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한상소식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검색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비즈니스 정보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산업∙경제 이슈
게시글 검색
산업,경제,마케팅 자료에 대한 정보제공
산업자료
전체
산업/기술일반
전자/정보통신
화학/바이오
서비스/기타
경제자료
전체
국내경제
해외경제
금융
마케팅자료
전체
검색
보기조건 갯수 선택
10개 보기
20개 보기
30개 보기
82/127
페이지
(전체 1263)
검색분류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스리랑카-IMF 구제금융 협상 동향
IMF 협상 개요 알리 사브리 재무장관이 이끄는 스리랑카 대표단은 4월 18일 워싱턴을 방문해 5일 동안 IMF와 구제금융 도입에 관한 실무 협의를 진행하였다. 이번 협상은 1차 실무 협상의 성격으로 구체적 합의가 발표되지는 않았고 스리랑카 대표단과 IMF 간 지원 여부 등에 대한 입장 차이가 있었다. 구분 주요 입장 스리랑카 - 확대금융(EFF) 대신 신속금융(RFI) 통한 융자 요청 IMF - 스리랑카의 경제위기 극복 노력을 지원할 방침 - 스리랑카 정부가 채무 상환 의지(Adequate assurance)를 보여야 함 주*: RFI(Rapid Financing Instrument): 특별융자제도, 신속성 중시, 한도는 국별 쿼터의 37.5∼75% EFF(Extended Fund Facility): 일반융자제도, 4.5∼10년, 한도는 국별 쿼터의 200∼600% <알리 사브리 재무부 장관 인터뷰 화면> [자료: 2022년 4월 14일 블룸버그 방송] IMF는 현재 스리랑카 재무 상태로는 융자 승인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채무국들과 채무 구조조정을 이행한 이후 재협상할 것을 요구하였다. 현지 언론은 IMF 구제금융을 제공받는데 최소 6~12개월이 소요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 스리랑카 주재 IMF 마사히로 노자키 사무소장은 스리랑카 및 IMF 양측이 건설적 협의를 가진 바, 스리랑카의 최근 대외 경제, 재정상황 등을 감안해 거시경제 안정성 회복을 위해 대내외 신뢰도와 일관성이 높은 전략을 이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주요 채권국 및 국제기구 지원 동향 채권국인 인도와 중국은 스리랑카의 채무 재조정 및 지원을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인도는 4월 23일, 스리랑카가 필수 수입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10억 달러 차관 제공 및 기존에 체결한 4억 달러 통화 스와프의 기한(2019~2022년)을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기존에 통화 스와프로 스리랑카에 지원했던 채무를 재조정할 것임을 발표했다. 4월 28일 기준 스리랑카의 총 외환보유고 17억5000만 달러 중 15억7000만 달러는 중국 위안화 형태이며, 이 외에 가용 외환은 1억5000만 달러로 이는 3일치 수입대금 결제액에 불과하다.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국제기구로부터의 차관 및 무상지원(기부금) 원조 수혜도 고려 중이다. 세계은행은 4월 26일에 스리랑카에 대한 6억 달러 차관을 발표했고 아시아개발은행은 4월 22일에 의약품 구매 조건으로 2170만 달러 차관을 약속했다. 협상 장기화에 따른 영향 한인 진출 기업의 물류, 송금 분야 애로사항은 현재까지 접수되지 않았으나 협상 이전부터 제기된 전력난 및 바이어 송금 지연은 여전히 우려되는 사항이다. 특히 스리랑카의 가용 외환이 부족하기 때문에 디젤 등 연료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이는 전력 부족으로 이어져 건설 공사가 지연되거나 수출기업의 생산 공정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현지 바이어의 경우 수입대금 결제 시 중앙은행 승인 과정에서 전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있다. 경제난이 지속되면서 반정부 시위에 각 정당들까지 참여하여 시위가 확산되고 있고 현지 언론은 관광 수입 감소 등 내부 정치 불안으로 사회,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소비자물가 상승 및 루피화 평가절하 추세도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구분 주요 내용 소비자 물가 4월 전년 동월비 약 30% 증가 식품 4월 전년 동월비 약 47% 증가 비식품군 4월 전년 동월비 약 22% 증가 환율 4월말 고시환율*은 3월초 대비 약 65% 상승 주*: (3.8.) 202.09루피/달러 → (4.22.) 334.80루피/달러 자료: 스리랑카 통계청, 중앙은행 계속되는 시위로 4월 1~26일까지 관광객 입국자수는 5만5590명으로, 3월달 총 입국자 수 10만6500명에 비해 47% 감소했다. 스리랑카 정부는 경제난을 해소하고 재정수입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세금 인상(재무부), 예산 삭감(국회) 등 정책을 변경할 계획이다. 현지 언론은 현재 스리랑카 GDP 대비 세금 수익이 8~8.5%인데, '포퓰리즘'(populism)’으로 인한 지나친 세금 인하가 현 정부의 재정수입 악화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고 재무부 장관은 GDP 대비 13~14%로 세금 수익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다. 현지 주요 반응 UNP 정당대표이자 스리랑카 전 총리인 라닐 위크레마싱헤는 향후 자국 경제 악화를 우려하며, IMF 구제 금융을 2021년에 신청했다면 지금보다 상황이 나았을 것이라 발언했다. 또한 중앙은행 총재인 난달랄 위라싱헤는 채권국과의 채무 조정 이후 2~3개월 내 IMF로부터 ‘확대 금융(EFF)’형식으로 20억~30억 달러 지원이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자료: 현지 언론 및 KOTRA 콜롬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콜롬보무역관 Bora Kang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13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이 독일에 미치는 영향
지난 3월 말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과 유럽 서방 세계의 경제 제재가 이어지자 러시아는 자국 천연가스 수입 대금을 루블화로 결재하라는 강수를 두었다. 그리고 4월 말 자국 가스 대금을 루블화로 내지 않았다는 명목으로 동유럽 국가인 폴란드와 불가리아의 가스 공급을 중단했다. 하지만 이번 두 국가에 대한 가스 공급 중단 조치는 EU 전체와 특히 러시아산 가스에 의존이 높은 독일을 압박하기 위한 러시아의 외교적 카드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왜냐하면 현재 독일은 전체 천연가스 수요의 35%*를 러시아로부터 충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 독일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를 기존 55%에서 35%까지 낮춤.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독일에서 천연가스는 제조산업, 난방, 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만약 러시아산 가스가 공급 중단될 경우 독일은 여러 곤란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그렇다면 독일에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될 때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들이 발생하게 될까? 1. 에너지 부족 에너지 균형에 대한 실무자 그룹(AGEB, Arbeitsgemeinschaft Energiebilanzen e.V.)의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독일의 1차 에너지 소비에서 천연가스의 소비율은 26.8%였다. 이는 석유에 이어 두 번째로 소비율이 높은 것이다. 에너지원으로서 천연가스는 특히 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높고 또한 난방 에너지원으로 가정에서도 수요가 높다. 그리고 독일은 현재 전력 생산의 14.5%를 천연가스 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 이처럼 1차 에너지로서 의존도가 높은 천연가스가 부족할 경우 독일에서는 심각한 에너지 부족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체 천연가스 수요의 35%를 러시아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러시아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지 못할 경우 독일은 에너지 부족 사태가 불가피하다. <2021년 독일 1차 에너지 소비율> [자료: Arbeitsgemeinschaft Energiebilanzen e.V.] 2. 산업에 심각한 타격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독일에서는 특히 산업 분야에서 가스 수요가 높다. 그 이유는 독일 산업이 제조업에 초점을 두고 있고, 제품 생산을 위한 주 에너지원으로 천연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AGEB에 따르면 2021년 독일의 전체 천연가스 소비량이 전년 대비 4.9% 증가했는데, 그 가장 큰 요인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제조산업이 다시 회복세를 보이면서 산업 분야의 가스 수요가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021년 독일 산업 분야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전체 소비량(1,012.2TWh)의 32.35%인 372.5테라와트시(TWh)로 가장 많은 소비량을 보였다. 이처럼 독일 산업이 천연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만큼 천연가스가 부족할 경우 산업 분야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2021년 독일의 천연가스 분야별 소비점유율> (단위: TWh) [자료: 독일 연방통계청, BVEG, BDEW, Handelsblatt 재인용] 여러 산업 중에서도 특히 화학산업은 가스 공급 중단 시 더 큰 피해가 예상된다. 왜냐하면 천연가스는 에너지원이기도 하지만 화학제품 제조를 위한 원자재로도 사용되기 때문이다. 2020년 산업 업종별 천연가스 소비량을 보면 기초 소재 화학산업의 가스 소비량이 20만1593TJ로 전체 산업 중 가장 많은 소비량을 보였다. 따라서 천연가스가 부족할 경우 독일 화학산업은 생산에 차질에 생겨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독일 화학산업은 2021년 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암모니아 생산을 중단하는 등 불안정한 천연가스 공급 문제로 큰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2020년 독일 산업 업종별 가스 소비량> (단위: TJ) [자료: Arbeitsgemeinschaft Energiebilanzen e.V., Handelsblatt 재인용] 3.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살펴본 바와 같이 독일에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차단되면 1차 에너지 부족 사태가 발생하기 때문에 독일의 에너지 가격은 상승할 수밖에 없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전기세와 난방비, 산업 생산 비용 등 여러 경제 비용을 증가시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 독일 5개 주요 경제기관*들이 공동 작성해 지난 4월 13일 발표한 2022 공동경제전망(Gemeinschaftsdiagnose)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에 러시아산 가스 공급이 즉각적으로 중단될 경우 2022년과 2023년 2년간 약 2200억 유로의 경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5개 연구소들은 2.7%의 성장이 예상되던 올해 GDP 성장률도 가스 공급 중단 시 1.9%만 증가하고, 2023년에는 오히려 2.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 베를린 독일경제연구소(DIW Berlin), 뮌헨 Ifo 경제연구소(Ifo Institute), 킬 세계경제연구소(IfW Kiel), 할레 경제연구소(IWH), 에센 RWI 경제연구소(RWI) 그리고 에너지 가격 상승은 독일의 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킬 수 있다. 이미 독일의 물가 상승률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원자재와 에너지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연일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4월 독일의 물가 상승률은 7.4%를 기록하며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개 주요 경제연구소들은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될 경우는 2022년 물가 상승률이 기존 6.1%에서 7.3%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만약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 소비 심리가 위축돼 독일 경제는 코로나19 위기 때와 같이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 <독일 월별 물가상승률(2021.4 ~2022.4.)> [자료: 독일 연방통계청, Statista 재인용] 4. 사회적 갈등 심화 가능 천연가스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경우 독일에서는 대량 실직 사태가 발생해 실업률이 상승할 수 있다. 왜냐하면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은 화학, 자동차 등 제조산업 분야는 가스 부족 사태 발생 시 제품 생산성 저하가 불가피하므로 생산 인력 감축을 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독일 5개 경제연구소는 즉각적인 가스 공급 중단 시 이에 따른 파급효과로 2023년에 4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고 실업률은 6%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만약 이러한 대량 실직 사태가 실제 가시화되면 소득 감소에 따른 가계 경제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실직자들의 사회·경제적인 상실감과 소외감 등의 사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사회 여러 부분에서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부족 시 정부가 구성한 비상 대응팀이 가스 우선 공급권을 결정하는데, 이때 누구에게 우선 공급할 것인가를 놓고 첨예한 대립이 있을 수 있다. 얼마 전 독일 산업계의 주요 인사들이 가스 부족 사태 발생 시 민간보다 산업 분야에 가스가 우선 공급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 문제는 이미 논쟁거리가 된 바 있다. 현재 독일은 비상사태 시 병원과 같은 시설과 함께 민간에 가스를 우선 공급하게 되어 있다. 그 이유는 민간에서도 가스 수요가 많은데 특히 난방과 같이 중요한 부분에 천연가스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독일의 기존 건물 중 절반에 해당하는 49%가 천연가스를 난방 에너지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만약 민간에 가스 공급이 차단되면 난방을 하지 못해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산업계에서는 가스 부족 사태로 대량 실업 사태가 발생하면 오히려 민간에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며 산업 분야에 우선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가스가 부족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대립이 첨예하지 않지만 실제 천연가스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경우 갈등이 격화될 수 있다. 시사점 우크라이나 사태가 얼마나 지속될지 그리고 러시아가 독일에 가스 공급 중단이라는 강수를 둘지는 지금으로 정확한 판단이 어렵다. 하지만 현재 독일은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중단할 경우를 대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부유식 액화가스(LNG) 터미널 건설이다. 지난 5월 5일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 장관 하벡은 빌헬름스하펜(Wilhelmshaven)과 브룬스뷔텔(Brunsbüttel)에 계획 중인 2개*의 부유식 LNG터미널을 10개월 이내에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LNG 터미널은 파이프 연결 등 기반 시설을 마련하는데 5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나, 이를 가속해 올해 말까지 빌헬름스하펜 터미널을 가동하고 내년 초에 브룬스뷔텔의 터미널을 가동하겠다는 것이 독일 연방정부의 계획이다. 신속한 터미널 건설을 위해 독일 연방 경제기후보호부는 LNG 터미널 건설에 대한 승인 절차 단축을 위한 LNG-가속법(LNG-Beschleunigungsgesetz) 초안 또한 마련했다. * 독일은 30억 유로를 투자해 총 4개의 부유식 LNG 터미널을 계획 중이며, 나머지 2개 터미널 건설 부지로 네덜란드의 스타드(Stade), 로스토크(Rostock), 함부르크(Hamburg), 엠스하펜(Eemshaven) 등을 검토 중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연방정부는 러시아 가스에 대한 금수조치는 반대하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우려와 같이 즉각적인 공급 중단의 경우 경제와 산업에 큰 피해와 혼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러시아가 요구하는 루블화 결제의 경우도 러시아 국영기업 가즈프롬이 세운 은행 가즈프롬방크의 특별 계좌를 활용해 대금을 결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 결제 방법은 유로 입금 시 루블화로 자동 환전돼 결재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EU의 대러시아 제재 방침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연방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로 불거진 러시아 에너지원 공급 문제는 2021년 연정 구성 이후 현 정부가 봉착한 가장 큰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위기 속 신호등 연정이 경제와 산업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위기를 기회 삼아 러시아산 가스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에 성공하는 반전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썸네일 출처: Rdaktions Netzwerk Deutschland 자료: Arbeitsgemeinschaft Energiebilanzen e.V., Handelsblatt, Spiegel, Tagesschau, Hamburger Abendblatt, Statista, DIW Berlin, Ifo Institute, IfW Kiel, IWH, RWI, Deutschlandfunk, Statista, Manager Magazin, 독일 연방정부,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 독일 연방통계청,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함부르크무역관 문기철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12
