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한상소식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검색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한상소식
세계한상소식
한상뉴스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한상뉴스
국내를 포함한 세계 지역경제 소식, 한상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본 메뉴는 외부사이트의 뉴스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시는 뉴스의 의미 전달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체
(61061)
국내
(60048)
아시아/대양주
(273)
북아메리카
(617)
남아메리카
(26)
유럽
(74)
중동/아프리카
(20)
독립국가연합
(3)
게시글 검색
검색기간
~
종료조회기간
(예시:19990101)
보기조건 갯수 선택
10개 보기
20개 보기
30개 보기
5289/6107
페이지
(전체 61061)
검색분류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국내]
中 한국행 유커 줄이고 북한관광 유도…접경 관광상품 개발
中 한국행 유커 줄이고 북한관광 유도…접경 관광상품 개발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중국 정부가 저가 상품 규제 방침을 정하고 최근 자국 여행업계에 북한 관광상품 개발을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접경지역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에서 판매하는 반나절 일정의 북한 관광상품처럼 중국인 관광객(유커·遊客)들에게 인기를 끌 만한 북한 관광상품을 개발해 연내 선보일 계획이다. 당국은 지난 7월 초부터 판매한 단둥의 '조선(북한) 신의주 반나절 관광' 상품이 유커들의 호응을 얻자 북한 방문 관광산업을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의주 반나절 관광상품은 판매 개시 이후 하루 수백명~1천명에 달하는 관광객을 유치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이용객 절대다수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저장(浙江)성, 광둥(廣東)성 등 타 지역 출신으로 단둥 주민 비율은 10%에 못 미치는 등 타지 관광객 유인율이 높다. 단둥시가 북한 입국 절차를 간소화해 관광객 편의를 증진했고 기존 관광상품에 비래 저렴한 가격(1인당 350위안·약 5만9천원)도 유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앞서 중국 국가여유국은 앞으로 6개월 동안 '불합리한 저가여행'을 중점 관리·정비한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당국이 겨냥하는 저가여행상품 가운데는 사실상 한국 여행상품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 접경지역의 한 소식통은 "중국 측이 드러내 놓고 얘기하진 않지만 북중 접경에서 북한 관광산업 장려책은 한국 관광 위축으로 이어진다"며 "이번 조치가 미국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따른 중국 측의 견제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realis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中 한국행 유커 줄이고 북한관광 유도…접경 관광상품 개발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중국 정부가 저가 상품 규제 방침을 정하고 최근 자국 여행업계에 북한 관광상품 개발을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접경지역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에서 판매하는 반나절 일정의 북한 관광상품처럼 중국인 관광객(유커·遊客)들에게 인기를 끌 만한 북한 관광상품을 개발해 연내 선보일 계획이다. 당국은 지난 7월 초부터 판매한 단둥의 '조선(북한) 신의주 반나절 관광' 상품이 유커들의 호응을 얻자 북한 방문 관광산업을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의주 반나절 관광상품은 판매 개시 이후 하루 수백명~1천명에 달하는 관광객을 유치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이용객 절대다수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저장(浙江)성, 광둥(廣東)성 등 타 지역 출신으로 단둥 주민 비율은 10%에 못 미치는 등 타지 관광객 유인율이 높다. 