불변(same)’, ‘개선(better)’ 중 하나로 답하게 한 뒤 합산한 수치이며 50 이상은 경기 확장이, 50 미만은 경기 축소가 예상됨을 의미한다. 미얀마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는 계속해서 50 미만의 부정적 수치를 보여왔으며 특히 2022년 12월 집계된 42.1은 지난해 월별 지수 중 가장 낮은 값이다. <2021년 1월~2022년 12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 조사 결과> [자료: IHS Markit] 미얀마 군부의 국가 비상사태 적용 기간 연장 이런 가운데 미얀마 군정은 2023년 2월 1일 국가 비상사태 적용 기간을 추가로 6개월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군정은 지난 2021년 2월 1일 무력 집권 직후 1년간의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으며, 이후 6개월의 기간 연장을 2차례 발표한 바 있다. 미얀마 헌법 제425조에는 국가 비상사태 기간이 6개월씩 ‘통상 2회까지 연장하도록 허용된다(normally permit two extensions)’고 규정돼 있으나 군정은 이번에 3번째 연장을 단행하며 현재 정세가 특수 상황으로 간주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참고로 군정이 밝힌 비상사태 연장 사유는 정세 안정의 임무 미완과 원활한 총선의 준비 등이다. 비상사태 적용 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외환 규제와 무역 통제 등의 경제 정책들도 한동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인터뷰에 응한 미얀마 상무부의 한 담당자는 변경된 회계연도가 끝나는 올해 3월 말까지는 정책 변화가 없을 것이며, 이후에도 국내외 정세와 외환 상황에 따라 정책 변동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얀마 투자기업관리국(DICA, Directorate of Investment and Company Administration) 관계자도 총선 전까지는 외국인 투자 정책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관광명소로 유명했던 보죡 시장(Bogyoke Market)의 현재 모습>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자체 촬영] 시사점 올해 미얀마 경제는 지난 2년간 겪었던 심각한 정체와 역성장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분석기관들이 전망한 바와 같이 근본적인 불안 요소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경기 회복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현재의 상황이 유지된다면 향후 5년 내에 갑작스러운 반등을 기록할 가능성도 높지 않다. 따라서 갑작스러운 변화를 기대하기보다는 시장의 완만한 회복을 가정하고 현지 진출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올해 8월 경 실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총선의 결과를 주시하며 장기적인 시장 진출 로드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자료: 미얀마 통계청, 미얀마 상무부, 미얀마 투자청, 미얀마 중앙은행, EIU Report, World Bank, Fitch Solutions,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3
바이든 행정부, 2050년 운송수단 탈탄소화 계획 청사진 공개
바이든 행정부는 2023년 1월 10일 “2050 운송수단 탈탄소화 계획(The U.S National Blueprint for Transportation Decarbonization)”을 공개했다. 동 계획은 에너지부, 교통부, 환경보호청, 주택도시개발부 4개 연방기관이 2022년 9월 체결한 “친환경 운송수단 촉진 MOU”를 바탕으로 설계된 것으로, 2050년까지 미국 전역의 운송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계획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주요 항목별 온실가스 배출 비중에서 운송 수단이 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점(2019년 기준)을 조명하며,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저감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운송 수단 내에서도 일반 승용차(Light Duty Behicles)가 49%로 배출량 1위를 기록해 향후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내 내연기관 차량을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항목별 미국 온실가스 배출 비중(2019년)> [자료: 에너지부(DOE) 보도자료] 2050 운송수단 탈탄소화 목표 및 전략 2050 탈탄소화 계획은 장기적인 호흡이 요구되는 만큼, 단기 목표(~2030)와 중장기 목표(~2040, ~2050)로 구분된다. (1) 2030년까지는 내연기관 자동차 비중을 낮춰가며 연구 개발 및 투자 확대로 친환경 인프라를 구축하고 (2) 2030~40년 사이에는 친환경 인프라의 도입 비중을 확대하며 사회 변화를 가속, (3) 2040년부터 50년까지 친환경 운송 수단으로의 완전한 전환을 달성할 것을 제시했다. 