2022년 탄자니아 경제성장 전망
탄자니아 경제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으나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는 낮아 탄자니아 통계청(National Bureau of Statistic, NBS)에서 지난 4월 발표한 2021년 4사분기 경제 하이라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탄자니아 국내총생산액(GDP)는 전년대비 4.9% 증가한 135조4,400억 실링(약 583억 달러)으로 집계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치인 7.0%에는 훨씬 미치지 못했지만 지난해 4.8%에서 0.1%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해당 보고서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의 분기별 GDP성장률은 각각 5.0%(1/4분기), 4.5%(2/4분기), 5.2%(3/4분기), 4.9%(4/4분기)를 기록했으며, 명목GDP는 2020년 148조5,000억 실링(약 639억 달러)에서 2021년 157조7,400억 실링(약 679억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대비 6.2% 증가했다. 한편, 2021년 4사분기 경제성장률은 4.9%로 전년 동기 4.8%에서 0.1% 증가한 수치다. 4사분기 분야별 GDP기여도는 농업(23.2%), 건설(12.5%), 무역(9%), 제조업(8.4%), 광업(6.4%), 행정 및 국방(5.8%), 금융 및 보험(5.6%) 순이다. <탄자니아 실질GDP 성장률(2013-2021)> <탄자니아 분기 성장률(2019-2021)> [자료: 탄자니아 통계청(NBS)] 탄자니아 경제 활동은 지난해 3사분기부터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코로나19 영향으로 곤두박질 친 관광업의 회복과 광업 및 전력 부문이 주도했다. 세계은행은 시멘트 생산, 전력생산, 민간 부문 신용, 상품 및 서비스 수출, 비연료부문 상품 수입, 통신, 이동성, 관광객 유입과 같은 선행 지표는 2021년에 개선되었으나 대부분의 부문에서의 활동이 펜데믹 이전 수준 보다는 낮은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국가빈곤율은 고용 회복 및 비농업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2020년 27.1%에서 2021년 27.0%로 소폭 하락한 것으로 추정했다. 탄자니아 교역 동향 탄자니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1/21회계연도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과 수입액은 각각 85억3,600만 달러와 98억6,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광물로 총 상품 수출액의 38%를 차지하며 전년 같은 기간 수출액의 12% 증가했으나 서비스 수출 중 관광의 경우 8억7300만 달러를 기록해 2019/20 회계연도 대비 54%나 대폭 감소하였다. 한편 전체 수입액 중 약 35%를 차지하는 자본재의 경우 2021/22년도 수입액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소폭 하락한 34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중간재의 경우 비료 수입액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감소하였으나 산업 중간재는 9.3% 증가한 8억4,800만 달러를 수입했다. 이는 탄자니아의 제조업 중심의 산업화 증진 경제 정책 추진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탄자니아 최근 5개년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 (단위: 백만 달러)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Traditional exports* 937.8 1,018.8 507.9 995.9 578.4 Minerals 1,874.1 1,602.8 1,866.7 2,898.4 3,249.9 Manufactured goods 583.2 797.2 909.6 800.5 1,090.0 Fish and Fish Products 153.0 185.0 171.5 144.6 142.4 Horticultural Products 250.1 150.5 187.0 194.6 324.6 Other Export Products 250.5 228.5 299.8 385.1 665.5 Re-Exports 175.5 182.9 205.6 151.7 95.3 Exports, goods 4,224.3 4,165.7 4,148.0 5,570.7 6,146.1 Transportation 1,091.2 1,229.4 1,250.9 1,313.8 1,317.0 - Passenger 18.9 14.6 14.5 20.3 11.2 - Freight 900.7 1,076.2 1,134.9 1,138.8 1,161.0 - Other 171.6 138.5 101.6 154.7 144.8 Travel 2,230.8 2,362.3 2,482.4 1,899.4 873.6 Communications services 21.9 20.1 27.9 25.0 15.5 Construction services 0.0 0.0 0.0 0.0 0.0 Insurance services 42.9 35.7 39.3 31.1 9.2 Financial services 21.3 19.9 17.8 21.2 8.9 Computer and information services 1.4 0.2 2.5 4.9 3.7 Royalties and license fees 0.2 0.0 0.1 0.0 0.0 Other business services 336.8 257.3 259.0 177.5 154.6 Personal, cultural, and recreational services 1.0 0.7 1.7 1.7 1.2 Government services, n.i.e. 21.8 16.2 11.9 4.2 6.8 Services receipts 3,769.2 3,941.8 4,093.5 3,478.7 2,390.4 Exports of Goods and Services 7,993.5 8,107.4 8,241.5 9,049.4 8,536.5 주*: Traditional Exports: 커피, 면화, 캐슈넛, 사이살, 차, 담배와 같은 1차 생산품 <탄자니아 최근 5개년 상품 및 서비스 수입액> (단위: 백만 달러)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Capital goods 2,820.0 2,844.7 3,826.1 3,463.8 3,404.2 Intermediate goods 2,806.2 2,755.2 2,643.1 2,495.3 2,579.1 - Oil imports 1,943.0 1,710.5 1,735.0 1,556.4 1,576.7 - Fertilizers 124.3 116.7 182.1 162.7 154.1 - Industrial raw materials 738.9 928.1 726.1 776.3 848.2 Consumer goods 2,078.8 2,264.5 2,284.3 2,474.1 2,601.6 Food and foodstuffs 458.6 419.5 368.6 445.5 382.9 All other consumer goods 1,620.2 1,845.0 1,915.6 2,028.6 2,218.8 Miscellaneous 2.2 2.2 2.2 2.2 2.2 Imports, goods 7,707 7,867 8,756 8,435 8,587 Transportation 811.8 703.8 640.2 642.3 619.8 - Passenger 68.7 69.1 84.4 62.8 14.7 - Freight 739.4 629.9 543.7 572.7 601.0 - Other 3.7 4.9 12.1 6.8 4.1 Travel 833.6 843.0 633.4 485.0 135.6 Communications services 23.0 22.8 17.0 13.6 8.6 Construction services 31.0 51.3 49.5 45.4 41.6 Insurance services 36.2 42.9 59.7 62.8 58.9 Financial services 8.0 20.0 20.5 13.6 10.6 Computer and information services 11.0 7.2 9.7 16.1 12.1 Royalties and license fees 3.7 3.3 7.2 5.0 1.4 Other business services 181.1 301.2 250.3 260.9 262.2 Personal, cultural, and recreational services 0.9 2.9 1.8 2.8 0.8 Government services, n.i.e. 53.5 81.3 59.7 113.5 131.0 Imports, services 1,994.0 2,079.6 1,749.1 1,661.2 1,282.4 Imports of Goods and Services 9,701.1 9,946.2 10,504.7 10,096.6 9,869.4 [자료: 탄자니아 통계청] 탄 정부 예산안 전년 대비 12% 인상 탄자니아 정부는 올해 3월 2022/23 회계연도 예산안을 당초 37조9,000억 실링(약 163억 달러)에서 8.1% 인상된 41조 실링(약 176억 달러)을 수립하였다. 이는 전년 36조6,800억 실링(약 158억 달러)에서 12% 인상된 수치이다. 특히 인상된 예산안은 관개시설 투자를 필두로 한 농업분야 및 공무원 인건비, 국가 채무상환 및 전자 조달시스템(E-Procurement) 개선에 중점을 두고 편성될 예정이다. 정부는 전체 예산안 중 경상 지출에 62.2%, 개발 지출에 37.8%를 편성했다. 주요 개발 프로젝트는 줄리어서 니예레레 수력발전 프로젝트(JNHPP), 표준궤철도(SGR), 동아프리카 송유관 건설, 린디 지역의 LNG플랜트 사업 및 바가모요항의 특별 경제 구역 개선 사업 등이 있다. 또한 올해 3월 하산 대통령은 2022/23회계연도 예산을 농업과 원예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주*: 농업은 탄자니아의 주요 산업으로 탄자니아 GDP의 약 27%, 수출액의 약 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노동인구 대비 농업 종사자는 66%이다. 2022년 경제성장률 전망 탄자니아 중앙은행(BOT)은 금년 2월 2022년 탄자니아의 GDP 성장률이 5.2%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탄 중앙은행은 2021년 1사분기에 세계 경제 재개와 정책 회복조치로 인해 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로부터 점진적으로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2021년 3사분기 성장률은 5.2%로 2020년 같은 기간 4.4%와 비교하여 주로 건설, 농업, 광업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으며 숙박 및 레스토랑은 전년 같은 기간 마이너스 25.1%에서 2021년 14.3%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주로 관광객 수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3월에 발표된 세계은행 제17차 탄자니아 경제동향 보고서(Tanzania Economic Update)에서도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로 유발된 제한조치의 완화로 교역과 관광부문에서 활기를 되찾아 감에 따라 올해 탄자니아 경제 성장률을 4.5%에서 5.5%로 전망했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4월 12일 지속적인 물가상승과 각국의 부채비율 상승으로 인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올해 1월에 발표했던 4.4%에서 0.8% 포인트 낮은 3.6%로 하향 조정하였으나 탄자니아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4.8%로 비교적 낙관적으로 전망하였다. 지난해 취임한 하산 대통령은 이전 정부와 달리 대통령 산하 코로나 특별 자문위원회를 설립하고 중단되던 코로나19 확진자 통계 발표 재개 및 백신 접종을 도입하여 국내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국제 사회로부터 잃었던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에 따라 IMF로부터 코로나19 위기대응 차관 총 5억6,725만 달러를 지원받은 바 있다. 또한 외국인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해 노동 비자 발급 절차의 간소화 추진 및 투자 이미지 회복을 위한 경제 외교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취임 후 잇달아 인접 국가 및 유럽, 미국을 방문하여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이뤘다. 한편 코로나19로 침체기에 있던 탄자니아 관광 산업 진흥을 목표로 ‘Royal Tour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여 올해 4월 중순 방미 계기에 뉴욕 소재 구겐하임 박물관에서 선보인바 있고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항공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나아가 외국인 투자증대 및 고용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3월에 발표된 2022년 대탄자니아 유럽연합의 투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간 탄자니아 정부의 사업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인해 앞으로 해외직접투자가 증가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전망 탄자니아 경제는 공공 부문 임금 인상과 농업 부문 일자리 창출 증가가 민간 소비를 부양하고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의 지속 추진으로 점진적인 성장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식량, 연료 및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중국의 코로나 확산 방지 봉쇄조치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의 병목 현상이 우려됨에 따라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의 혼란과 서방 세계의 대 러시아 제재가 확대됨에 따라 유가 및 비료, 곡물 값이 크게 오르고 있다. 탄자니아는 올해 4월 첫째 주에 휘발유와 등유가 각각 11%, 21%씩 인상된 가운데 5월 4일 다시 대폭 상승하여 휘발유는 종전 2,861실링(약 1.23달러)에서 3,148실링(약 1.36달러), 디젤은 2,692실링(약 1.16달러)에서 3,258실링(약 1.4달러)로 인상되었다. 탄자니아는 밀과 비료에 대한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당분간 내수가격 상승은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탄자니아 정부는 탄자니아 개발비전 2025 목표 하에 인프라 구축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아 경제 개발을 도모하고 있으며, 대규모 인프라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수입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생산 비용 상승은 탄자니아 경제에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탄자니아 중앙은행(BOT) 경제연구소 미상고(Missango) 소장은 탄자니아 물가상승률(3.6%)이 향후 몇 개월간 계속 증가될 것이라는 의견에 대해 동 수치가 단기적으로는 3~5%대인 통제 가능한 수치 범위 안에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급격한 증가는 예상되지 않는다고 언급한바 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불확실성 또한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 탄자니아 중앙은행(BOT), 탄자니아 국세청(TRA), 탄자니아 통계청(NBS), 탄자니아 일간지 및 KOTRA 다레살람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다레살람무역관 이정훈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11
2022년 캐나다 연방정부 예산안 발표, 주목할 내용은?