단둥시가 북한 입국 절차를 간소화해 관광객 편의를 증진했고 기존 관광상품에 비래 저렴한 가격(1인당 350위안·약 5만9천원)도 유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앞서 중국 국가여유국은 앞으로 6개월 동안 '불합리한 저가여행'을 중점 관리·정비한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당국이 겨냥하는 저가여행상품 가운데는 사실상 한국 여행상품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 접경지역의 한 소식통은 "중국 측이 드러내 놓고 얘기하진 않지만 북중 접경에서 북한 관광산업 장려책은 한국 관광 위축으로 이어진다"며 "이번 조치가 미국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따른 중국 측의 견제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realis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2
[국내]
코스피, 1,980선도 '위태'…대내외 불확실성에 낙폭 확대
코스피, 1,980선도 '위태'…대내외 불확실성에 낙폭 확대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코스피가 2일 미국 대선 불확실성과 국내 국정 혼란 우려 속에 1,980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이날 오전 11시9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5.89포인트(1.29%) 하락한 1,981.50을 나타냈다. 이는 장중 기준으로 지난 7월11일(1,977.8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수는 11.98포인트(0.60%) 내린 1,995.41로 개장한 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1,980선으로 낙폭을 확대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증시 전반이 상승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통화정책과 대통령 선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부각되고 있고 대내적으로 최순실 파문으로 인한 국정 혼란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배성영 현대증권 연구원은 "모멘텀 부재와 빅이벤트 대기로 관망 심리가 커진 상황"이라며 "11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달러화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고 민주당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의 지지율 격차가 줄어든 점도 부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3억원어치, 133억원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다. 개인은 홀로 156억원어치를 순매수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체로 내림세다. 삼성전자[005930](-0.42%), 한국전력[015760](-1.42%), 현대차[005380](-1.06%), SK하이닉스[000660](-3.21%), 삼성물산[028260](-1.27%) 등이 줄줄이 하락 중이다. 코스닥도 2%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2.89포인트(2.06%) 하락한 613.49를 나타냈다. 지수는 1.92포인트(0.31%) 내린 624.46으로 출발한 뒤 외국인의 매도 공세 속에 610선까지 내려왔다. sj997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코스피, 1,980선도 '위태'…대내외 불확실성에 낙폭 확대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코스피가 2일 미국 대선 불확실성과 국내 국정 혼란 우려 속에 1,980선마저 위협받고 있다. 이날 오전 11시9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5.89포인트(1.29%) 하락한 1,981.50을 나타냈다. 