이로 인해, 바이든 행정부의 2050 운송수단 탈탄소화 계획은 2030년에 들어서야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 저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보고서는 각 연도별 목표 내에 운송수단 탈탄소화의 방향성을 제시했으며 전략은 크게 “편의성(Convenient), 효율성(Efficient), 청정(Clean)” 세 단계로 구분된다. (1) 시작 단계인 편의성 향상은 고용 밀집 지역, 쇼핑, 학교 등 필수 서비스 및 거주 지역 근처에 친환경 인프라를 전략적으로 설치해 지역 환경 개선과 시민의 친환경 에너지 접근성 증대에 집중한다. (2) 중간 단계인 효율성 개선은 저렴하고 접근 가능한 대중교통의 에너지 효율성을 증대하고 더 나아가 모든 차량의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목표로 둔다. (3) 마지막 단계인 청정 에너지 보급은 자동차, 상업용 트럭, 해양 운송 수단, 비행기 등에 무공해 연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을 완료해 대부분의 운송수단에 대해 신뢰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고 있다. <운송수단 탈탄소화 단계별 전략 개요> [자료: 교통부(DOT) 보도자료] 전기차 전환을 통한 탈탄소화 가속 전략 일반 승용차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비중이 가장 높아 운송수단 탈탄소화 계획의 핵심으로 지목되고 있어 이미 연방 정부 차원의 정책이 가동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청정 에너지 산업 및 일자리 촉진(Catalyzing Clean Energy Industries and Jobs Through Federal Sustainability)’ 행정명령을 통해 연방 정부가 2027년까지 일반 승용차를, 2035년까지 모든 차량을 제로배출 차량으로 조달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소비자 비용 절감, 환경 오염 완화,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한 ‘장기 연비 및 배출 표준 개발’을 시작함과 동시에 2030년까지 ‘차량 판매 비중의 5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행정명령 이외에도, 바이든 행정부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을 통해 제로 배출 운송 산업의 확장을 지원하는 소비자 인센티브와 투자를 제공하고 있다. 일례로, IRA는 USPS가 2026년부터 2년간 6만 6000대의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도록 30억 달러 예산을 지원해 2028년부터 모든 배달 차량을 100% 전기로 운용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청정 에너지 기술로의 산업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중요한 광물의 지속 가능한 수급, 배터리 생산 및 재활용에 대한 28억 달러 투자와 자동차 반도체 공급망 탄력성 증대를 위해 시설 인프라 법안, 반도체 과학법(CHIPS & Science Act) 등 주요 법안과의 연결 고리도 강화하고 있다. 다만, 현재의 노후 차량 교체율과 전기차로의 전환율 추이로 볼때는 운행 중인 3억 대 이상의 내연기관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장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2030년대 중반까지 판매되는 거의 모든 신차가 제로배출 차량이어야만 2050년 운송수단 탈탄소화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했으며, 현재 목표치인 50% 비중으로는 2050년에도 일부 차량이 화석 연료에 의존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2050년까지 전기차로의 전환 구상> [자료: 교통부(DOT) 보도자료] 따라서 바이든 행정부는 친환경 차량 제조 기술과 비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차량 전환율을 가속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중 보고서는 ‘전환에 필요한 비용 부담’을 소비자 장벽으로 지목했으며, 전기차의 높은 비용 부담 완화와 화석 연료 대비 저렴한 친환경 연료 마련에 정부가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기타 정책을 발굴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더불어, 비용 절감 효과는 일반 승용차 부문에서도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향후 해상, 철도, 항공과 같이 장기 수명으로 운용되는 운송 수단의 유지 보수 및 연료 비용 절감에도 친환경 차량의 이점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보고서는 비용 완화 방안으로으로 차량 배터리 비용이 2020년까지 10년 동안 90% 감소한 점이 전기차 비용의 감소로 이어진 점을 주목했다. 미 교통부의 2021년 연구자료는 차량 배터리 비용이 평균 US$ 100/kWh, 또는 셀당 US$ 60/kWh에 도달하면 전기차 구매 가격(MSRP)이 내연기관 차량과 동등한 수준에 도달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흑연, 실리콘, 리튬 금속을 활용한 배터리 관련 기술이 성숙기에 접어든다면 전기차 전환에 필요한 비용 임계값 달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하며 이에 따라 관련 기술 개발에 정부의 관심이 증대할 가능성이 크다. <배터리 가격과 전기차 전환 비용 임계 값> [자료: 교통부(DOT) 보도자료] 더 나아가 일반 승용차 이외에 보고서에서 언급된 추가적인 주요 배출 요인에 대한 연방정부의 전반적인 대응 전략은 아래와 같다. <주요 온실가스 배출 요인별 연방정부 대응 전략> 구분 배출량 비중(%) 배출량 감축 목표 일반차량 (승용차) 49 · ’30년까지 신규 판매 차량의 50% 무탄소 차량화 · ’30년까지 50만 개의 신규 전기차 충전소 설치 · ’27년까지 연방정부 조달 차량 제로배출 달성 대형차량 (트럭, 버스) 21 · ’30년까지 신규 판매 차량의 30% 무탄소 차량화 · ’40년까지 신규 판매 차량의 100% 무탄소 차량화 · ’35년까지 연방정부 조달 차량 제로배출 달성 중장비 10 · 무탄소 차량 제작에 필요한 기술 개발 지원 철도 2 · 철도 