캐나다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인 크리스티아 프리랜드(Chrystia Freeland)가 현지 시각 4월 7일 ‘캐나다의 경제 성장과 더 나은 삶을 위한 계획(A Plan to Grow Our Economy and Make Life More Affordable)’을 주제로 2022/23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했다. 이번 예산안 중 신규 추가된 규모는 약 600억 캐나다 달러로 주요 골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주택·부동산 정책, 혁신 경제성장, 기후 변화에 맞선 녹색 경제 강화, 공공 보건 확대이다. 2022년 캐나다 예산안 구성 예산안은 총 9가지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다. <2022년도 예산안 구성> 예산안 목표 및 내용 주택·부동산 - 집값 안정화를 위해 10년간 주택 공급 2배 이상 확대 목표(C$ 101억4000만 규모) - 투기 방지 및 캐나다 시민권자의 주택 보유율 증대를 위해 외국인 투자자의 주거용 캐나다 주택 투자 2년간 제한 경제성장 - 혁신 경제성장을 위한 투자기관 설립, 국가 공급망 인프라 개선 - 중소기업의 법인세 감면 혜택, 반도체 산업 지원 녹색경제 - C$ 17억 규모의 신규 전기차 구매 보상제도 연장 - 탈탄소화 및 청정 기술 프로젝트에 대한 민간자본 투자 가속화를 위해 C$ 150억 규모의 예산 편성 일자리 여성, 신규 이민자, 장애인, 원주민 등 소수 집단 3500명에게 노동조합으로부터 고소득 기술직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유니온 트레이닝 및 이노베이션 프로그램(UTIP)” 지원(4년간 C$ 8,420만 규모) 안보 국제통화기금(IMF)의 우크라이나 관리 계좌를 통해 C$ 10억의 신규 대출 자원을 활용한 우크라이나 정부 지원 보건 부부 합산 연소득 C$ 9만 이하의 가정에 캐나다인의 치과 치료 지원 향후 5년간 캐나다 보건국에 C$ 53억 배정 복지 교육, 복지 등 불평등 해소를 위한 원주민 지원 예산 문화 다양성 혐오, 인종차별, 종교, 스포츠, 원주민 처우 개선, 흑인 커뮤니티 지원, LGBTQ2 지원 등 문화 다양성에 관한 예산 조세 G7 국가들의 관행을 함께 하기 위해 저알코올 맥주 소비세 제거(2022년 7월 1일부 시행) 화폐의 디지털화, 금융 부분의 안정성과 보안 유지 및 위험 관리를 위한 규제 암호화폐와 스테이블 코인 검토 [자료: 캐나다 정부 누리집] 녹색 경제 이번 예산안의 주요 키워드는 '녹색 경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거 정책, 투자 등 예산 전반에 걸쳐 탄소 배출 감소 예산이 편성돼 있다. 캐나다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0~45% 수준으로 감축하고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 달성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탄소 배출량 감축, 기후 변화에 맞선 지속 가능한 농업, 청정 기술 투자에 대한 세금 공제 등이 있다. 먼저 자동차 탄소 발자국 감축을 위한 예산 편성에 대해 살펴보자. 캐나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탄소 발자국 감축을 위해 ZEV(zero-emission vehicle) 차량 구입 인센티브 정책을 연장, 확대한다. 이 정책은 2025년 3월까지 지속되며 5년에 걸쳐 17억 캐나다 달러가 지원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중형 및 대형 ZEV(zero-emission vehicle) 신규 구입 시 보상 프로그램을 위해 4년간 5억4750만 캐나다 달러 지원,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국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자금 지원, 청정 전력 프로젝트 사전 개발 활동에 4년간 2억5000만 캐나다 달러 지원, 스마트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전기화 프로그램에 7년간 6억 캐나다 달러 지원 등이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도 상당한 예산이 편성됐다. 캐나다 경제에서 농업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농업 생산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은 캐나다 전체 배출량의 10%를 차지한다. 이에 2022년도 캐나다 예산안은 2022~2023년부터 6년 동안 녹색 농업기술 프로그램을 3배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3억2940만 캐나다 달러를 지원하고 농장 기후 행동 기금 확장을 위해 4억6,950만 캐나다 달러 등을 지원한다. 넷제로(Net-zero) 배출 목표를 위한 농업 기술 및 품종 개발 연구를 위해 연방 보조금 협의회에 6년 동안 1억 캐나다 달러를 지원한다. 혁신 경제성장 캐나다는 포스트 코로나 경제 재건을 위해 탄소 배출 감소 목표의 달성, 저탄소 산업에 투자를 통한 경제의 다각화와 수출 강화를 주요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낮은 투자율을 개선하기 위한 '캐나다 혁신 투자기관(Canadian Innovation and Investment Agency)' 설립과 기후 변화에 대응해서는 기술 혁신, 세계 경제 변동에 집중 대응하기 위한 '캐나다 성장 기금(World-Leading Canada Growth Fund)'의 설립을 제안했다. 2050년까지 기후 변화에 대응한 넷제로(Net-zero) 경제 건설을 위해서는 매년 1조2500억~1조400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투자가 필요한데 캐나다 성장 기금을 통해 민간분야에서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중소기업 지원 연방 정부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곧 현재와 앞으로 다가올 캐나다의 미래를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OECD 과학 기술지표(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에 따르면 캐나다는 현재 G7 국가 중 기업의 R&D 지출에서 최하위에 위치한다. <비즈니스 R&D 투자비중 비교> [자료: 캐나다 정부 누리집, OECD 자료 편집] 이와 같이 낮은 R&D 투자비중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에 대한 투자 개발, 신기술 분야에서의 투자 증대가 필요하다고 밝히며, 일자리 창출과 캐나다 경제성장의 열쇠가 될 '캐나다 혁신투자기관(Canadian Innovation and Investment Agency)' 설립을 제안했다. 이에 2022/23년부터 초기 5년간 운영을 위해 10억 캐나다 달러의 예산이 배정됐다. 중소기업 육성과 관련해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소규모 사업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이다. 현재 캐나다 정부에서 소유한 민간 기업(CCPC, A Canadian-Controlled Private Corporation)은 활성 사업 소득의 첫 50만 캐나다 달러에 대해 일반적인 연방 법인 세율인 15%보다 낮은 9%의 법인세 감면 혜택을 받고 있다. 그러나 캐나다에서 고용된 자본 수준이 1500만 캐나다 달러에 달하게 되면 세금 감면 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되고 자본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대부분의 주에서 합산 세율을 부과해 소기업에는 세금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번 예산안에서는 중소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생산을 위해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규모를 자본액 1500만 캐나다 달러에서 5000만 캐나다 달러로 확대해 보장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중소기업이 세금 감면 혜택을 누릴 수 있고 2022/23년에서 2026/27년까지 약 66억의 세금 절감 효과를 통해 회사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재투자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밖에도 의료 관련 중소기업의 성장 지원을 위해 2022/23년부터 4년 동안 3억 캐나다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에서는 중소기업을 위한 추가 지원 예산뿐만 아니라 가맹점의 카드 수수료를 포함해 중소기업의 성장을 방해하는 장벽을 완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신규 일자리 창출 코로나19 이후 한동안 침체됐던 캐나다의 노동 시장은 팬데믹의 5차 물결 이후 강한 회복세를 보인다. 캐나다는 G7 국가 중 가장 빠른 일자리 회복세를 보였는데 2020~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 손실된 일자리의 112%를 회복했다. 그러나 여전히 실업률은 높다. 일부 소외 그룹이 좋은 직장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일부 기업은 여전히 일할 사람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정부는 매년 여성·신규 이민자·장애인·원주민·흑인 등 소외된 그룹 3500명을 대상으로 멘토링, 직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니온 트레이닝과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에 4년간 8420만 캐나다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이민자를 캐나다 경제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규정하고 방문자, 유학생, 난민, 노동자를 받아들이기 위해 5년간 3억8570만 캐나다 달러 규모의 예산을 지원한다. 주택 공급 확대 캐나다 주택 가격은 지난 2년 동안 50% 이상 상승했다. 이에 캐나다 정부는 주거 부동산 정책에 101억4000만 캐나다 달러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다. 캐나다의 1000명당 주택 보유 수는 424채로 OECD 국가 평균(462채)에 못 미치는 수치다. 연방정부는 집값 상승의 주요인을 공급 부족이라고 보고 향후 10년간 주택 수를 두 배 이상 확대할 계획임을 밝혔다. 캐나다 주택공사(CMHC, 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는 기존의 격차를 해소하고 급격한 인구 증가세를 따라잡기 위해서 2031년까지 적어도 3.5백만 채의 신규 주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외국인 투자자 주택 구입 제한 이번 예산안에서는 외국인의 부동산 투자를 제한하는 새로운 조치가 추가됐다. 2년간 외국 영리 기업이나 캐나다 비영주권자, 비시민권자인 사람들의 주거용 부동산 취득이 제한된다. 더불어 주거용 부동산, 주택시장 불법 활동 단속이 강화되고 투기에 대한 세금이 부과된다. 또한 구매자가 주택에 실거주하지 않거나 공실인 경우에는 과소 사용에 대한 주택세(Underused Housing Tax)가 매겨진다. 이 조치는 난민, 캐나다 영주권자 및 영주권을 취득 중인 유학생, 캐나다에 거주하며 취업 비자를 가진 외국인 등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시사점 및 전망 이번 2022년도 캐나다 예산안은 지난해 팬데믹으로 지출한 막대한 비용에 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까지 지속되는 불안정한 세계 정세 속에서 발표됐다. 이번 예산안에서 주목할 부분은 경제 성장과 탄소 중립 실현 정책이 그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이다. 그동안의 경제성장이 상당한 탄소 배출이 수반됐던 반면, 이제 탄소 중립은 경제성장의 걸림돌이 아니라 도약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기후 위기 대응과 성장을 함께 추구하는 이번 예산안이 침체된 경기 회복과 미래 세대를 위한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자료: 캐나다 정부 누리집, KOTRA 토론토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토론토무역관 권소윤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10
미국 1/4분기 GDP 마이너스 성장에 대한 현지 반응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은 4월 28일(목) 올해 1분기 미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직전 분기 대비 0.4%(연율 기준 -1.4%)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4분기 성장률 1.7%(연율 6.9%)에서 급락한 수치이다. 이로써 미국 경제는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1, 2분기 이후 최초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게 됐다. 발표 직전 다수 경제 전문가들은 1% 수준의 완만한 GDP 성장을 예측한 바 있으나, 예상 밖의 성장 역행 소식에 언론들은 앞다투어 그에 대한 원인 분석과 전망을 내 놓았다. <미국 실질 GDP 성장률: 전 분기 대비 변화(연율)> [자료: Bureau of Economic Analysis(4.28.)] 안정적 소비와 투자에 힙입어 조만간 성장세 전환 전망 우세 GDP 구성 항목별로 살펴봤을 때 △ 민간 재고 감소 △ 무역적자 확대 △ 정부 지출 축소가 이번 경기 후퇴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미국 GDP 비중의 약 70%를 차지하는 개인 소비지출과 함께 기업 투자가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어 다음 분기 GDP는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은 전 분기 대비 2.7%(연율) 증가했고, 그에 따라 소비지출의 실질 GDP 기여도(Contributions in real GDP)는 전분기 1.76%에서 1.83%로 상승했다. 1분기 중 상품 소비 항목에서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 기여도가 0.35%를 기록한 반면에 식음료, 의류·신발, 가솔린 등 비내구제 소비의 기여도는 -0.38%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가파른 물가 인상이 일반 생필품 소비를 억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1분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라 서비스 소비가 4.30%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해 비내구재 소비 부진을 상쇄했다. 의료, 주거·유틸리티, 외식 서비스, 여가, 교통 등 전 분야에 걸쳐 서비스 소비의 GDP 기여도 상승이 두드러졌다. 민간 투자는 작년 4분기 성장률 36.7%에서 올해 1분기 2.3%로 크게 하락했다. 하지만, 민간기업의 정보통신·산업장비 투자와 소프트웨어·R&D 등 지재권 투자의 GDP 기여도는 각각 0.79%, 0.40%를 기록해 플러스로 작용했다. 다만, 1분기 민간기업의 재고 투자(Private inventories)가 크게 감소해 해당 부문의 GDP 기여도가 -0.84%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소비 진작을 기대했던 도소매 기업들이 지난 분기 재고량을 높게 가져갔고 이번 분기 중 자동차 등 빠른 재고 소진 및 공급망 혼란의 영향으로 재고가 일시적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1분기 GDP 성장률 둔화의 가능 큰 원인으로 무역적자 급증이 지목된다. 전 분기 대비 1분기 수출은 5.9% 감소했고 반대로 수입은 17.7% 빠르게 증가했다. 종합적으로 1분기 중 급증한 무역적자가 전체 GDP 계정에 부정적인 영향(-3.20%)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 코로나19 관련 정부 재정지원 축소에 따라 연방 및 주·지방 정부 지출 축소가 GDP 성장률 하락의 또 다른 요인이 됐다. 