이는 장중 기준으로 지난 7월11일(1,977.8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수는 11.98포인트(0.60%) 내린 1,995.41로 개장한 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1,980선으로 낙폭을 확대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증시 전반이 상승 동력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통화정책과 대통령 선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부각되고 있고 대내적으로 최순실 파문으로 인한 국정 혼란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배성영 현대증권 연구원은 "모멘텀 부재와 빅이벤트 대기로 관망 심리가 커진 상황"이라며 "11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달러화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고 민주당 대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의 지지율 격차가 줄어든 점도 부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3억원어치, 133억원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다. 개인은 홀로 156억원어치를 순매수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대체로 내림세다. 삼성전자[005930](-0.42%), 한국전력[015760](-1.42%), 현대차[005380](-1.06%), SK하이닉스[000660](-3.21%), 삼성물산[028260](-1.27%) 등이 줄줄이 하락 중이다. 코스닥도 2%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2.89포인트(2.06%) 하락한 613.49를 나타냈다. 지수는 1.92포인트(0.31%) 내린 624.46으로 출발한 뒤 외국인의 매도 공세 속에 610선까지 내려왔다. sj997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2
[국내]
두바이유 가격 큰 폭 하락…배럴당 45달러 선으로
두바이유 가격 큰 폭 하락…배럴당 45달러 선으로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두바이유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45달러 선으로 내려앉는 등 국제유가가 일제히 떨어졌다. 한국석유공사는 1일(현지시간) 거래된 두바이유 현물 가격이 전날보다 2.02달러 내린 배럴당 45.42달러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두바이유 가격은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 산유국들이 원유 감산에 합의하면서 한때 50달러를 넘어서는 등 강세를 보였으나 최근 상승세가 주춤한 상태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브렌트유 선물도 전날보다 16센트 내린 배럴당 48.14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또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도 전날보다 19센트 하락한 배럴당 46.67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국제유가는 OPEC 회원국 등 산유국들의 감산 합의가 순조롭게 이행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계속되면서 전날에 이어 다시 하락했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두바이유 가격 큰 폭 하락…배럴당 45달러 선으로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두바이유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45달러 선으로 내려앉는 등 국제유가가 일제히 떨어졌다. 한국석유공사는 1일(현지시간) 거래된 두바이유 현물 가격이 전날보다 2.02달러 내린 배럴당 45.42달러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두바이유 가격은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 산유국들이 원유 감산에 합의하면서 한때 50달러를 넘어서는 등 강세를 보였으나 최근 상승세가 주춤한 상태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브렌트유 선물도 전날보다 16센트 내린 배럴당 48.14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또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도 전날보다 19센트 하락한 배럴당 46.67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국제유가는 OPEC 회원국 등 산유국들의 감산 합의가 순조롭게 이행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계속되면서 전날에 이어 다시 하락했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2
[국내]
코트라, 정상외교 경제사절단 참가기업 릴레이 간담회