이용 승객·화물량 증대 계획 지원 해양 3 · ’30년까지 세계 10개 항구에 친환경 연료 급유 시설 마련 · 국내 친환경 연료 개발 사업 지원 · ’50년까지 국제 화물 운송 제로배출 목표 달성 지원 항공 11 · 온실가스 배출 ’30년까지 20%, ’50년까지 100% 감축 · ’30년까지 친환경 항공유 30억 갤런, ’50년까지 350억 갤런 생산 능력 향상 지원 파이프라인 4 · ’36년까지 1000마일 연장의 파이프라인 보수·교체 합계 100 · ’50년까지 현재 배출량에서 80% 이상 감소 [자료: 에너지부(DOE) 보도자료] 2050 운송수단 탈탄소화 계획 관련 현지 반응 바이든 행정부의 이번 탈탄소화 전략에 대해 일부 언론은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특히, Washington Post(WP)는 전임 트럼프 행정부가 탈퇴한 파리 기후 협약을 바이든 행정부가 재가입한 사실을 언급하며, 선도적인 친환경 정책의 설계와 추진을 진보 성향 정부의 강점으로 평가했다. 또한, WP는 향후 10년 배출량 감소폭 확대 및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대중교통 확대 사업 필요성을 주장한 조지타운 기후 센터(Georgetown Climate Center)를 인용하며 탈탄소화 계획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친환경 항공 연료와 대형 트럭용 수소 전지에 관한 연방 연구 및 투자를 확대할 필요성도 주장했다. 반면, 이번 탈탄소화 계획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도 존재한다. 특히, The Hill은 탈탄소화 로드맵의 정치적 수명을 우려했다. 이번 계획에 바이든 행정부의 기후 변화 의제가 적극 반영된 만큼, 추후 공화당 행정부가 구성될 경우 목표 달성률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IRA법안 통과를 기점으로 전기차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것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Bloomberg는 미국 2022년 11월 중간선거 당시, 바이든 행정부가 IRA 법안 서명 이후 3개월 만에 배터리 원자재 생산과 배터리, 전기차 제조 관련 130억 달러 투자 유치에 성공한 점을 언급하며 2027년까지 진행될 산업 투자 계획들로 인해 정권 변화에 따른 산업 영향을 미미하게 평가했다. <IRA 입법에 따른 미국 내 전기차 점유율 전망> [자료: Bloomberg NEF] Bloomberg는 미국 정부가 IRA 입법을 통해 전기차와 배터리 관련 투자를 충분히 제공할 것이라는 확신을 시장에 제공한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관련 기사에서 미국 정부가 향후 전기차 배터리를 ‘21세기 석유’로 고려한다고 보도하며, 친환경 운송수단 확대 도입에 대한 행정부의 의지를 설명하기도 했다. 이런 기류 속, 많은 전문가들은 2050 운송수단 탈탄소화 계획 내 전기차 비중 확대와 배터리 개발 전략은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한다. 동 계획은 이후에도 미 정계가 친환경 정책의 방향성을 수립 할때마다 인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리 관련 기관 및 업계의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미 교통부 보도자료, 미 에너지부 보도자료, 미 환경보호청 보도자료, Bloomberg, The Hill, Politico, Washington Post 및 KOTRA 워싱턴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워싱톤무역관 이준성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2
영국-일본 상호접근협정(RAA) 체결로 방위협력 확대
영국과 일본, 상호접근협정 체결 영국과 일본은 상호접근협정(Reciprocal Access Agreement, RAA)에 서명하며 방위 분야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 1월 11일 영국 총리 리시 수낙과 일본 총리 후미오 기시다는 런던에서 만나 협약서에 서명하고 방위 협력 및 정치 경제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 해당 협정을 통해 영국과 일본은 대규모의 정교한 군사훈련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파병 또한 가능해졌다. 리시 수낙 영국 총리는 ‘영국과 일본은 글로벌 위협에 대한 공통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 국가 간 유대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밝혔다. 이번 상호접근협정은 각 국의 군대가 상대국에서 연합훈련을 하는 경우 법적, 행정적 절차를 간소화하고, 장비 등의 물자 반입 시 관세를 면제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상대국에 방문중인 군부대 관계자의 범죄에 대한 형사 재판권을 명확화하도록 되어있는데, 군 관계자 범죄 면책 조항은 일본의 반대로 협정 내용에서 빠졌다. 이로 인해 영국 군대가 일본에서 중대 범죄로 사형집행까지 당할 수 있게 되어 비판의 목소리가 고조되기도 했다. 깊어지는 일본-영국 간 방위 협력 확대 영국이 일본과 방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지난 2022년 5월 영국은 일본, 이탈리아와 일본 항공자위대 기존 전투기 F2의 후속 전투기를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한 바 있으며, 2022년 12월 정식으로 글로벌 전투항공 프로그램(global combat air programme)을 발표했다. 해당 공동 개발 프로그램에서 개발된 차세대 전투기는 2035년부터 자위대에 배치될 계획이다. 차세대 전투기 개발에는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 영국의 BAE 시스템 및 롤스로이스,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등이 참여한다. 