지난 분기 연방정부의 국방 지출은 8.5% 감소했고 비국방 지출도 2.2% 감소해 연방정부 지출의 GDP 기여도는 -0.39%를 기록했다. <2022년 1분기 미국 GDP 항목별 기여도(%)> [자료: Wall Street Journal(4.29.)] GDP 역성장, 경제보다 정치적으로 해석될 가능성 높은 고용에 따른 안정적인 소비 증가 추세를 고려했을 때, 일각에서 제기되는 경제 불황(Recession) 돌입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1분기 대폭 증가한 상품수입은 여전히 국내 수요가 견고하다는 증거이고 기업 재고 감소는 기저효과와 공급망 혼란에 따른 단기적 현상에 불과하다는 해석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혼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 펀더멘털은 견조하고 따라서 현재까지 불황에 대한 우려는 섣부르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미국에서 공식적으로 불황 여부를 결정하는 전미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는 통상 2분기 연속으로 GDP가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을 때 경제가 불황(Recession)에 돌입했다고 판단한다. 웰스파고(Wells Fargo) 등 다수의 금융기관 분석가들은 내년까지 미국 경제가 불황에 돌입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 본다. 한편, 언론은 이번 GDP 마이너스 성장이 경제보다는 정치적으로 가지는 함의에 주목했다. 공급망 혼란, 물가인상, 경제성장 지체로 이어진 현재 상황이 11월 치러질 미국 의회 중간선거에서 바이든 정부와 집권여당인 민주당에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최근 갤럽 여론조사(4.1.~4.19. 실시)에 따르면, 미국인 중 약 80%가 현재 경제 상황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76%는 향후 경제 상황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갤럽이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경제신뢰지수(4월)는 -39로 코로나19 발발 초기 2020년 4월 수준(-33)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 경제신뢰지수(2020~2022)> [자료: Gallup] 백악관 관계자는 이번 마이너스 성장은 급격한 재고 감소 등 기술적 요인에 따른 것일뿐 장기 추세로 보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상하원 다수당 지위 탈환을 노리고 있는 공화당은 이번 GDP 실적을 바이든 경제정책 실책을 부각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 공화당 소속 케빈 브래디(Kavin Brady) 하원의원은 “인플레이션 가속화, 고조되는 경제 불황 리스크는 곧 현 정부 정책 실패의 결과물이다”라며 공세를 폈다. 미국 경제 펀더멘털 과연 견조한가? 3월 소비자 물가가 40년래 가장 높은 8.5%를 기록하고 실업률도 3.6%의 완연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5월 3~4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FOMC)에서 기준 금리 0.5%p 인상이 결정됐다. 연준이 정책 지표로 관리해야 하는 '물가'와 '고용'의 관점에서 볼때, 현재 금리 인상은 하등 이상할 것이 없어 보인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연준의 급속한 통화긴축을 무리없이 소화해 낼 만큼의 미국 경제 펀더멘털이 탄탄한지에 의문을 제기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의 경제평론가 그레그 입(Greg Ip)은 고공행진 중인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금리인상 조치로 완화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입은 “연준이 통화정책으로 수요(Demand)를 통제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현재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는 공급(Supply)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공급문제는 단순히 공급의 물리적 부족이 아닌 △ 지정학 갈등 △ 보호무역 정책 △ 자연재해 등에서 비롯된 바, 금리 인상이 물가를 잡는 특효가 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1분기 양호했던 민간 소비가 과연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1분기 실적에는 우크라이나 사태, 유류 및 식품 가격 인상 등 요인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으며 향후 2~3분기 동안 본격적인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실적 저하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일각에서는 현재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한 낮은 실업률의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에 의문을 제기한다. 현재 양호한 고용실적이 팬데믹 이후 급격한 경기 회복에 따른 '후행 효과'(lagging effect)이지, 경제 성장 지속을 예고하는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로 해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연준의 '빅스텝'(0.5%p 기준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실패하고 오히려 고용시장 악화에 따른 경제 성장 지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스러운 전망이 나온다. 자료: BEA 발표, Politico Pro, Wall Street Journal, New York Times, Bloomberg 및 KOTRA 워싱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워싱톤무역관 이정민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10
2022년 2분기 칠레 경제 동향 및 전망
2022년 칠레 경제는 1.5% 내외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에도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미국의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제헌 등 대내외 요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향후 경제 흐름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IMF, 2022년 GDP 성장률 1.5% 전망 2021년 칠레 경제는 코로나19에도 높은 백신 접종률과 정부의 경기부양책, 원자재 수출 활성화 등으로 GDP 성장률 11.7%를 기록했다. 2022년은 미국의 금리 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외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신정부 집권, 인플레이션 우려, 제헌 이슈 지속 등 대내 요인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2022년 4월 19일 IMF는 올해 칠레 GDP 성장률을 1.5%로 제시했다. 이는 IMF가 연초 발표한 1.9%보다 0.4%p 낮은 수치다. <2017~2022년 주요 경제지표 추이>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명목 GDP(US$ 십억) 276.23 295.27 278.44 252.5 316.86 317.59 실질 GDP 성장률(%) 1.3 4 0.8 -6.1 11.7 1.5 소비자물가상승률(%) 2.2 2.3 2.3 3 4.5 7.5 실업률(%) 7 7.4 7.2 10.8 8.9 7 총수출(US$ 백만) 65.8 75.4 69.1 67.5 89.8 - 총수입(US$ 백만) 59.4 67.7 64.1 55.3 86.1 - 주: 2022년 4월 29일 기준, 2022년 수치는 잠정치 [자료: IMF 및 GTA] 하향세인 경제활동지수 칠레 월별 경제활동지수인 Imacec은 2021년 6월 21.1%를 기록한 후 하향세다. 2022년 2월 Imacec은 전년 동기 대비 6.8% 상승했지만 광업 활동이 부진하면서 최근 9개월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Imacec은 경기선행지수로 최근 Imacec의 하향세는 코로나19 기저효과도 있지만 칠레 경기 회복세가 더뎌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21년 3월~2022년 2월 Imacec 추이> (단위: %) 주: 2022년 4월 29일 기준 [자료: 칠레 중앙은행] 인플레이션, 칠레 경제 주요 변수로 떠올라 칠레 통계청(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s)은 2022년 3월 칠레 소비자물가지수가 1.9%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5%p 상승한 수치이자 1993년 10월 이래로 가장 높은 물가상승률이다. 연간 물가상승률은 9.4%에 도달했다. 칠레 중앙은행은 2022년 3월 29일 ‘통화정책보고서(Informe de Politica Monetaria)’에서 2022년 GDP 성장률을 2021년 12월 보고서보다 각 0.5%p 낮은 1%에서 2% 사이로 예측했는데, 전망치가 하향 조정된 주요 원인으로 가파른 물가상승이 언급되고 있다. <최근 6개월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구분 2021년 10월 2021년 11월 2021년 12월 2022년 1월 2022년 2월 2022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 1.3 0.5 0.8 1.2 0.3 1.9 주: 2022년 4월 29일 기준 [자료: 칠레 통계청] 중앙은행은 연금 조기 인출, 코로나 경제지원금 제공 등으로 유동성이 확대되면서 발생한 민간 소비의 급증을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꼽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석유, 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또한 인플레이션 발생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중앙은행은 지난 3월 29일 기준금리를 5.5%에서 7%로 인상한 데 이어 추가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가브리엘 보리치(Gabriel Boric) 신정부는 2022년 4월 7일 경제 회복 포용정책인 ‘칠레가 돕는다: 포괄적 회복 계획(Chile Apoya: Plan de Recuperacion Inclusiva)’을 발표했다. 신정부의 경기부양책은 약 37억 달러 규모로 대중교통 요금 동결, 사회∙경제적 소외계층 지원, 최저임금 인상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5차 연금 조기 인출이 선행돼야 하는데 이 안건은 지난 4월 20일 의회에서 부결된 바 있다. La Tercera 등 주요 언론에서는 신정부 정책이 경기부양에는 긍정적일 수도 있으나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연금 조기 인출 승인은 물가 상승을 견인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페소 달러 환율은 등락을 반복 칠레 중앙은행 고시환율 기준 2022년 4월 29일 페소 달러 환율은 올해 최고 환율인 1달러당 856.58을 기록했다. 2022년 1월 3일 1달러당 844.69로 시작한 페소 달러 환율은 3월 30일 1달러당 777.10까지 하락했었다. 그러나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구리 가격 하락과 미국의 금리 인상, 제헌과 같은 정치 이슈로 페소 달러 환율은 등락을 반복하며 상승 중이다. <2022년 페소 달러 환율 추이> (단위: CLP/US$) 주: 2022년 1월 1일~4월 29일 환율 추이 [자료: 칠레 중앙은행] 환율 주요 변동 요인의 하나인 제헌 관련 칠레는 2020년 10월 25일 국민투표로 새 헌법 제정을 결정한 후 제헌의회를 구성하여 2021년 7월 4일부터 현재까지 새 헌법 초안을 작성 중이다. 2019년 사회적 소요(Estallido Social) 후속 조치로 체결된 ‘사회적 평화와 새 헌법 제정을 위한 협의(Acuerdo por la Paz Social y la Nueva Constitucion)’에서 제헌 논의가 시작되었다. 총 155명의 제헌의원은 올해 7월 5일까지 초안 작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며 9월 4일 국민투표에서 새 헌법 통과 여부가 결정된다. 칠레 시장은 분야별 제헌위원회가 작성한 새 헌법 조항의 표결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일부 조항은 외국인 투자 등 칠레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제헌 이슈는 신정부 지지도와도 관련이 있어 새 헌법안 부결로 발생하는 정치적 혼란은 경제에 이중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칠레 여론조사기관인 CADEM이 2022년 4월 24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새 헌법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찬성한다는 응답보다 9%p가 많은 46%를 기록한 바 있다. 시사점 2022년 칠레 경제는 1.5% 내외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월별 경제활동지수는 2021년 하반기부터 하향세며 환율은 등락을 반복하며 상승 중이다. 인플레이션은 칠레 중앙은행의 2022년 GDP 성장률 하향 조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칠레 경제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주요 경제지표 추이에도 경제가 소폭이나마 성장한다는 것은 칠레 경제가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경제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대외 요인과 인플레이션, 제헌, 신정부 경기부양책 등 대내 요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계속 주시할 필요가 있다. 자료: IMF, GTA, 칠레 중앙은행, 통계청 등 KOTRA 산티아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산티아고무역관 이동희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10
2022년 인도 경제성장률 8% 상회 전망