코트라(KOTRA) [연합뉴스 자료사진] 다음달 1일까지 5개 권역에서 추가로 개최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코트라(KOTRA)는 정상외교 경제사절단에 참가한 서울·경기지역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1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릴레이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는 경제사절단 참가 중소·중견기업에 후속지원 사업을 안내하고 해외 진출 관련 애로사항을 듣기 위해 만들어졌다. 기존 사후간담회는 주로 특정 경제사절단에 다녀온 기업을 대상으로 했지만, 이번에는 전체 경제사절단 참가기업을 대상으로 해 권역별로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지난 7월 몽골 사절단으로 참가한 금청약품, 지난 10월 미국에 다녀온 삼광글라스[005090], 지난 5월 이란 사절단에 포함된 베델원 등 51개 기업과 5개 관련 기관이 참가했다. 기업들은 후속지원 강화, 이란진출 정보 부족, 성과기업 금융 지원 등과 관련된 애로사항을 제기했다. 코트라는 해외출장 지원, 개별 방한 바이어 지원 등과 같은 맞춤형 후속 사업을 강화하고 이란진출지원단을 통해 충실하게 이란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등 어려움을 푸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금융 분야 애로사항은 무역보험공사,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하기로 했다. 코트라는 오는 16일 전주(전라·제주권), 22일 원주(강원권), 29일 서울(서울·경기권), 30일 대전(충청권), 다음 달 1일 대구·부산(경상권)까지 5개 권역에서 릴레이 간담회를 더 개최할 예정이다. e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6/11/01 11:00 송고
2016.11.01
[국내]
[게시판] 제5회 'K-글로벌@실리콘밸리'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2∼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 리바이스스타디움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내 중소·벤처기업과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2016 K-글로벌@실리콘밸리'를 주최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올해로 5회째로, 국내외 인사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 콘퍼런스, 수출상담회, 스타트업 투자설명회 등이 열린다. (서울=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6/11/01 12:00 송고
2016.11.01
[국내]
<표> 코스피 자기주식매매 신청내역(1일)
코스피 자기주식매매 신청내역(1일) (단위: 주) ┌───────┬───────┬───────┬──────┬──────┐ │ 구분 │ 종목명 │ 신고서 구분 │ 신청수량 │ 호가시기 │ ├───────┼───────┼───────┼──────┼──────┤ │ 매수 │ 미원화학 │ 직접 │ 4,000 │ 시가단일가 │ ├───────┼───────┼───────┼──────┼──────┤ │ 매수 │ 방림 │ 직접 │ 5,000 │ 장중 │ ├───────┼───────┼───────┼──────┼──────┤ │ 매수 │ 현대차 │ 직접 │ 50,000 │ 장중 │ ├───────┼───────┼───────┼──────┼──────┤ │ 매수 │ 삼성SDI │ 직접 │ 100,000 │ 장중 │ ├───────┼───────┼───────┼──────┼──────┤ │ 매수 │ 삼성SDI우 │ 직접 │ 2,000 │ 장중 │ ├───────┼───────┼───────┼──────┼──────┤ │ 매수 │ 삼성카드 │ 직접 │ 150,000 │ 장중 │ ├───────┼───────┼───────┼──────┼──────┤ │ 매수 │ KSS해운 │ 직접 │ 20,000 │ 장중 │ ├───────┼───────┼───────┼──────┼──────┤ │ 매수 │ 성창기업지주 │ 신탁 │ 50,000 │ 장중 │ ├───────┼───────┼───────┼──────┼──────┤ │ 매수 │ 벽산 │ 신탁 │ 30,000 │ 장중 │ ├───────┼───────┼───────┼──────┼──────┤ │ 매수 │ 모토닉 │ 신탁 │ 10,000 │ 장중 │ ├───────┼───────┼───────┼──────┼──────┤ │ 매수 │ 현대상사 │ 신탁 │ 5,000 │ 장중 │ ├───────┼───────┼───────┼──────┼──────┤ │ 매수 │ 우신시스템 │ 신탁 │ 10,000 │ 장중 │ ├───────┼───────┼───────┼──────┼──────┤ │ 매수 │ 대교 │ 신탁 │ 20,000 │ 장중 │ ├───────┼───────┼───────┼──────┼──────┤ │ 매수 │ 대교우B │ 신탁 │ 3,000 │ 장중 │ ├───────┼───────┼───────┼──────┼──────┤ │ 매수 │ 코웨이 │ 신탁 │ 20,000 │ 장중 │ ├───────┼───────┼───────┼──────┼──────┤ │ 매수 │ 세종공업 │ 신탁 │ 33,000 │ 장중 │ ├───────┼───────┼───────┼──────┼──────┤ │ 매수 │ SBS │ 신탁 │ 3,000 │ 장중 │ ├───────┼───────┼───────┼──────┼──────┤ │ 매수 │ 동양고속 │ 신탁 │ 2,000 │ 장중 │ ├───────┼───────┼───────┼──────┼──────┤ │ 매수 │ 효성ITX │ 신탁 │ 5,000 │ 장중 │ ├───────┼───────┼───────┼──────┼──────┤ │ 매수 │ KB금융지주 │ 신탁 │ 100,000 │ 장중 │ ├───────┼───────┼───────┼──────┼──────┤ │ 매수 │ 잇츠스킨 │ 신탁 │ 30,000 │ 장중 │ └───────┴───────┴───────┴──────┴──────┘ (서울=연합뉴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표> 코스피 자기주식매매 신청내역(1일) (단위: 주) ┌───────┬───────┬───────┬──────┬──────┐ │ 구분 │ 종목명 │ 신고서 구분 │ 신청수량 │ 호가시기 │ ├───────┼───────┼───────┼──────┼──────┤ │ 매수 │ 미원화학 │ 직접 │ 4,000 │ 시가단일가 │ ├───────┼───────┼───────┼──────┼──────┤ │ 매수 │ 방림 │ 직접 │ 5,000 │ 장중 │ ├───────┼───────┼───────┼──────┼──────┤ │ 매수 │ 현대차 │ 직접 │ 50,000 │ 장중 │ ├───────┼───────┼───────┼──────┼──────┤ │ 매수 │ 삼성SDI │ 직접 │ 100,000 │ 장중 │ ├───────┼───────┼───────┼──────┼──────┤ │ 매수 │ 삼성SDI우 │ 직접 │ 2,000 │ 장중 │ ├───────┼───────┼───────┼──────┼──────┤ │ 매수 │ 삼성카드 │ 직접 │ 150,000 │ 장중 │ ├───────┼───────┼───────┼──────┼──────┤ │ 매수 │ KSS해운 │ 직접 │ 20,000 │ 장중 │ ├───────┼───────┼───────┼──────┼──────┤ │ 매수 │ 성창기업지주 │ 신탁 │ 50,000 │ 장중 │ ├───────┼───────┼───────┼──────┼──────┤ │ 매수 │ 벽산 │ 신탁 │ 30,000 │ 장중 │ ├───────┼───────┼───────┼──────┼──────┤ │ 매수 │ 모토닉 │ 신탁 │ 10,000 │ 장중 │ ├───────┼───────┼───────┼──────┼──────┤ │ 매수 │ 현대상사 │ 신탁 │ 5,000 │ 장중 │ ├───────┼───────┼───────┼──────┼──────┤ │ 매수 │ 우신시스템 │ 신탁 │ 10,000 │ 장중 │ ├───────┼───────┼───────┼──────┼──────┤ │ 매수 │ 대교 │ 신탁 │ 20,000 │ 장중 │ ├───────┼───────┼───────┼──────┼──────┤ │ 매수 │ 대교우B │ 신탁 │ 3,000 │ 장중 │ ├───────┼───────┼───────┼──────┼──────┤ │ 매수 │ 코웨이 │ 신탁 │ 20,000 │ 장중 │ ├───────┼───────┼───────┼──────┼──────┤ │ 매수 │ 세종공업 │ 신탁 │ 33,000 │ 장중 │ ├───────┼───────┼───────┼──────┼──────┤ │ 매수 │ SBS │ 신탁 │ 3,000 │ 장중 │ ├───────┼───────┼───────┼──────┼──────┤ │ 매수 │ 동양고속 │ 신탁 │ 2,000 │ 장중 │ ├───────┼───────┼───────┼──────┼──────┤ │ 매수 │ 효성ITX │ 신탁 │ 5,000 │ 장중 │ ├───────┼───────┼───────┼──────┼──────┤ │ 매수 │ KB금융지주 │ 신탁 │ 100,000 │ 장중 │ ├───────┼───────┼───────┼──────┼──────┤ │ 매수 │ 잇츠스킨 │ 신탁 │ 30,000 │ 장중 │ └───────┴───────┴───────┴──────┴──────┘ (서울=연합뉴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반도체 D램 가격 25% 급등…3년7개월만에 최대폭 상승