더불어 2022년 12월 영국의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와 일본의 경제산업성, 총무성, 디지털청은 ‘영-일 디지털 파트너십’을 맺고 상호 협력과 성장을 도모했다. 본 파트너십은 디지털 및 데이터 관련 정책, 전문 지식, 자원을 공유하고 양 국에서 디지털 혁신이 보다 잘 실현되도록 협력, 지원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글로벌 전투항공 시스템은 일본이 미국이 아닌 국가와 방위 장비를 공동 개발하는 첫 번째 프로그램이다. 상호 안보 협력 또한 일본이 유럽 국가와 맺은 첫 안보협정이다. 잇따른 협력 확대를 통해 일본이 영국과 군사, 정치적으로 얼마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러시아∙중국 견제 및 인도∙태평양 지역으로의 진출 의도 최근 영국은 방산 분야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2022년 5월, 영국은 미국, 호주와 3자 동맹(AUKUS alliance)을 맺고 극초음속 무기, 자율형 무인잠수기 등 8개 분야에서의 협력을 발표했다. 영국은 3국의 공동 기술 개발 및 정보 교류를 통해 극초음속 무기 개발에 비교우위를 선점하고 러-우 사태로 인해 높아진 유럽 안보 위협에 대응코자 한다. 영국의 전방위적인 방위 협력 강화는 표면적으로 자국 안보 및 방위 산업 발전을 위함이지만, 정치적으로 뜻이 같은 국가들과의 협력관계를 강화하기 위함으로도 해석된다. 더불어 영국의 방위산업 파트너십의 방향성은 인도∙태평양 지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이는 떠오르는 시장에 대한 선점이자, 브렉시트 이후 유럽을 넘어 새로운 파트너를 만들어 장기적으로 무역다변화를 꾀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영국은 한국과 1993년 체결된 한-영 방산군수협력 양해각서에 근거하여 양국의 방산정책 및 현안을 매년 공유하고 있으며, 2020년 2월 한국 방위사업청과 영국 국방안보수출청(UK Defence and Security Exports)은 방산기술 공동 연구개발 협정을 맺고 협력 관계를 강화했다. 영국 방산 시장 <세계 방위산업 수출국 순위> (단위: 십억 달러) [자료: UK defence and security Exports] 영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방산보안 수출국이다. 2021년 영국의 방산 수출액은 55억 파운드(한화 약 8조 3,084억원), 보안 시장 수출액은 82억 파운드(한화 약 12조 3,870억원)를 기록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항공우주 산업의 선두주자로, 2020년 기준 항공우주 분야에 직고용된 종사자만 11만 5천여명에 이른다. 영국의 방산물자 주요 교역대상 지역은 중동(58%), 북미(17%), 유럽(15%) 등이며, 보안 부문 주요 교역대상 지역은 유럽(44%), 북미(27%), 아시아태평양(14%) 지역이다. <방산시장 시장 점유율> (단위: %) [자료: UK defence and security Exports] 그래프에서 보여지듯 영국의 방산 수출시장은 증감 사이클이 있는데, 2018년 정점 이후 감소 사이클에 들어섰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해 영국이 가장 우위에 있던 항공 시장이 둔화되면서 시장 점유율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영향력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에너지 중요성이 떠오르면서 효율적인 항공기 엔진 개발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또한 영국 정부가 방위산업에 GDP 대비 3%까지 예산을 확대하겠다 밝히면서 향후 꾸준한 성장이 기대된다. <안보 시장 수출액> (단위: 십억 파운드) [자료: Frost&Sullivan, Westlands] 그와 반대로 기술 발전과 함께 영국의 안보수출은 꾸준히 늘고 있는데, 그 중 사이버 보안이 60% 이상 압도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 수출이 많은 품목은 방화용구, 감시도구 등이 있다. 2020년 기준 사이버보안 분야 수출액은 42억 파운드(한화 약 6조 3619억원)를 기록했다. 또한 영국의 방산 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반복하고 있다. 전력 증강 차원에서 영국 국방부는 2020년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1,964억 파운드(한화 약 297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라 밝혔다. 세부 내용은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2대 전력화, 잠수함 467억 파운드(한화 약 71조원) 투자, 육군장비 195억 파운드(환화 약 30조원) 투자, 차세대 전투기 Tempest 개발 및 2035년 전력화 목표 등이 있다. 이처럼 영국의 전력 강화 목표가 뚜렷해짐에 따라 영국의 방산 시장 진입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영국 주요 방산업체 및 동향 이처럼 영국은 세계 2위 방산보안 산업 중심 국가로 높은 기술력과 우수한 제품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다. 더불어 앞서 언급한 상호접근협정 및 다자간 방위 장비 공동개발 협정 등을 통해 방위산업 선두국가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 또한 쌓는 중이다. 영국의 기술력을 뒷받침하는 우수 방산기업들은 아래와 같다. <영국 주요 방산업체 및 생산 품목> 업체명 생산 품목 BAE System 항공모함, 원자력잠수함, 유로파이터* Babcock International 항공모함, 군함 정비 및 개조 전문 Rolls-Royce 항공기 및 군함용 가스터빈 Smith Industries 항공기용 탐지장비 QinetiQ 항공, 전자, 광학, 지상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기술 시험 평가 전문 Leonardo MW Ltd. 