글로벌 경제 위축에 불구 인도는 2022년 8%에 달하는 세계 최고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기존에 비해 하향 조정된 수치로, 주요 원인은 지정학적 불안정, 고유가 및 고물가 등이다. 하방 압력은 존재하나 인도 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지속 전개할 예정이다. 주요 기관의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러-우 전쟁 및 고유가 등이 원인 세계 각 주요기관들은 러-우 전쟁 등 글로벌 경제 여건의 변화를 반영해 2022년 글로벌 경제 전망을 하향 조정하는 추세이다. 인도의 경제성장률 역시 기존에 비해 다소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나 상대적으로 큰 폭의 조정(-0.8~-0.6%p)에 불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을(약 8%)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요 기관별 FY 2022-2023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 기관명 최신 전망치 기존 전망치 IMF(www.imf.org) 8.2 9 World Bank(www.worldbank.org) 8 8.7 RBI(www.rbi.org.in) 7.2 7.8 Fitch(www.fitchratings.com) 8.5 10.3 Morgan Stanley(www.morganstanley.com) 7.9 8.4 Deloitte(www2.deloitte.com) 8.3-8.8 8.7-9.2 Citigroup(www.citigroup.com) 8 8.3 ICRA(www.icra.in) 7.2 8 [자료: 각 기관 발표] 하향 조정의 주요 원인은 지정학적 불안, 식량 및 연료 수급 문제로 인한 물가 상승, 내수 경제의 회복 지연 등이다. 각 기관은 공통적으로 러-우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 확대와 이로 인한 화석 연료, 밀과 옥수수, 팔라듐, 알루미늄, 니켈, 식용유, 비료 등 식량 및 원자재의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이 산업 생산과 민간 지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장기화, 글로벌 경제 불안에 따른 신흥국에서의 투자자금 이탈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인도 경제성장률에 대한 주요 기관별 의견 (Morgan Stanley) 기존 대비 0.5%p 낮춘 7.9%로 전망한다. 수입 의존율이 높은 화석연료를 중심으로 물가 상승이 예상된다. 재정 적자와 채무 규모 때문에 금융완화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크지 않고 고유가가 장기화할 경우 긴축 재정과 수출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Deloitte) 기존 대비 0.45%p 낮춘 8.3~8.8%로 전망한다. 화석연료, 밀, 식용유 등의 가격 상승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인도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이로 인한 물가 상승, 자본 유출과 보조금 지출 부담 확대 등이 정부 부채율 악화와 인도 루피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단, 인도 경제 펀더멘탈을 고려할 시 장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정학적 불안정은 오히려 투자대상국으로서 인도에 대한 선호도 증가로 이어질 수도 있다(러-우와 인접한 동유럽을 대체). (RBI) 기존 대비 0.6%p 낮춘 7.2%로 전망한다(FY2022-2023 국제유가 100달러/배럴 전제). 국제 유가와 주요 원자재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리스크가 있으나 겨울 수확으로 인한 농가 소비력 개선, 코로나19 완화로 인한 대면 서비스 산업의 회복 등 내수 경제 활성화가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격월로 조사하는 소비자 신뢰지수가 전회 대비 개선되는 등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RBI 격월 소비자 신뢰지수 설문조사(2022.3.)> 구분 2022.1. 2022.3. 기존 대비 경제 상황 -1.7 13.5 ↑ 취업률 2.2 22.7 ↑ 물가 -68.6 -68.6 ↔ 소득 29.0 44.3 ↑ 지출 55.8 64.1 ↑ 소비자 신뢰지수 103.3 115.2 ↑ [자료: RBI(www.rbi.org.in)] <2017~2022년 신뢰지수 변동 추이> [자료: RBI(www.rbi.org.in)] 주요 지표 현황 (물가상승률) 2022년 3월 기준 인도의 연간 물가상승률은 6.95%로 2020년 10월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주요 증가 원인은 식료품(7.68%), 식용유(18.79%), 채소(11.64%), 어류 및 육류(9.63%), 의류 및 신발류(9.4%) 등이며,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한 영향은 4월부터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RBI는 FY2022-2023 물가 상승률 전망을 기존 5.3%에서 5.7%로 0.4%p 상향 조정했다. 이 전망은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인 것을 전제로 했으며 정부의 수용 범위(2~6%) 내이다. 단, 고유가가 지속되고 유가가 10% 인상될 경우 물가와 경제성장률은 각 0.3%p, -0.2%p 조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인도의 생산자 물가지수는 2020년 중반 이후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 3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약 14% 증가한 148.8p를 기록했다. <인도 최근 5개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자료: 인도 통계청(MOSPI, www.mospi.gov.in)] <인도 최근 5개년 생산자 물가지수>(2011년=100) [자료: 인도준비은행(RBI, www.rbi.org.in)] (기준금리) RBI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를 2020년 이래 2022년 4월까지 4%로 유지했으나 5월 4일에 0.4%p 인상을(즉시 효력) 발표했다. RBI는 이미 4월 초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할 때 물가 상승 압력이 강해질 경우 금리 인상을 고려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 바가 있다. (인도 루피화 환율) 인도 루피화(INR)의 대미 달러(US$) 환율은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최근 5개년 기준 연간 평균환율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2~5%를 기록하고 있다. 2021년에는 예외적으로 일시적인 환율 하락(-0.3%)이 있었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입 감소, 격리로 인한 소비 감소, 국제 유가의 하락 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현지 일부 자산운영사들은 US$/INR 환율 변동이 줄어 안정성이 개선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최근 5년 US$/INR 환율 동향>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간 평균 68.4113 70.4059 74.1322 73.9339 75.4116 - 증감률 5.1 2.9 5.3 -0.3 2 최고 74.3407 72.1512 76.97 76.3125 77.0668 최저 63.2965 68,374 70.7246 72.29 73.8102 주: * 2022년은 4월 26일 기준 [자료: www.exchangerates.org.uk] (인도 원유 수입) 인도는 세계 3위 석유 소비 및 수입 국가이며 관련 지출이 국가 경제에 주는 영향 또한 크다. 전체 원유 소비량의 약 85.5%를 수입하고 있으며 FY2021-2022 원유 수입을 위한 지출규모는 전년 대비 약 2배 증가한 1190억 달러에 달했다(인도의 회계연도는 4월에 시작해 3월에 끝남). 최근 고유가의 영향은 2022년 3월 지출에서도 추정이 가능하다(2021년 수치에 포함). 국제 유가가 14년 만의 최고치인 배럴당 140달러를 기록한 2022년 3월의 경우 원유 수입을 위한 지출 규모가 전년 동월 대비 약 63% 증가한 137억 달러에 달했다. 글로벌 고유가 기조와 더불어 인도의 국내 원유 생산량의 지속적인 감소(2017년 3600만 톤 → 2021년 3050만 톤)가 관련 지출 증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인도 원유 수입 및 생산규모>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수입액(US$ 억) 878 1,119 1,014 623 1,192 - 증감률(%) 25 27 -9 -39 91 생산량(백만 톤) 36 35.7 34.2 32.2 30.5 - 증감률(%) -2.5 -0.9 -4.2 -5.9 -5.2 * 집계기준: 각 해 4월부터 차년도 3월까지(예: 2021년은 2021년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자료: 인도 석유천연가스부(Ministry of Petroleum & Natural Gas, Petroleum Planning & Analysis Cell)] 시사점 코로나19 여파에서 회복세를 보이던 세계 경제는 러-우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 증가, 원유와 식량 및 원자재의 가격 상승 등으로 다시 주춤하고 있다. 인도 경제의 역시 기존 예상에 비해 위축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하향 조정에 불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IMF 4월 전망치: 기존 대비 -0.8% 감소, 8.2%) 인도 정부는 고유가의 장기화와 글로벌 공급망 회복 지연 등 하방 압력이 상존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수요 반등, 대면 서비스 산업의 재활성화, 정부의 인프라 및 자본 지출 확대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공공 인프라와 산업 경쟁력 강화, 디지털 경제 개발, 수출 및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장기 로드맵을 마련해 차세대 경제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펼치고 있는 중이다. (링크 기사 참고: ‘2022년 정부 예산안을 통해 본 인도의 성장 전략’, ‘인도 2022/23 회계연도 연방 예산안 및 시사점’). 2022년에도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 성장이 기대되는 인도라는 14억 명 규모의 거대시장에 우리 기업들이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RBI, IMF, MOSPI, PPAG, IMF, exchangerates.org.uk, world population review 및 KOTRA 벵갈루루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벵갈루루무역관 남기훈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10
중국 경제 하방압력 지속, 점진적 조업 재개를 준비하는 상하이
4월 중국 전국 제조업 PMI는 47.4로 2개월 연속 수축구간에 머물러 있다. 코로나19가 발발했던 2020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제조업 경기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PMI가 4월에 접어들어서도 상승국면을 타지 못하는 것은 중국 코로나19의 전국적인 확산세로 기업 생산조업 중단이 빈번하게 이어지는 한편, 지역 봉쇄로 인한 물류 수송난이 가중되면서 4월 수요와 공급이 모두 둔화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제조업 PMI> [자료:WIND] 중국의 현재 제조업 PMI는 위드코로나로 개방하며, 점진적인 산업회복세로 향하고 있는 전 세계 주요국과 확연히 대비돼 여전히 50 이하의 수준을 보인다. 중국의 현재 제조업 PMI는, 위드코로나로 향하고 있는 전 세계 주요국과 확연히 대비되어 여전히 50 이하의 수준을 보인다. 중국은 2020년 코로나19를 가장 먼저 겪었고 다른 나라에 비해 먼저 회복했다. <전 세계 주요국 제조업 PMI 종합지수> 주: 전 세계 PMI는 3월까지 수치 [자료: WIND] 공급과 수요지수도 하락세 생산 지수와 구매량 지수는 각각 44.4, 43.5로 전월 대비 5.1, 5.2 하락하는 등 기업생산이 크게 위축되었음을 나타냈으며(공급하락), 신규주문, 신규수출 주문도 각각 42.6, 41.6으로 전월 대비 6.2, 5.6 포인트 크게 줄어들면서 시장수요의 감소도 반영하고 있다. 이번 중국의 여러 지역에 걸친 코로나19 확산세와 방역통제 강화로 일부 기업이 작업 및 생산이 중단되거나 물류운송이 막혀 공급망이 차단되고 또 연초부터 이어진 러-우 갈등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 상승과 일부 유럽지역의 수출주문 감소는 수요 부진과 고용 감소로 악화되었다. 중국물류구매연맹 분석가 장리췬은 신규 수주 및 신규 수출 수주 지수가 기준선 50 이하로 5포인트 이상 하락한 것은 기업인들이 느끼는 수요면에서의 충격이 더 큰 요인이라 평가했다. 실제 해당 조사 대상 기업의 40% 이상이 수요 부족을 가장 큰 경영 애로로 꼽았다. <생산 수요 PMI 추세> [자료: WIND] 4월에도 상품배송 지수도 지속 하락했다. 원자재 반입과 생산품 반출의 혈액 역할을 하는 배송지수가 하락하면서 원자재 재고와 생산완제품 재고 지수 부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특히 생산 완제품 재고지수는 50.3으로 역대 최고점까지 올랐으며 이는 2020년 4월의 49.3보다 더 높은 수치다. <상품배송 지수와 재고 지수> [자료: WIND] 경제의 동적 운용을 나타내는 신규주문-완성품재고 지수 간 차이도 -7.7로, 전월(-0.1) 대비 크게 하락했다. <경제동적운용 지표> [자료: WIND] 원자재 구입가격 지수 지속 상승 4월에도 해외의 지리적 갈등과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지 않아 글로벌 대량상품 공급과 가격에 대한 충격 요인이 여전히 컸다. 실제 2020년 하반기 글로벌 주요 원자재 가격은 지속적으로 고공행진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발발 이후, 주요국(미국 등)의 경기부양책이 이어지면서 달러 유동성이 커졌고 이는 주요 비철금속(구리, 아연 등)의 급격한 가격 상승을 야기했다. 원자재 매입가격지수는 64.2로 전월 대비 1.9포인트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3개월 연속 60 이상의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해당 기업 설문조사에 따르면 원자재 원가를 많이 반영하는 기업의 비중이 3개월 연속 60%를 넘어서는 등 주요 기업의 원가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 <원자재 구입가격 지수> [자료: WIND] 실제 중국 내 주요 원자재 가격은 2020년 하반기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었다. 참고 ① <중국 내 주요 비철금속 평균가격 상승 추이> (단위: %) 주: 2020년 1월 가격 기준 상승률 [자료: BAIINFO] 참고 ② <인민은행-원자재가격 분기 조사> (단위: %) 주: 인민은행 설문조사의 조사 대상은 전국(티베트 제외) 5,000여 개 공기업으로 기업의 총생산, 생산요소, 시장수요, 자금, 비용효율, 투자 등 7개 동향에 대해 집계 [자료: 인민은행] 중국 외수(外需) 중국의 4월 PMI 신규 수출 주문지수는 41.6로 전월 대비 더 하락해 외수(外需) 요인이 더욱 약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4월 수입 PMI는 42.9로 하락했으며, 이는 4월 들어 철광석 가격이 반등하고 유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등 내수 부진과 물류 차질 요인으로 이는 4월 대외무역 수입량이 전월 대비 더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낳게 한다. 중국 창성증권은 중국의 4월 외수 PMI 분석보고서에서 중국의 3월 수출 감소의 일부가 주요 가공무역 경쟁국인 베트남으로의 이전되는 ‘대외무역 수주 유출’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실제 베트남의 4월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 내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통제 정책이 기업의 생산과 운송에 영향을 미쳤고 이와 반대로 동남아 등지에서는 점진적 재가동 추세로 접어들면서 중국의 대외무역 유출분의 재수주 수혜를 입었다는 것이다. 다만, 현지 전문가들은 지난 4월 28일부 상하이에서 일부 지역이 사회면 제로화를 달성하면서 점진적인 생산·운송 회복이 예상되고 2분기에도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이 지속돼 중국의 대외무역 수출에는 여전히 회복 여력이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중국의 외수 관련 PMI 및 베트남 수출증감률> (단위: %) [자료: WIND] 지난달부터 이어져온 방역통제 강화로 인한 물류 압력은 4월에도 계속 이어졌다. 