반도체 D램 가격 25% 급등…3년7개월만에 최대폭 상승 D램 시장 74% 점유한 삼성·SK하이닉스 실적 청신호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 반도체 D램 가격이 한달새 25%나 급등했다. 3년7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이다. 글로벌 D램 시장에서 합계 74%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4분기에 실적을 확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일 반도체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표준제품인 DDR3 4Gb(기가비트) 512Mx8 1333/1600MHz 평균 계약가격(고정거래가격)이 10월31일 기준 1.88달러로 9월30일(1.50달러)에 비해 25.33%나 급등했다. 이는 2013년 3월 상반월(3월15일 기준)에 전월 대비 18.52% 상승한 이후 D램 가격 상승 폭으로는 약 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D램 가격은 2014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인 지난 7월부터 상승 흐름을 탔다. 7월 7.20%, 8월 2.99%, 9월 8.7%로 전월 대비 가격이 상승했으나 10월말 기준 가격처럼 25%나 상승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반도체 업계에서는 분석했다. D램익스체인지는 PC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수요 급등과 서버 수요 급증 등을 이달 D램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D램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4분기에 상당한 실적 반등을 이뤄낼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분기에 D램 매출을 전 분기 대비 각각 8.7%, 4% 늘렸다. 시장 점유율은 2분기 기준으로 삼성전자가 47.4%, SK하이닉스가 26.5%로 두 회사 합계는 73.9%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3분기에 반도체 부문에서 3조3천7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작년 3분기(3조6천600억원) 이후 1년 만에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SK하이닉스도 3분기에 7천26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 분기보다 60%나 상승했다. D램과 함께 반도체 메모리 제품 양대산맥을 이루는 낸드플래시 가격도 10월 하반월에 전 분기 대비 4~7% 상승했다. 낸드플래시 표준제품 중 하나인 MLC 32Gb(기가비트)는 9월말 대비 10월말 가격이 7.39% 올랐다. D램익스체인지는 이같은 반도체 메모리 제품의 가격 급등 추세가 중국 반도체 기업의 D램 양산을 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에 있는 시노킹 테크놀로지는 이르면 내년 말 D램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시노킹은 일본 반도체 기업 엘피타 사장 출신인 사카모토 유키오(坂本幸雄)가 허페이시 정부와 공동으로 8천억엔(8조3천억원)을 투자한 회사다. 또 대만과 합작한 중국 푸젠(福建) 진화(晉華) 집적회로공사도 비슷한 시기에 D램 생산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D램 표준제품 DDR3 4Gb 512Mx8 1333/1600MHz 계약가격 추이 [단위:US달러] [자료:D램익스체인지] ┌────────┬────┬────┬────┬────────┐ │ 기준시점 │ 고점 │ 저점 │평균가격│ 증감 │ │ │ │ │ │ │ ├────────┼────┼────┼────┼────────┤ │ 2016-10-31 │ 1.91 │ 1.81 │ 1.88 │ 25.33% │ │ │ │ │ │ │ ├────────┼────┼────┼────┼────────┤ │ 2016-09-30 │ 1.56 │ 1.44 │ 1.50 │ 8.70% │ │ │ │ │ │ │ ├────────┼────┼────┼────┼────────┤ │ 2016-08-31 │ 1.44 │ 1.31 │ 1.38 │ 2.99% │ │ │ │ │ │ │ ├────────┼────┼────┼────┼────────┤ │ 2016-07-29 │ 1.38 │ 1.31 │ 1.34 │ 7.20% │ │ │ │ │ │ │ ├────────┼────┼────┼────┼────────┤ │ 2016-06-30 │ 1.31 │ 1.22 │ 1.25 │ 0.00% │ │ │ │ │ │ │ ├────────┼────┼────┼────┼────────┤ │ 2016-05-31 │ 1.31 │ 1.22 │ 1.25 │ -4.58% │ │ │ │ │ │ │ ├────────┼────┼────┼────┼────────┤ │ 2016-04-29 │ 1.38 │ 1.28 │ 1.31 │ -5.07% │ │ │ │ │ │ │ ├────────┼────┼────┼────┼────────┤ │ 2016-03-30 │ 1.44 │ 1.31 │ 1.38 │ -6.12% │ │ │ │ │ │ │ ├────────┼────┼────┼────┼────────┤ │ 2016-02-26 │ 1.50 │ 1.44 │ 1.47 │ -7.55% │ │ │ │ │ │ │ ├────────┼────┼────┼────┼────────┤ │ 2016-01-29 │ 1.63 │ 1.56 │ 1.59 │ -7.56% │ │ │ │ │ │ │ ├────────┼────┼────┼────┼────────┤ │ 2015-12-31 │ 1.75 │ 1.69 │ 1.72 │ 0.00% │ │ │ │ │ │ │ ├────────┼────┼────┼────┼────────┤ │ 2015-11-30 │ 1.75 │ 1.69 │ 1.72 │ -3.37% │ │ │ │ │ │ │ ├────────┼────┼────┼────┼────────┤ │ 2015-10-30 │ 1.81 │ 1.75 │ 1.78 │ -11.00% │ │ │ │ │ │ │ ├────────┼────┼────┼────┼────────┤ │ 2015-10-14 │ - │ - │ - │ - │ │ │ │ │ │ │ ├────────┼────┼────┼────┼────────┤ │ 2015-09-30 │ 2.06 │ 1.94 │ 2.00 │ -2.91% │ │ │ │ │ │ │ ├────────┼────┼────┼────┼────────┤ │ 2015-09-15 │ - │ - │ - │ - │ │ │ │ │ │ │ ├────────┼────┼────┼────┼────────┤ │ 2015-08-31 │ 2.19 │ 2.00 │ 2.06 │ -8.44% │ │ │ │ │ │ │ ├────────┼────┼────┼────┼────────┤ │ 2015-08-14 │ - │ - │ - │ - │ │ │ │ │ │ │ ├────────┼────┼────┼────┼────────┤ │ 2015-07-31 │ 2.31 │ 2.19 │ 2.25 │ -16.36% │ │ │ │ │ │ │ ├────────┼────┼────┼────┼────────┤ │ 2015-07-15 │ - │ - │ - │ - │ │ │ │ │ │ │ ├────────┼────┼────┼────┼────────┤ │ 2015-06-30 │ 2.81 │ 2.56 │ 2.69 │ -2.18 │ │ │ │ │ │ │ ├────────┼────┼────┼────┼────────┤ │ 2015-06-15 │ - │ - │ - │ - │ │ │ │ │ │ │ ├────────┼────┼────┼────┼────────┤ │ 2015-05-29 │ 2.81 │ 2.69 │ 2.75 │ -4.35% │ │ │ │ │ │ │ ├────────┼────┼────┼────┼────────┤ │ 2015-05-15 │ - │ - │ - │ - │ │ │ │ │ │ │ ├────────┼────┼────┼────┼────────┤ │ 2015-04-30 │ 2.94 │ 2.81 │ 2.88 │ -7.99% │ │ │ │ │ │ │ ├────────┼────┼────┼────┼────────┤ │ 2015-04-15 │ - │ - │ - │ - │ │ │ │ │ │ │ ├────────┼────┼────┼────┼────────┤ │ 2015-03-31 │ 3.19 │ 3.06 │ 3.13 │ -3.69% │ │ │ │ │ │ │ ├────────┼────┼────┼────┼────────┤ │ 2015-03-13 │ - │ - │ - │ - │ │ │ │ │ │ │ ├────────┼────┼────┼────┼────────┤ │ 2015-02-26 │ 3.31 │ 3.19 │ 3.25 │ -3.85% │ │ │ │ │ │ │ ├────────┼────┼────┼────┼────────┤ │ 2015-02-13 │ - │ - │ - │ - │ │ │ │ │ │ │ ├────────┼────┼────┼────┼────────┤ │ 2015-01-30 │ 3.44 │ 3.31 │ 3.38 │ -5.85% │ │ │ │ │ │ │ ├────────┼────┼────┼────┼────────┤ │ 2015-01-15 │ - │ - │ - │ - │ │ │ │ │ │ │ ├────────┼────┼────┼────┼────────┤ │ 2014-12-31 │ 3.69 │ 3.5 │ 3.59 │ 0.00% │ │ │ │ │ │ │ ├────────┼────┼────┼────┼────────┤ │ 2014-12-15 │ 3.69 │ 3.5 │ 3.59 │ -1.91% │ │ │ │ │ │ │ ├────────┼────┼────┼────┼────────┤ │ 2014-11-28 │ 3.69 │ 3.63 │ 3.66 │ 0.00% │ │ │ │ │ │ │ ├────────┼────┼────┼────┼────────┤ │ 2014-11-14 │ 3.69 │ 3.63 │ 3.66 │ -3.17% │ │ │ │ │ │ │ ├────────┼────┼────┼────┼────────┤ │ 2014-10-31 │ 3.88 │ 3.75 │ 3.78 │ 0.00% │ │ │ │ │ │ │ ├────────┼────┼────┼────┼────────┤ │ 2014-10-15 │ 3.81 │ 3.75 │ 3.78 │ 2.44% │ │ │ │ │ │ │ ├────────┼────┼────┼────┼────────┤ │ 