군용 헬기 Cobham 항공 및 항공전자 장비 Meggit 항공, 항공전자장비, 무인항공기 전문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공동개발 전투기 [자료: KOTRA 런던무역관 자료종합] 과거 무기의 강력함이 전쟁의 성패를 가렸지만, 현대전은 네트워크전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기술우위가 전쟁의 성패까지 좌우한다. 러-우 사태 발발시 러시아가 가장 먼저 노린 것이 우크라이나 정부 기관 해킹과 통신시설 마비였던 것만 봐도 그렇다. 아무리 좋은 작전이 있어도 교신이 되지 않으면 수행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자연히 원활한 군사 통신을 가능케 하는 기술들이 주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관련하여 영국의 BAE Systems는 미 공군 공중 고주파 무전기 성능개량 사업을 수주하여 1억 7,600만 달러(한화 약 2,150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 방산 전시회 영국은 세계적인 수준의 군사력을 기반으로 방산보안 수출에 큰 성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무기박람회, 국제 에어쇼 등 방산 교역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음은 영국에서 개최되는 박람회이다. 1. 방위산업무기박람회(DSEI) 세계 최대 군사 박람회인 방위산업무기박람회(DSEI)가 격년마다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다. DSEI는 세계 각 국의 정부, 군 구매담당자, 방산 분야 글로벌 공급망 사슬 기업 등 3만 여명의 관람객이 참여하는 방산보안 박람회로 50여개 국가에서 온 1,600개의 기업이 부스를 열고 자사 제품을 홍보한다. 이곳에서 신규 군사 장비와 신기술이 선보여질 뿐만 아니라 수천억원에 이르는 방산 물자 구매 계약도 체결된다. 금번 DSEI는 2023년 9월 12일부터 15일 4일간 런던 엑셀 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방위산업에 사용될 신기술 및 신규 개발 장비들이 다수 선보여질 예정이다. 해외기업과 교류하고 잠재 바이어를 발굴코자 하는 국내 방산 기업은 해당 전시회를 방문해보는 것도 좋다. 아래는 2017년 KOTRA 런던무역관에서 DSEI 전시회를 방문하고 작성한 해외시장뉴스이다. 링크 바로가기: 현장·인터뷰 - KOTRA 해외시장뉴스 뉴스 | 현장∙인터뷰 2. 판버러 국제 에어쇼(Farnborough International Airshow) 영국은 높은 항공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나라답게 세계적인 에어쇼 또한 격년으로 개최하고 있다. 판버러 지역에서 열리는 이 에어쇼는 약 1,500여개의 기업이 참가하여 자사 기술 및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매년 8만명 이상의 관계자 및 관람객이 참가한다. 판버러 에어쇼 측은 2022년 에어쇼를 통해 항공기 약 500대 이상이 주문되었다고 밝혔다. 판버러 국제 에어쇼는 오는 2024년 7월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방위 산업의 발전이 빠르게 이뤄지는만큼 내년에 개최되는 에어쇼에서 상당수의 신기술과 신제품이 선보여질 것으로 기대된다. 아래는 2018년 KOTRA 런던무역관에서 판버러 국제 에어쇼를 방문하고 작성한 해외시장뉴스이다. 링크 바로가기: 현장·인터뷰 - KOTRA 해외시장뉴스 뉴스 | 현장∙인터뷰 자료: UK defence and security Exports, Ministry of Defence, Financial Times, KOTRA 런던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런던무역관 남현경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1
2023년 오스트리아 경제성장률 0.3~0.4% 예상
WIFO(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에 의하면, 연중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힘겨운 하반기를 보낸 오스트리아 경제는 지난해 상반기 달성한 고성장의 상쇄 효과로 인해 연간 경제성장률 4.7%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어 2023년에는 지속적인 에너지 위기 및 글로벌 경제하락으로 경기침체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돼 0.3%선의 경제성장률에 그칠 것으로 연구소는 예상했다. 유럽 전체의 경제 위기를 초래한 러-우 사태의 조속한 해결 기미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가파른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었던 에너지 위기가 서서히 완화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기대되기는 하지만, 유의미한 연간 성장률은 기대할 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저성장 기조는 2024년에 이르러서야 약 1.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반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부터 이어온 경기침체 지속, 2분기부터 약한 성장세 WIFO(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와 IHS(오스트리아 경제사회연구소)는 2022년 오스트리아의 연간 GDP 성장률을 4.7~4.8%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부진했던 하반기 실적을 서비스 부문의 회복 및 산업생산 증가로 인한 고성장을 기록했던 상반기 실적이 만회한 결과로 해석된다. 