특히 4월 초중순까지는 물류운송 차단으로 인한 배송 지연, 운송 우회 확보 등으로 물류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기업 조사에 따르면, 물류수송난에 직면했다는 기업이 대다수이며 주요 원자재와 핵심부품 공급애로, 생산완제품 판매 부진으로 인한 재고적체 등 문제가 나타났고 산업 전반적인 상하류 공급망 관련 업체들의 생산 경영에 큰 차질이 빚어졌음을 보여주었다. 4월 하순으로 접어들면서는 국무원 등 중앙정부의 ‘전국 단위에서 화물 및 물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하는 작업’ 등 통지를 발표하여, 물류 차단이 점차 해소되었지만 여전히 상하이와 같은 중요한 거점 구간에서의 물류 적체 현상은 지속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상품과 인구 이동 제한’은 고용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국가통계국 서비스산업 조사센터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의 기업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존보다 물류원가가 더 늘었다고 답변한 기업 비중은 전체의 53.4% 비중으로 전월 대비 10.4% 급증했다. PMI 고용지수는 47.2로 전월 대비 1.4 하락했으며, 특히 제조업 정상 근무인원 수가 크게 감소했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 소형기업이 직면한 하락세가 더 크다. 중국 고용의 대부분이 중∙소형기업, 영세기업 및 소상공인에 기반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PMI 선행지수로 보이는 수치보다 실제 경제 기층(基层) 단위에서의 산업∙고용의 부정적인 여파는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된다. <대, 중, 소형기업 각 주요 산업PMI 현황> 생산 PMI 기업동력 지표 구매량 PMI 원자재 재고 PMI [자료: WIND] 2022년 4월 위안화 가치 급격한 절하, 인민은행 외화지준율 인하 발표 2021년 하반기부터 위안화-달러 환율은 달러지수와 ‘디커플링’ 하는 양상을 보여온 바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달러지수와 위안화 환율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왔다. 예를 들어 달러가 강세이면, 위안화 환율도 상승하는 형태다. 이는 2015년 중국의 ‘8.11 환율개혁’ 이후 전반적으로 일관된 양상을 보여왔다. 2021년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미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11월 중순부터 채권매입 계획 축소 발표로, 금리인상 기대와 더불어 달러지수가 상승세를 이어왔다. 하지만 위안화는 기존 양상과는 달리 강세를 보였다. 2021년 말, 달러지수가 90에서 96으로 상승했음에도 위안화 가치는 2021년 하반기 이후 최고 6.34위안까지 올랐고 CFETS 위안화 환율은 102.98까지 올랐었다. 이는 2021년 기간 중국의 수출 고성장세가 지속되고 중국인의 해외송금 감소(중국인의 해외송금 규모는 연간 약 2000억 달러)와 해외자금의 지속적인 유입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기간별 위안화-환율과 달러지수 추이> <CFETS 위안화 환율 지수-위안화 환율 추이> 주: CFETS 위안화 환율이란, CFETS 통화 바스켓 내 특히 중국외환거래시스템(CFETS)에 나열된 모든 외화-위안화 간 환율을 의미 [자료: 중국 인민은행, WIND] 위안화 환율과 달러지수가 디커플링 현상을 보였던 것은 각국의 경기 회복 주기가 어긋나면서 중국과 해외경제 간 통화정책 주기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중국 경제운영 하방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인민은행은 금리인하 등 다양한 정책수단으로 통화금융 온건 정책을 펼쳐온데 반해 미국 등 주요 국가는 작년 하반기 이후로 인플레이션 압력과 더불어 점진적인 긴축통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달러지수와 위안화 환율 간 디커플링으로 중국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외환 통화정책을 유지할 여력이 있었다. 하지만 이 양상도 3월 이후 달라지는 추세다. 위안화환율은 올해 3월 이후 디커플링을 이어가지 못하고 지난 4월 28일 달러당 6.61을 돌파하는 등 위안화 환율(CNY)이 급상승했다. 지난 4월 말 위안화 최종 가치는 6.5866으로 마감해 연초 누적 대비 3.2% 하락한 데 이어, 최고치는 6.65로 연초 대비 4.2% 떨어졌다. 이처럼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 곡선이 가장 가파르게 치솟은 것은, 즉 가치절하 속도가 가장 빠른 적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이에 인민은행은 지난 4월 25일 금융기관의 외화 지급준비금을 9%에서 8%로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통화정책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며, 2021년 기간, 위안화 강세 현상을 조정하기 위해 2회에 걸쳐 지준율 인상을 발표한 것과 다른 조치다. <위안화-달러 환율 변화와 정책 동향> [자료: 인민은행] 위안화 가치의 급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4월 들어 중국 경제 하방 압력이 더욱 커진 점이 가장 크다. 2월 하순 이후 중국 여러 지역에서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지속됐고 특히 상하이 봉쇄상황은 전 산업, 지역으로의 파급력이 커 경제 하방 압력을 가중시켰다. 중국 정부의 ‘동태적 제로화’ 방침을 위해서는 방역통제 정책이 ‘이동을 통제’하는 것이 최우선으로 적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요식업·물류·관광·운송 등 서비스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4월 비제조업 상업활동 PMI는 41.9로 연초 대비 10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또 2020년 코로나19 사태 초기 53.2보다 낮은 수치다. <비제조업 비즈니스 활동 지표 및 차이신 서비스업 PMI> [자료: WIND] 중국 정부의 조치 위와 같이 중국의 각 산업, 금융 분야에서 경기 하방 압력이 더욱 커지자 지난 4월 18일 국무원 연합 방역통제기구는 <전국 산업, 공급체인 안정화 원격회의>를 개최하는 것을 시작으로 전국 단위에서의 점진적인 산업과 기업의 조업 회복을 독려하고 있다. 해당 회의 결과, 전국의 도로교통 통제현황을 전수조사 했으며 불요불급한 방역통제로 인한 교통 차단을 해제하도록 지시했다. 국무원 발표에 따르면 해당 조치 결과 지난 4월 10일 전국에서 폐쇄∙통제된 고속도로 톨게이트와 휴게소는 각 678개와 364개소였으나 5월 4일 기준 전부 100% 개방되었다. 4월 중순 이후부터는 전국 단위의 물류 운송과 공급망 문제는 초기 단계의 정체현상을 벗어서 점진적인 호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차량 화물운송 지수, 공공 물류단지 화물량 또한 회복세를 보인다. <차량 화물운송 지수: 화동지역, 지린성> 주: 코로나19 확산 영향을 크게 받은 지역은 전국 지수 대비 편차 큼. [자료: WIND] (참고)<차량 화물운송 지수: 기타 연해지역> 주: 코로나 확산세가 심하지 않은 지역은 전국화물운송지수와 비슷한 양상으로 움직임 [자료: WIND] <3~4월 기간 전국 공공물류단지 화물량> [자료: WIND] 중앙정부는 물류통행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무원 내 ‘물류통행보장 소그룹’을 구성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 5월 4일 발표한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 철도 수송화물 총 1,102만 5,000톤으로 전월 대비 0.65% 상승 ∙ 전국 고속도로 화물차 통행량 601만 4,000대로 전월 대비 10.16% 상승 ∙ 전국 중점 항만 차량 화물 물동량 총 3,138만 2,000톤으로 전월 대비 2.9% 증가, 컨테이너 물동량은 75만 TEU로 전월 대비 -3.1% 하락 ∙ 민용항공 548편(이 중 국제화물편 442, 국내화물 106편)의 운행이 보장되었으며, 이는 전 분기 대비 3.4% 증가한 것 ∙ 우편택배 물량은 전월 대비 2.2% 증가한 2억8,500만 건, 배달 건수는 전월 대비 1% 증가한 2억9,600만 건 기록 [자료: 국무원 발표] 2022년 4~5월 주요 중앙정부 회의를 통해 본 향후 방향 4월 중하순 이후, 코로나19 봉쇄통제로 인해 가장 큰 경제적 타격을 입은 상하이에서도 점진적인 기업∙사회의 조업 재가동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동향을 파악하려면 중앙정부의 기조에 대해 먼저 이해해야 한다. 중국 중앙정부는 상기 기술한 각종 경제선행 지표의 부정적인 추세에 대응하여 ‘방역통제(동태적 제로화)’와 ‘안정적 성장’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중앙의 기조는 그대로 각 지방정부의 방역, 지원정책으로 이어진다. 4~5월 개최된 중앙정부의 주요 회의 내용을 요약하면, (1) 방역통제 정책(동태적 제로화)는 엄중히 유지할 것, (2) 이와 동시에 2022년 경제성장 목표를 달성하고 방역정책으로 인해 타격을 입은 중점산업, 물류운송, 중소∙영세기업∙자영업자에 대한 지원 강화(적극적 재정, 통화정책 수행), (3) 소비 진작, (4) 고용안정, (5) 대외무역 안정 등으로 요약된다. 이 중 특히 중요한 것은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 등이 주관하는 ‘중앙 정치국 회의’다. 4~5월 열린 정치국 회의의 관전 포인트는 ‘2022년 경제성장 목표에 대한 조정 여부’였다. 회의에서는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위기로 인한 위험 도전이 증가하고 중국 경제 발전 환경의 복잡성, 심각성, 불확실성이 상승하면서 안정적 성장, 고용, 물가 안정 등 중국의 ‘안정적 경제운용’ 기조가 도전에 직면했다"고 평가하며 "경제안정, 경제사회 발전 전망 목표의 연중 실현 노력, 합리적 구간 유지"라는 전년 경제 사회 발전 목표에는 변함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현재 중국 경제는 2020년 1분기 처음 코로나19가 발발했을 당시에 비해서는 충격이 덜하지만, 지난 2~3년의 기간 코로나19는 장기적으로 중국 경제에 영향을 미친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올해 3월 이후 오미크론의 재확산으로 일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로 인해 고용이 현저히 악화될 수 있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 3월 조사 실업률은 5.8%로 정부 업무보고 목표인 5.5%를 크게 웃돌았다. 연간 경제성장 목표인 5.5%를 향한 노력은 중국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충분한 고용수준)으로 돌아가는 데 유리하고 고용안정을 위한 객관적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경제가 예상을 뛰어넘는 내외부 요인에 충격을 받아 지난해 4분기 중앙경제공작회의와 정치국회의 때 예상했던 전망과는 확연히 다른 상황이어서 원래의 경제성장 목표 달성을 위해서라면 기존과는 다른 더 큰 확장정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다. 그래서 회의에서는 "거시정책 조정력을 높일 것”, "정책도구 통제력을 높여 목표지향 하에서 정책의 수행가능 양과 여력(量和冗余度)을 확인해야 한다"라는 표현 등이 등장하며 재정정책, 통화정책, 내수확대, 상품확대, 공급유연, 사회민생 등 각 방면에서 구체적인 정책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태적 제로’ 방침은 흔들리지 않음을 강조하며 “코로나19 방역통제는 유지하고, 경제는 안정화시키며, 안전한 발전을 추구(疫情要防住、经济要稳住、发展要安全)”라는 중앙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중국 중앙정부 주요 회의결과> [자료: 중국정부망, 중앙은행 발표] 중앙의 기조에 맞춰, 점진적인 산업 재개를 준비하는 상하이 동향 2~3월 이후 중국 전역에서 일어난 코로나19 확산세로 가장 큰 충격을 받은 2개 지역은 상하이와 지린성이었다. 이 2개 지역은 중국 2021년 GDP 비중의 각 3.8%, 1.2%를 차지하며, 특히 완성차 생산 주요 거점으로 차량 산업에 미치는 여파가 매우 컸다. 주: 주요 차량 브랜드(이치폭스바겐·화천BMW·상해기차 등) 3월 생산 감소폭 모두 30% 내외로 급락 상하이보다 앞서 봉쇄통제가 이어졌던 지린성은 약 45일간의 봉쇄 기간을 거친 후, 지난 4월 14일 ‘사회면 제로화*’를 달성했음을 발표했다. 사회면 제로화 달성 이후, 4월 20일부터 지린성정부는 <코로나19 대응 질서 회복 등 조치 총괄 통지>를 발표하는 등 산업체인 전반의 공동 복귀를 추진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지린성은 대기업·규모 이상의 공업 기업, 중소·중견기업 순으로 조업 재개를 추진해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으며 창춘 소재 5개 공장 모두 재가동에 돌입, 지린성 내 500개 중점 업체도 조업재개에 들어갔다. 중앙정부의 ‘안전하고 질서 있는 복공복산 작업 전개 요구’에 따라, 지린성은 순차적으로 산업 회복 작업을 추진 중이다. 주*: 중국의 방역정책 용어 중 동태적 제로화, 사회면 제로화의 차이 구분 필요. 사회면 제로화란, 코로나19 확진자가 0명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 사회면 제로화와 동태적 제로화란? - 사회면 제로화(社会面清零): 감염자 및 접촉자 격리 조치 후 사회를 정상 활동 장소(사회면)와 격리 관리통제 장소 2개로 나누어 관리. 사회면 지역에서 추가 감염자가 발생할 경우 즉시 격리통제 장소로 이동 조치하여 사회면의 제로코로나를 유지하는 방식. 이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가 초기에 차단되었음을 의미하며 점진적인 봉쇄해제의 전제조건이자 중국 방역통제의 주요 목표임. 상하이 정부는 ‘사회면 제로화’를 ‘동태적 제로화’ 실현을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보고 있음. - 동태적 제로화(动态清零):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방역통제에 있어 일관되게 고수하고 있는 기본 원칙과 목표. 지역 내 감염사례 발생 시 모든 정부·기관이 신속하게 “발견 즉시 제거”의 방식으로 전염 사슬을 차단하고 사회면에서 사례가 발생되지 않는 상황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함. '동태‘란, 감염률 0을 추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제로화'는 전염병의 대규모 확산을 막는 기본을 지키는 것을 의미함. 상하이의 상황도 비슷하다. 최근 상하이도 사회면 추가 감염자가 감소세로 접어들면서 주요 산업을 우선으로 한 생산 회복을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3월 말부터 이어져온 봉쇄 통제가 장기화되면서, 중국 차량·반도체 산업, 소비거점, 대외무역의 요충지인 상하이 전체 경제 운행은 큰 타격을 입었다. 상하이 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상하이시 지역총생산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에 그쳤다. 2021년 1분기 17.6% 증가율에 비해 크게 낮아진 수치이며, 분기 후반부로 갈수록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상하이시 2022년 1분기 주요 경제운행 결과> · (규모 이상 공업) 1분기 상하이시 규모 이상 기업 공업생산액 전년대비 3.9% 증가. 1~2월 11.9% 증가한 것에 비해 3월은 전년대비 –10.9% 크게 감소 ∙ (3차 산업) 시 GDP의 76.5% 비중을 차지하는 3차산업 증가율 전년 동기 대비 3.3%. 2021년 3차 산업 ’20년 대비 14.3% 증가, 평균 2년 증가율 5.5%보다 낮은 수준 ∙ (소비판매) 1분기 소비재 판매총액 4,382억 위안, 전년대비 –3.8% 감소. 1~2월 기간 3.7%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3월 –18.9%로 크게 감소. 도소매업 판매액 –3.4% 감소, 외식업 등 –8.7% 감소 ∙ (온라인소매 판매) 1분기 총액 증가율 18.4%, 2021년 동기 증가율(22.5%) 대비 낮아짐. 상하이 봉쇄가 3월 말부터 진행됨을 감안하면 4월 이후 소비재 판매총액 감소율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서비스업) 1분기 시 전체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 단, 도소매업 –1.4%, 임대업 –0.2% 감소 ∙ (대외무역) 1분기 상하이시 대외무역 전년 동기 대비 19.9% 증가. 단, 3월 수입 규모 전년 대비 –5%로 감소 ∙ (물가지수) 1분기 소비가격 전년 대비 1.8% 상승. 1~2월 1.6%에 비해 3월 들어 식품류를 비축하려는 주문수요 증가로 2.2% 크게 상승. 공업물가(PPI)는 1분기 3.5% 상승률 시현. 이는 2021년 전체 연도 대비 1.4 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특히 공업생산자 구매가격지수는 8.6%로 크게 상승 [자료: 상하이시 통계국] 교통물류 운행이 제한되면서 관련 지표는 더욱 부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3월 상하이시 화물운수 총량은 1억1,889만 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6.4% 크게 감소했다. 특히 항공운수 관련 지수는 화물과 여객 모두 감소폭이 가장 컸다. <상하이시 1분기 교통운수 현황> [자료: 상하이시 통계국] 참고로 중국 주요 항만의 화물물동량 추이를 보면, 코로나19 확산세와 물동량 감소는 어느 정도 상관성을 보인다. 2~3월초 선전 봉쇄의 영향으로 선전항 물동량이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인근지역 항구의 물량 증가로 이어졌다. 상하이항의 물동량 증가율은 중국 연해 주요 항구 물동량 대비 늘 높은 수준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상하이 봉쇄로 인한 물동량 감소 여파는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주요 항만 화물물동량 비교> [자료: WIND] 지난 4월 16일~30일 기간 상하이시 경신위는 <상하이시 공업기업 조업재개 지침>과 조업 가능 화이트리스트 기업 1,2차를 순차적으로 발표하며 ‘방역통제 지침’을 준수하는 것을 조건으로 폐쇄식 생산관리 조업재개를 허용하고 있다. 상하이시 정부 발표에 따르면 중앙정부의 ‘동태적 제로화 방침’은 고수하면서 동시에 사회면 제로화를 달성한 구역부터 순차적으로 조건부(인원, 구역, 활동제한) 해제 절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상하이시 정부에서 발표한 방역통제와 조업 재개 정책동향은 아래와 같다. <상하이시 발표 방역∙조업 재개 정책> 주*: 세부내역 첨부 동향자료 확인 [자료: 상하이시정부] 시사점: 중국은 방역과 경제,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그간 중국 정부는 경제성장 목표를 제시한 이후, 대부분 달성해왔다. 2020년 코로나19가 처음 발발했을 때도 선제적인 도시(우한) 봉쇄조치로 확산을 막고 세계 타 지역보다 먼저 회복을 이루면서 V자형 반등세로 플러스 성장을 이루었다. 올해 경제 하방 압력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5.5% GDP 성장률은 달성할 수 있을까? <2010년 이후 중국 정부 경제성장목표와 달성 현황> [자료: WIND, 국태군안연구소] 중국은 2020년 코로나19 초기 발발 당시, 우한 봉쇄로 코로나19의 전국적인 확산을 막으면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경제 회복세를 달성했다. 중국 정부는 당시 방역 정책을 성공사례로 꼽으며, 여전히 엄격한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5월 5일 열린 중앙 정치국 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은 다시 한 번 중국의 동태적 제로 방침의 우수성을 강조했다. 회의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래 중국은 외부 유입 차단 내부 확산 억제 등 동태적 제로화 체제를 견지하고 있다"며, 올해 3월 이후 전국적으로 혹독한 방역통제의 시련을 견뎌내고 단계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자평한 바 있다. 중국 정부의 논지는 중국은 인구 수가 많고 고령 인구층이 많으며 지역발전이 불균형하여 의료자원 총량도 부족하여 방역통제 완화시 대규모 감염과 대량의 중증사망 우려가 있으므로 중앙 당에서 정한 방역통제 정책을 완전하고 전면적으로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에는 확산 억제를 위한 의무 대량 테스트와 엄격한 폐쇄∙통제 조치가 수반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경제적 비용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중국 경제는 하방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이 위드코로나로 전환하며 개방을 가속화하고 제조업 PMI가 상승 국면을 타는 것과 반대로, 중국만 50선 이하에 머물러 있다. 4월 PMI 결과를 보면, 제조업 및 비제조업 활동지수가 모두 2020년 2월 이후 최하의 수준으로 급락했다. 전 세계 전문가들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4월,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4.4%로 낮췄고 Fitch Ratings는 "중국의 4월 성장 모멘텀이 크게 악화되었음”이라 평가하며, 중국의 GDP가 2분기 크게 수축할 것으로 전망했다. 노무라증권도 주요 도시 봉쇄, 부동산 부문 축소, 수출 둔화가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줌에 따라 2분기에 "침체"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CNN에 따르면 현재까지도 최소 27개의 중국 도시가 완전 또는 부분적인 폐쇄상태에 있으며, 약 1억8,500만 명의 인구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동제한, 통제 조치는 서비스산업 부문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 서비스산업은 중국 GDP의 절반 이상과 고용창출의 40% 이상 비중을 차지한다. 차이신 서비스PMI 지수는 4월 약 6포인트 하락했고, 이는 2020년 2월 이후 가장 큰 하락이다. 러-우 갈등,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세 등 외부 비용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 국내의 수요 감소는 제조업 기업이 더 이상 원가상승분을 최종 소비자에게 가격 전가하는 것이 어려워짐을 의미한다. 이에 신규 주문감소를 직면한 제조업 기업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직원 해고를 이어갔으며, 서비스 부문의 고용지표는 4개월 연속 50 미만을 기록했다. 지난 5월 1일부터 있었던 노동절 연휴 기간, 중국의 여행관광산업도 큰 타격을 입었다. 문화관광부 발표에 따르면 연휴 기간 관광객 규모는 전년 대비 30% 줄었고, 관광 총 지출액은 648억 위안(약 98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43% 감소했다. 최근 중국 중앙정부는 경제 하방압력 난제 해결을 위해 수 차례 정책∙재정지원 발표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4월 정치국 회의에서는 ‘일부 지역에서의 부동산정책의 유연화’를 시사하며, 완화 정책 여지를 보여줬다. 이는 2021년도 기간 정부가 부동산과 플랫폼 기업에 대해 엄격한 규제했던 기조에서 유연한 태도로 선회한 양상이다. 또 전국 단위의 통일된 통행증 발급, 불필요한 도로교통 통제 해제, 중점 산업을 위주로 점진적인 조업 복귀 등 지침을 내리고 있고 상하이, 지린성 등지에서도 이에 따라 복공∙복산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4월 말 <증권시보>에서 상하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여전히 현실적으로 행정구역간 상호 통행이 제한되어 출퇴근이 어렵고 재택근무를 이어가고 있는 현실이다. 또 기업의 조업 재개를 위한 방역통제 조건이 너무 까다로워 실제 이행하기가 어렵다는 답변이 다수였다. 상하이시의 조업 재개 방침에 따르면 기업은 전직원에게 구역을 구분하여 숙소, 근무공간 등을 제공하고, 방역통제(항원, 핵산검사 시행), 폐쇄식 관리의 모든 책임을 지게 된다. 기업으로서는 관리, 운영비용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설문조사에 응한 상장사 82개사 중 70% 이상이 신규직원 채용 등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원부족으로 인한 업무애로를 호소하기도 했다. 지난 4월, 위안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며, 위안화-달러환율이 상승하자 중앙은행은 긴급하게 지준율 인하를 발표했고 정치국에서도 ‘대외무역 기업 지원’ 방안 등을 잇달아 발표하며 안정에 나섰다.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에서 위안화 가치 하락은 수입업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 중국의 중점산업(반도체, 기계장비)은 여전히 핵심소재 부품의 수입 의존율이 높다. 더군다나 달러지수와 위안화환율간 커플링 현상이 보이는만큼 최근 강달러 기조가 이어지는 추세에 중국 통화당국의 독립적 정책운용 여지가 줄어들 수도 있다. 중국 GDP의 60% 이상의 공헌율을 기록하는 소비 수요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국무원은 4월 20일 <소비 잠재력 촉진> 의견을 통해 농촌지역의 차량, 가전제품 하향소비 확대 정책을 펼칠 것이라 발표했다. 이 또한 2020년 내수 소비진작을 위해 중국 정부가 내놓았던 정책과 비슷하다. 당시 대규모 농촌소비 활성화 정책으로 신에너지차와 가전제품 구매 보조금 지급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판매량 상승에 큰 효과를 거둔 바 있다. 대규모 정책지원금으로 내수 소비 진작을 다시 한번 이끌어내겠다는 취지다. <중국 GDP 3대 공헌 비중> [자료: 국가통계국] 위와 같이 경제 하방압력에 대처하는 중국 정부의 방안은 대규모의 정책, 재정 지원으로, 거시정책 조정 강도를 높이는 것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하지만 세계 주요국의 정책방향과는 상반되게 지속적으로 재정, 통화 완화 정책을 펼치려면 어느 정도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중국의 동태적 제로화를 위해서 수반되는 ‘통제’와 안정적인 경제성장(GDP 5.5% 목표) 이라는 두 가지 상반되는 목표가 어떻게 동반될 수 있을지, 전 세계가 중국의 행보를 주목하고 있다. 자료 : WIND, 중국정부망, 국가통계국, 인민은행, 상하이시정부, 펑파이뉴스, 국태군안증권, 창성증권연구소, 시나재경 등,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조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상하이무역관 김다인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09
대 사직 현상이 바꿀 미국 경제와 소비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올해 3월 자발적으로 직장을 그만둔 인원은 454만 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자발적 퇴사자 수가 직전 달보다 15만2000명 증가한 반면, 3월 일자리 수 대비 구직자의 비율은 0.5%로 2007년 이후 최저점을 찍었다. 코로나19로 촉발된 근무 형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사직과 이직을 가속화시키며 장기적으로 고용 시장, 경제 흐름, 소비 트렌드의 판도를 바꿔놓을 가능성이 높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예견하고 있다. <일자리 수 대비 구직자> (단위: %) [자료: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대 사직 현상(Great Resignation) 대 사직(Great Resignation) 현상은 앤소니 클로츠 텍사스 A&M대학 경영대학원 교수가 근로자들의 대규모 직장 이탈 현상을 예측해 만든 용어로 지난해 5월부터 각종 기사에 인용되기 시작했다. 대 사직 현상은 근로자들이 퇴사해 노동시장이 움츠러든다는 뜻이 아닌, 대 이직 현상으로 풀이된다. 지금보다 나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이탈 현상이 심화된다는 의미다. 퓨리서치(Pew Research)가 2021년 퇴사 경험이 있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올해 2월 7일부터 13일까지 조사한 설문에 따르면 가장 큰 퇴사 이유는 ‘임금이 낮아서’와 ‘직장 내 승진 기회가 없어서’가 63%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미국 근로자들이 퇴사하는 가장 큰 이유> [자료: Pew Research(2022.2.)] 경제에 미치는 영향 (인플레이션)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겪는 미국의 경제 상황은 대 사직, 이직 현상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미 노동부에 통계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민간 부문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5.6% 상승했다. 팬데믹 이전 임금 상승률이 3%였던 것을 감안하면 크게 오른 수치다. 대 사직 현상이 심화되면서 기업들의 구인난도 시작됐다. 직원 채용이 힘들어지자 기업들은 인상된 임금으로 직원을 채용했고 인건비 인상은 결국 제품과 서비스 가격을 올리게 되고 소비자는 그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된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바이러스로 인한 중국의 봉쇄 정책, 물류 공급 차질 등의 국제 정세와 맞물려 대 사직 현상은 인플레이션을 가속할 것이라고 미국 경제학자들은 예측한다. 이와 관련, 줄리아 폴락 집리크루터(Zip Recruiter)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대 사직 현상이 계속되면 기업들은 채용을 위해 더 나은 조건으로 임금 인상을 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결국 수요와 공급 격차 때문”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상) 구인난-인건비 인상-제품·서비스 가격 인상-전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둔화시키기 위해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4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0.5%포인트(통상적 조정 폭 0.25%포인트) 올렸다. 기존 인상폭의 2배를 올린 연준은 향후 이러한 급격한 인상이 몇 차례 더 올 수 있다고 예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경제 전문 매체들은 연준의 이러한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자산 축소 등의 행보에 대해 수십 년만의 가장 공격적인 통화정책이라고 표현하면서도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주택 시장) 대 사직 현상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이어 주택 시장까지도 영향을 미친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추후 인상 가능성 발표에 시장은 FOMO(Fear of missing out/자신만 뒤처지거나 소외돼 있는 것 같은 두려움을 가지는 증상) 현상이 강하게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기지 이자율이 8% 이상까지 오를 것이라는 두려움은 생애 첫 주택구매자들인 바이어들의 집 구매를 부추기며 주택 가격 상승에 일조하고 있다. 미시간주에서 20년 이상 리얼터로 일해오고 있는 마크 기브(Mark Gibeu)는 5일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요즘 같은 마켓을 본 적이 없다. 