상반기에는 가계 소비, 수출 모두 눈에 띄는 성장을 기록했던 반면, 에너지가격 상승 및 글로벌 경기 악화로 인해 3분기 이후 오스트리아 경제는 경기침체를 경험했다. 2022년부터 이어온 경기침체는 올해 2분기부터 더디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나 2023년의 연간 경제성장률은 0%를 살짝 넘는 ‘유지’ 수준에서 마감될 것으로 보인다. WIFO와 IHS는 각각 0.3%와 0.4%를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 가을 예측치에 비해 0.1%P 상승한 수치이다. <2022~2024년 오스트리아 실질 GDP 성장률 전망> (단위: %) 2022 2023 2024 WIFO(경제연구소) 4.7 0.3 1.8 IHS(경제사회연구소) 4.8 0.4 1.2 주: 2022년 12월 15일 WKO(오스트리아 상공회의소) 발표 자료 기준 [자료: WIFO(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 IHS(경제사회연구소)] 산업 부문 위축 전망 2023년 오스트리아의 산업 부문은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 총부가가치는 2.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주요 교역 상대국의 경기침체 및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수출전망도 좋지 않아 재화의 총수출은 2022년 대비 0.1%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WIFO의 전망에 따르면, 전체 유로존의 2023년 경제성장률은 0.6%에 그칠 것으로 예측되며 오스트리아의 최대 교역국인 독일의 경우 미세한 마이너스 성장(-0.1%)마저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어지는 2024년에는 팬데믹, 러-우 사태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낸 결과치로 1.2~1.8%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경제 전반이 재성장의 모멘텀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유로존 전체의 경제성장률 평균치에 부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러-우 사태, 에너지가격 상승, 러시아산 가스 부족 사태 가능성, 통화정책 등의 하방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2020~2022년 오스트리아 PMI 추이> (단위: PMI, 50=변동없음) [자료: UniCredit Bank Austria] <2022~23년 오스트리아 실질 수출성장률 전망> (단위: %) WIFO IHS 2022 2023 2022 2023 수출(재화·서비스) 8.8 0.3 9.0 1.8 수출(재화) 6.0 -0.1 4.8 1.0 주: 2022년 12월 15일 WKO(오스트리아 상공회의소) 발표 자료 기준 [자료: WIFO(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 IHS(경제사회연구소)] 물가인상률, 유럽중앙은행의 목표치 상회 전망 2022년 4분기, 지속적인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두 자리 수 물가인상률까지 기록했던 오스트리아는 11월 10.6%로 최고점을 기록한 후 12월 10.2%로 미세 하락 수치를 보였으며, 이로써 물가인상의 고점은 이미 넘어섰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2023년 1월 16일자), 2022년 연간 물가상승률은 8.6%로 집계되었으며 2023년에는 ECB(유럽중앙은행)의 목표치를 상회하는 수치인 6.5~6.7%, 2024년에는 3.2~3.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적인 에너지 가격 상승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며, 2023~2024년을 위한 가스 비축 추이와 연동해 추가적 가격 상승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ECB의 추가금리인상 또한 예상되는 상황으로, WIFO에서는 ECB의 2023년 기준금리를 3.6%, 2024년에는 4.4%로 전망하고 있다. <연도별 오스트리아 물가상승률 추이: 1960~2022년> (단위: %) [자료: Statistik Austria(오스트리아 통계청), 그래픽: APA] <2022~2024년 오스트리아 물가상승률 전망> (단위: %) 2022 2023 2024 WIFO(경제연구소) 8.6 6.5 3.2 IHS(경제사회연구소) 6.7 3.5 주: 2022년 12월 15일 WKO(오스트리아 상공회의소) 발표 자료 기준. 2022년 수치는 2023년 1월 통계청 발표 [자료: WIFO(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 IHS(경제사회연구소)] 민간소비가 경제에 활력 부여 1) 투자 2022년 총고정자본형성 증가율은 마이너스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되며(WIFO -1.0%, IHS -2.5%), 2023년 역시 이자율 증가, 경제 침체 및 높은 에너지 가격으로 인해 투자활동이 위축될 것으로 보여 0.2~0.7%의 총고정자본형성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2) 교역 코로나19로 인한 록다운 해제로 여행객이 증가함에 따라 2022년 서비스 수출 부문은 눈에 띄게 성장했으며, IHS에 의하면 2023년 관광 수출은 16%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재화 수출의 경우는, 호조를 보였던 2022년 상반기 이후로는 하락세를 보여 이는 2023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에서는 WIFO와 IHS의 전망이 다소 엇갈리고 있는데, WIFO는 0.1%의 미세한 마이너스 성장을 예측하고 있으며 보다 긍정적인 전망의 IHS는 1.0%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3) 소비 높은 물가상승률에도 불구하고 저축률 하락 및 현금 지원 형식의 정부 물가안정지원책으로 인해 2022년 민간소비는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된다(WIFO 3.8%, IHS 4.4%). 2023년 역시 확대 편성된 재정부 예산(+6.3%)이 노동시장의 안정화 및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임금 인상을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되며 가구 저축률 또한 하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으로, 민간소비는 0.6~1.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2~23년 오스트리아 투자·교역·소비 증가율 전망> (단위: %) 전년대비 실질성장률 WIFO IHS 2022 2023 2022 2023 총고정자본형성 -1.0 0.2 -2.5 0.7 민간소비 3.8 1.3 4.4 0.6 수출(재화·서비스) 8.8 0.3 9.0 1.8 수출(재화) 6.0 -0.1 4.8 1.0 주: 2022년 12월 15일 WKO(오스트리아 상공회의소) 발표 자료 기준 [자료: WIFO(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 IHS(경제사회연구소)] 안정적인 노동시장 - 팬데믹 이전 근로시간 유지 2023년 노동시장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스트리아 국가 정의 기준, 2022년의 연간 실업률은 6.3%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며 2023년에는 6.5~6.6%로 소폭 증가, 이후 2024년 6.2~6.5% 선으로 다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2023년 오스트리아 실업률 전망> (단위: %) 전년대비 실질성장률 WIFO IHS 2022 2023 2022 2023 실업률(국가정의 기준) 6.3 6.5 6.3 6.6 주: 2022년 12월 15일 WKO(오스트리아 상공회의소) 발표 자료 기준 [자료: WIFO(오스트리아 경제연구소), IHS(경제사회연구소)] 시사점 전 세계적 경제 한파 속 2023년 오스트리아 경제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함께 경기침체를 맞게 될 것으로 전망되며, 산업 부문은 2% 가량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2022년부터 이어온 불황은 2분기를 맞아 소폭 회복이 예상되나 러-우 사태 장기화 및 지속적인 에너지 가격 상승 가능성은 ECB의 통화정책과 맞물려 2023년 오스트리아 경제의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지적된다. 단, 지난 한 해 높은 물가상승률에도 불구하고 저축률 하락세와 함께 정부 물가안정지원책으로 인해 높아진 소비 여력은, 노동 시장 안정화 및 임금 인상에 힘을 싣는 정부 예산 정책의 뒷받침으로 2023년에도 이어져(민간소비 0.6~1.3% 증가 전망), 미약하나마 경제성장의 활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현지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소비재 분야 등 관련 국내 기업들의 경우, 지속적인 소비 트렌드 및 유통 동향 모니터링, 적극적인 수요 탐색을 통해 성공적인 전략 수립의 적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WKO(오스트리아 상공회의소), WIFO(경제연구소), IHS(경제사회연구소), ORF, Bank Austria, KOTRA 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빈무역관 김현정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2.01
2022년 지난 1년간 필리핀 물가는 얼마나 올랐나
2021년 12월 필리핀 인플레이션은 3.0%를 기록하였으며 2022년 필리핀 정부는 물가 안정화 정책을 수립하고 2022년 평균 물가 상승률을 4%대로 전망하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필리핀 물가 또한 급격히 상승했으며 2022년 12월 8.1%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2008년 이후로 14년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22년 필리핀 인플레이션 <2022년 필리핀 인플레이션 추이> (단위: %) [자료:TradingEconomics] 2021년 12월 필리핀 인플레이션은 3.1%를 기록하였으며 2022년 2월 코로나19 봉쇄조치가 완화되기 시작하며 인플레이션 3.0%를 유지하며 안정화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유가 상승, 글로벌 공급망 악화 등 여러 외부 위험요인이 발생하며 기록적인 물가 상승률을 보였다. 12월 기준 필리핀 인플레이션은 8.1%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2008년 이후로 기록된 인플레이션 중 최고치다. <필리핀 역대 인플레이션 추이> [자료: 필리핀 통계청(PSA)] 필리핀 주요 상품군 인플레이션 <필리핀 상품군별 인플레이션> [자료: 필리핀 통계청(PSA)] 2022년 12월 물가 상승률이 최고치 기록함과 동시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상품군은 식품 및 무알코올 음료(10.2%), 주류 및 담배(10.7%), 교통(11.7%), 식당 및 숙박(7.0) 부문이다. 해당 상품군은 전년 12월 대비 높은 가격 상승세를 보이며 필리핀의 인플레이션 현황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글로벌 유가 상승을 계기로 교통 및 유통비가 상승하며 이와 연관된 산업들의 물가도 상승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은 대부분의 소비재 및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물류비가 상승하자 연속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높은 물가 상승률을 보이게 되었다. 