매물이 나오면 여러 명이 동시에 구매 오퍼를 넣는 멀티플 오퍼는 기본이고 3000스퀘어피트 이상의 큰 집들이 훨씬 빨리 계약되고 있다. 모기지 이자율이 더 오르기 전에 사자는 분위기의 과열이 심한 데 반해 공급이 따라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자재와 물류비 인상으로 신규 주택 건축도 주춤하고 있으며 자재를 좋은 것을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기존 집을 깨끗하게 리모델링한 주택을 사려는 수요가 많다”고 말했다. 고용 형태 변화 여론조사 업체 ‘퓨리서치(Pew Research)’가 올해 1월 미국 직장인 588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재택근무를 하는 직장인 중 61%가 “사무실 근무가 재개되어도 계속 재택근무를 원한다”고 답했다. 팬데믹 기간 재택근무를 경험하며 업무 효율성과 가족과의 시간 등에서 이점을 발견한 사무직 근로자들은 앞으로도 재택근무가 가능하거나 출근과 재택을 하이브리드로 병행할 수 있는 직장을 찾고 있다고 CNN 등 다수의 미국 언론들은 보도했다. 미국의 대기업 중 보수적인 편에 속하는 자동차 업계도 이를 받아들이는 추세다. GM은 현장에 나오지 않아도 되는 사무직 직원들에게 반영구 재택근무제를 도입했고 지난해부터 유연한 근무 정책(flexible work policy)을 밝힌 포드(Ford)는 연간 최대 30일간 미국 내의 어떤 곳에서든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기 원격 근무 정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트위터(Twitter), 스포티파이(Spotify) 등 테크 기업들은 타주의 인재 영입을 손쉽고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재택근무에 오픈된 모습이다. 바뀌는 소비 트렌드 #GM에 근무하는 사무직 직원 B씨는 재택근무가 반영구화되면서 모든 소비를 줄이고 4000스퀘어피트의 대형 하우스로 이사했다. 두 대였던 차도 한 대로 줄였다. 그의 요즘 소비의 80%는 정원 관리 툴이나 가구, 자잘한 리모델링 자재, 건강과 자기 계발 등이다. #엔지니어 M씨는 원격 근무가 가능한 직장으로 이직함에 따라 최근 미시간주에서 플로리다주로 이사했다. 그는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이직 전에는 잦은 출장과 야근으로 아내와 아이와 시간을 보내기가 힘들었는데, 지금은 원격으로 근무하며 가족들에게 요리도 해주고 아이와 놀아주며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되어 만족한다. 출퇴근에 들어가는 유류비를 온라인 강의에 추가시켰으며 주 소비는 집 안의 편의시설 개선과 자기 계발”이라고 말했다. 이렇듯, 코로나19를 경험한 이들에게는 변이 바이러스 재확산 등 반복될 가능성이 있는 팬데믹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자리 잡게 되었고 더 나은 생활을 위한 사직과 이직은 새로운 옵션이 되면서 소비 트렌드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사점 이제 팬데믹에서 벗어나는 것 같지만 인플레이션, 기준금리 인상, 높은 사직·이직률과 인건비 상승, 원자재 가격 폭등, 물류비 대란 등 기업들에는 안심할 수 없는 복병들이 도처에 깔려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시장과 밀접하게 연관된 미국의 고용지표와 경제 흐름, 소비트렌드를 잘 파악하여 수요를 예측해 신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은행 M사의 수석이코노미스트 K씨는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위기와 시장을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은 없지만 다가올 위기에 대비하는 것은 가능하다. 기업들은 앞으로 심화될 공급망 문제와 원자재 가격 인상, 인플레이션 등에 대비해 자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자료: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Pew Research, NYT, WSJ,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디트로이트무역관 황주영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09
숫자로 보는 2021년 후난성 경제 현황 및 2022년 계획
2021년 후난성 GDP 안정적인 성장 기록 후난성 정부공작보고 (湖南省政府工作报告)에 따르면 2021년 후난성의 GDP는 전년 대비 7.7% 증가한 4조6천억 위안으로 연초 목표인 7%를 초과 달성하였다. GDP 규모는 31개 성·시 중 9위로, 2020년과 같은 순위를 유지하였다. <2011~2021년 후난성 GDP추이> (단위: 조 위안(CNY)) [자료: CEIdata] <2021 중국 31개 성·시 GDP TOP 10> (단위: 조위안, %) 2021순위 성·시 2021년GDP 2020년GDP(순위) 성장률 1 광둥성(广东省) 12.43 11.08(1) 8.00 2 장쑤성(江苏省) 11.63 10.27(2) 8.60 3 산둥성(山东省) 8.31 7.31(3) 8.30 4 저장성(浙江省) 7.35 6.46(4) 8.50 5 허난성(河南省) 5.89 5.5(5) 6.30 6 쓰촨성(四川省) 5.39 4.86(6) 8.20 7 후베이성(湖北省) 5 4.34(8) 12.90 8 푸젠성(福建省) 4.88 4.39(7) 8.00 9 후난성(湖南省) 4.61 4.18(9) 7.70 10 상하이(上海) 4.32 3.87(10) 8.10 [자료: 국가통계국 (国家统计局)] 창사시는 후난성의 유일한 GDP 1조 위안 초과 도시로 전국 도시 GDP규모 순위로 15위이며, 후난성 전체 GDP의 28.29%를 차지하고 있다. 성 내 도시 중 GDP 규모 2위는 웨양시(岳阳市)로, 2021년에 전년 대비 8.1% 성장한 4,402.98억 위안을 달성하였으며, 도시 시장주체총량 후난성 2위, 하이테크 산업단지 수량 후난성 1위 등을 차지하면서 후난성의 제2의 도시로 확실히 자리 매김하고 있다. 창더시(常德市)는 웨양시 다음으로 GDP 4,000억위안을 넘어섰으나, 타 도시들에 비해 성장률이 낮은 편이다. 관광지로 유명한 장가계시(张家界市)의 GDP는 코로나로 인한 여행객 감소 영향으로 후난성 14개 도시 중 가장 낮은 4.24%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후난성 각 도시 GDP 통계> (단위: 억위안, %) 도시 2021년 GDP 전년대비 성장률 창사시(长沙市) 13,270.70 7.50 웨양시(岳阳市) 4,402.98 8.10 창더시 (常德市) 4,054.15 7.70 헝양시 (衡阳市) 3,840.31 8.10 주저우시 (株洲市) 3,420.26 8.30 천저우시 (郴州市) 2,770.08 8.80 샹탄시 (湘潭市) 2,548.35 7.80 사오양시 (邵阳市) 2,461.53 8.50 융저우시 (永州市) 2,261.08 7.50 이양시 (益阳市) 2,019.27 8.30 러우디시 (娄底市) 1,825.76 7.70 화이화시 (怀化市) 1,817.80 8.40 샹시저우 (湘西州) 792.11 8.70 장자제시 (张家界市) 580.29 4.50 [자료: 국가통계국 (国家统计局)] 산업별로 보면 1차 산업이 9.3% 증가한 4,322.9억 위안, 2차 산업이 6.9% 증가한 18,126.1억 위안, 3차 산업이 7.9% 증가한 23,614.1억 위안으로 집계되었다. 공업가치(增加值)는 8.3% 증가하여 성 GDP의 37%를 차지하였고, 하이테크 산업은 19% 증가하여 성 GDP의 23.9%를 차지하였으며, 전략성 신흥산업(고급장비, 신재료, 우주항공, 신IT기술, 생물,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신에너지 자동차 및 인텔리전스 네트워크 자동차, 신흥 서비스업, 미래산업 등 9가지 산업을 포함)의 가치는 12.3% 증가하여 성 GDP의 10.3%를 차지하였다. 또한 19개의 100억 위안 이상의 프로젝트가 시공을 시작하였으며 싼이쯔롄중카(三一智联重卡), 싼안반도체(三安半导体), 중롄 스마트 클러스트(中联智慧产业城) 등 대형 프로젝트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4상기업(규모이상의 공업, 자격 등급의 건축업, 한도액 이상의 도소매업 숙박 요식업, 국가 중점 서비스 기업)은 880개가 더 늘어났고 싼이중공(三一重工), 화링그룹(华菱集团)의 세계 500강 기업 진입이 가시화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 정부에 발맞춰 후난성의 디지털 경제는 17% 성장하였는데, 규모이상의 전자정보 제조업의 가치가 23.2%증가하였고 소프트웨어 및 IT 기술 서비스 매출액은 44% 증가하였다. 후난성 민생경제 2021년 후난성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국 12위인 31,993 위안으로 전국 평균 35,128위안에 비해 낮은 편이다. 도시 주민의 평균 가처분소득은 7.6% 늘어난 44,866위안, 농촌 주민의 평균 가처분소득은 10.3% 늘어난 16,496위안으로, 도시 주민의 가처분소득이 농촌 주민보다 2.45배 높아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도시별로는 창사시 가처분 소득이 55,587위안으로 가장 높았고, 주저우시와 샹탄시가 각각 42,402위안, 37,170위안으로 그 뒤를 이었다. <후난성 1인단 평균 가처분소득 추이> (단위: 위안) [자료: 국가통계국 (国家统计局)]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면서 2021년 후난성 1인당 소비지출은 22,798위안으로 전년대비 8.6% 증가하였다. 품목 별로 보았을 때 식품/담배/주류 지출이 7.3% 증가한 6,737위안, 주거지출 8.5% 증가한 4,812위안, 교육문화오락 지출이 18.3% 증가한 3,061위안, 의료보건 지출은 4.3% 증가한 2,122위안, 생활용품 및 서비스 지출이9.5% 증가한 1,411위안으로 집계되었다. <후난성 1인당 평균 소비지출 추이> (단위: 위안) [자료: 국가통계국 (国家统计局)] 후난성의 2021년 소비자 가격 지수는 0.5% 상승하였는데, 이는 연초 예상한 3%를 크게 밑도는 수치이다. 품목별로 보았을 때 교통/통신 가격 4.8%, 거주가격 1.2%, 교육문화오락 가격 1.0%, 의료보건 가격0.7%, 의복 가격 0.7%, 생활용품 및 서비스 가격은 0.3% 상승하였으며, 기타용품 및 서비스 가격은 2.1%, 식품담배주류 가격은 2.0% 하락하였다. 대외무역 2021년 후난성의 총 교역 규모는 전년 대비 22.6% 증가한 5,988.6억 위안으로, 수출액은 27.5% 증가한 4,212.7억 위안, 수입액은 12.3% 증가한 1,755.8억 위안이다. 주요 수출 증가 품목은 전자부품 237.3억위안(38.2%↑), 강재226.4억 위안(245.1%↑), 의류 및 의류부품(12.7%↑), 신발 188.3억 위안(51.7%↑), 전기 기자재 170.2억 위안(52.7%↑) 등 이 있다. 금액 기준 수입 상위 품목으로는 전기기계제품 571.1억 위안(-13.3%↓), 전자부품 210.3억 위안(-30.4%↓), 하이테크 제품 420.5억위안( -6.5%↓), 농산품 285.6억 위안( 14.3%↑), 수입식품 280.1억 위안( 14.4%↑), 반도체 제조설비 65.4억 위안( 137.6%↑)이다. 한국은 후난성의 5위 교역국으로, 2021년 총 교역액은 241.12억 위안(21.3%↑)이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99.02억위안(-15.7%↓), 한국으로의 수출액은 193.51억 위안(55.6%↑)이다. 주요 대한 수입, 수출 품목은 아래와 같다 <대한 주요 수입 품목> HS코드 품명 수입액(천 위안) 70031900 기타 주입법과 롤(roll)법으로 제조한 유리[시트(sheet) 모양이나 프로파일(profile) 모양으로 한정하고, 흡수층ㆍ반사층ㆍ무반사층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밖의 방법으로 가공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1,571,899 85423190 전자집적회로-프로세서와 컨트롤러[메모리ㆍ변환기ㆍ논리회로ㆍ증폭기ㆍ클록(clock)ㆍ타이밍(timing) 회로나 그 밖의 회로를 갖춘 것인지는 상관없다] 1,441,081 85423290 전자집적회로-메모리 1,377,719 84863090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와 기기 1,262,658 28332400 황산니켈 439,976 [자료: 중국해관] <대한 주요 수출 품목> HS코드 품명 수출액(천 위안) 28539030 니켈, 코발트, 망간 수산화물(镍钴锰氢氧化物 ) 3,389,559 85332110 전기저항기, 용량이 20와트 이하인 것 2,435,300 84733090 품목 8471에 해당하는 기계의 부분품과 부속품 666,939 72283090 그 밖의 봉[열간(熱間)압연ㆍ열간인발(熱間引拔)ㆍ압출보다 더 가공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507,107 85340090 4층 및 그 이하의 인쇄회로 401,420 [자료: 중국해관] 2022년 후난성 경제사회 발전 목표 후난성은 지난 3월 발표한 “후난성 2022년 국민 경제와 사회발전 계획(湖南省2022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计划)”에서 안정속에서 발전을 추구한다고 언급했으며, 2022년 GDP 성장률 6.5%이상, 규모이상 공업가치 7.2% 증가, 고장자산투자 8%이상 증가 등의 목표를 세웠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후난성은 2022년의 주요 업무로 유효 투자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10대 중점 기초시설 프로젝트들로는 창간고속철도(长赣高铁), 창사공항확장, 고표준농작지건설 등이 있으며, 10대 중점 산업프로젝트들로는 싼이쯔롄 장비 기지(三一直练装备基地), 사오양 특수 유리(邵阳特种玻璃), 창웬 리튬 배터리 양극재(长远锂电池正极材料) 등이 있다. 더불어 소비 회복을 위해 “야간경제” 랜드마크와 상업, 여행, 문화를 융합시킨 새로운 “핫플” 만들기도 계획하고 있다. 하이테크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하면서 디지털 경제 성장 목표치 15% 이상, 천억위안 규모의 산업단지 16개 이상 육성할 것이라는 목표도 밝혔다. 또한 지난 3월1일부터 중국(후난) 자유무역시험구조례(中国 湖南自由贸易试验区条例)를 실시하는 등, 전면적인 개혁개방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022년 후난성 경제사회 발전 목표> 목표명 목표치 GDP 성장률 6.5% 이상 규모이상 공업증가치 증가율 7.20%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7.50% 사회소비품 소매총액 증가율 7.50% 수출입 총액 증가율 12% 지방 일반 공공예산 수입 증가율 6% 소비자물가지수 3% 내외 도시 신규취업 인구 70만명 도시 조사 실업률 5.50% 인당 가처분소득 증가율 GDP 성장률과 동일 곡식생산 300억kg 이상 [자료: 후난성 2022년 국민 경제와 사회발전 계획] 시사점 후난성의 2022년도 목표에 포함된 “심층적인 개혁개방”은 우리 기업들에게도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심층적인 개혁개방은 후난성 정부가 전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3고4신(선진제조업고지, 기술혁신고지, 내륙 개혁개방고지 달성) 정책의 일환이다. 2020년 하반기에 신규 오픈한 중국(후난)자유무역시험구는 현재 발전 초기 단계이지만, 후난성의 개혁개방에 대한 정책 방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성 상무청, 각 시 단위 CCPIT(무역촉진위원회) 등도 대외 개방 확대와 협력 강화를 위해 최근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어 향후 한국과의 경제 협력이 지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CEIdata, 국가통계국 (国家统计局), 중국해관, 창사해관, 후난성인민정부, 후난성 정부공작보고 (湖南省政府工作报告), 후난성 2022년 국민 경제와 사회발전 계획(湖南省2022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计划), Boao Forum For Asia, 인민망(人民网), 바이두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경제자료 ] [ 해외경제 ] 창사무역관 한려화 |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2.05.09
처음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지로 이동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