이처럼 글로벌 공급망 악화, 유가 상승 등 많은 외부요인이 식품을 비롯한 필리핀의 전반적인 생활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급격한 식품가격 상승 <필리핀 식품 인플레이션> [자료: 필리핀 통계청(PSA)] 2021년 12월 코로나19 제한 조치 해제와 필리핀의 식품 가격 안정화를 위해 조치한 쌀, 돼지고기, 옥수수 등의 수입 쿼터제 등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2022년 11월 10.3%에서 12월 10.6%로 추가 상승을 기록했다. <식품 품목별 인플레이션> [자료: 필리핀 통계청(PSA)] 2022년 식품 인플레이션의 주요 증가는 채소(32.4%), 쌀(3.4%), 과일과 견과류(7.6%), 밀가루(10.9%), 유제품(9.9%), 설탕(38.8%) 및 기타 기성 식품(9.4%)에서 나타났으며 쌀의 경우 쌀 수입 관세 인하 정책으로 인해 어느 정도 완화가 되었으나 설탕은 설탕 공급망의 악화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필리핀 농무부(DA) 장관을 겸직하고 있는 마르코스 대통령은 설탕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15만 톤의 긴급 설탕 수입을 지시하며 설탕 가격의 안정화와 태풍 등 잦은 수해로 인해 가격이 급등한 야채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수입 관세 인하 등 여러 조치를 적극 지시하고 있다. 지역별 인플레이션 1) 수도권 (NCR) 지역 <수도권 지역 인플레이션> [자료: 필리핀 통계청(PSA)] 2022년 필리핀 수도권(NCR) 지역의 평균 인플레이션은 2021년 2.7%에서 상승한 5.1%를 기록했다. 12월 인플레이션은 7.6%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1년 12월 2.1%에서 급등한 것으로 지역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친 주요 상품군은 식당 및 숙박(9.5%), 생활(월세, 수도, 전기, 가스, 에너지 등(4.0%)), 가전 및 가구(4.5%), 건강(1.4%), 통신(0.4%), 레크리에이션 및 문화(3.2%) 부문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반면, 주류 및 담배(7.2%), 교통(14.0%)은 상대적으로 둔화된 증가율을 보였고 이외 나머지 상품군은 2022년 11월 인플레이션율을 유지했다. 2) 수도권 외(AONCR) 지역 <수도권 지역 인플레이션> [자료: 필리핀 통계청(PSA)] 필리핀 수도권(NCR) 지역 물가 상승에 따라 수도권 외(AONCR) 지역의 인플레이션율도 2021년 12월에는 3.4%에서 2022년 12월 8.2%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수도권 외 지역의 인플레이션율은 식품(10.%) 부문에 의해 주로 상승했다. 또한, 식당 및 숙박(6.0%), 생활(월세, 수도, 전기, 가스, 에너지 등(8.1%)), 주류 및 담배(11.4%), 의류(4.1), 가전 및 가구(4.8%), 건강(3.4%), 스포츠 및 문화(4.0%), 기타 서비스(5.0%)이며, 수도권 외(AONCR) 지역의 평균 인플레이션도 2022년 6%를 기록했다. 필리핀의 2023년 인플레이션 전망 ADB, WB 등 국제 경제기구에 따르면 2023년 필리핀 경제 성장률은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필리핀 중앙은행(BSP)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코로나19로 인해 2%로 조정한 기준 금리를 2022년 12월까지 350bp 인상한 5.5%로 조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25~50bp 인상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긴축 정책에 맞춰 필리핀 예산 조정 위원회는 2023년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6~7%로 조정했으며 물가 안정화 정책의 지속 추진에 따라 2.5~4.5%로 2022년 대비 완화된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발표하고 있다. 시사점 필리핀 경제 전문가 N씨는 필리핀 정부는 2022년 6.5~7.5%의 GDP 성장 목표치를 발표했으며 여러 외부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지난 3분기 전년대비 7.5%의 성장을 보였다고 밝혔다. 2023년에도 필리핀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따라 높은 물가 상승률을 극복하고 목표치 보다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필리핀 정부는 2023년 GDP 성장 목표치를 6.5%로 조정했으며 경제 성장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인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4.8%로 예측하고 있다. 물가 상승, 금리, 부채 증가 등의 위험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2023년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고 식품 가격 안정화를 위해 수입량 확대, 관세 및 규제 완화를 지속하는 등의 필리핀 정부의 노력이 계속될 전망이다. 자료: 필리핀 통계청(PSA), TradingEconomics, AMRO, Inuirer, Philstar, ABS-CBN, CNBC 및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마닐라무역관 김진형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1.31
처음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지로 이동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