2014-09-30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9-15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8-29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8-15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7-31 │ 3.81 │ 3.56 │ 3.69 │ 5.43% │ │ │ │ │ │ │ ├────────┼────┼────┼────┼────────┤ │ 2014-07-15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6-30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5-30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5-15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4-30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4-15 │ 3.56 │ 3.44 │ 3.5 │ -3.58% │ │ │ │ │ │ │ ├────────┼────┼────┼────┼────────┤ │ 2014-03-31 │ 3.69 │ 3.56 │ 3.63 │ -1.63% │ │ │ │ │ │ │ ├────────┼────┼────┼────┼────────┤ │ 2014-02-27 │ 3.75 │ 3.63 │ 3.69 │ -1.60% │ │ │ │ │ │ │ ├────────┼────┼────┼────┼────────┤ │ 2014-02-14 │ 3.81 │ 3.69 │ 3.75 │ -1.57% │ │ │ │ │ │ │ ├────────┼────┼────┼────┼────────┤ │ 2014-02-05 │ 3.94 │ 3.69 │ 3.81 │ 0.00% │ │ │ │ │ │ │ ├────────┼────┼────┼────┼────────┤ │ 2014-01-14 │ 3.94 │ 3.44 │ 3.81 │ -3.30% │ │ │ │ │ │ │ ├────────┼────┼────┼────┼────────┤ │ 2013-12-31 │ 4.06 │ 3.44 │ 3.94 │ 0.00% │ │ │ │ │ │ │ ├────────┼────┼────┼────┼────────┤ │ 2013-12-16 │ 4.06 │ 3.44 │ 3.94 │ 3.41% │ │ │ │ │ │ │ ├────────┼────┼────┼────┼────────┤ │ 2013-11-29 │ 4.06 │ 3.44 │ 3.81 │ 3.25% │ │ │ │ │ │ │ ├────────┼────┼────┼────┼────────┤ │ 2013-11-15 │ 3.94 │ 3.44 │ 3.69 │ 0.00% │ │ │ │ │ │ │ ├────────┼────┼────┼────┼────────┤ │ 2013-10-30 │ 3.94 │ 3.44 │ 3.69 │ 0.00% │ │ │ │ │ │ │ ├────────┼────┼────┼────┼────────┤ │ 2013-10-15 │ 3.94 │ 3.44 │ 3.69 │ 7.27% │ │ │ │ │ │ │ ├────────┼────┼────┼────┼────────┤ │ 2013-09-27 │ 3.69 │ 3.31 │ 3.44 │ 8.86% │ │ │ │ │ │ │ ├────────┼────┼────┼────┼────────┤ │ 2013-08-30 │ 3.19 │ 3.13 │ 3.16 │ 0.00% │ │ │ │ │ │ │ ├────────┼────┼────┼────┼────────┤ │ 2013-08-14 │ 3.19 │ 3.13 │ 3.16 │ 0.00% │ │ │ │ │ │ │ ├────────┼────┼────┼────┼────────┤ │ 2013-07-31 │ 3.19 │ 3.13 │ 3.16 │ 0.00% │ │ │ │ │ │ │ ├────────┼────┼────┼────┼────────┤ │ 2013-07-18 │ 3.19 │ 3.13 │ 3.16 │ 2.27% │ │ │ │ │ │ │ ├────────┼────┼────┼────┼────────┤ │ 2013-06-26 │ 3.13 │ 3.06 │ 3.09 │ 0.00% │ │ │ │ │ │ │ ├────────┼────┼────┼────┼────────┤ │ 2013-06-14 │ 3.13 │ 3.06 │ 3.09 │ 0.98% │ │ │ │ │ │ │ ├────────┼────┼────┼────┼────────┤ │ 2013-05-31 │ 3.13 │ 3 │ 3.06 │ 0.00% │ │ │ │ │ │ │ ├────────┼────┼────┼────┼────────┤ │ 2013-05-15 │ 3.13 │ 3 │ 3.06 │ 2.00% │ │ │ │ │ │ │ ├────────┼────┼────┼────┼────────┤ │ 2013-04-30 │ 3.06 │ 2.94 │ 3 │ 4.17% │ │ │ │ │ │ │ ├────────┼────┼────┼────┼────────┤ │ 2013-04-12 │ 2.94 │ 2.81 │ 2.88 │ 9.51% │ │ │ │ │ │ │ ├────────┼────┼────┼────┼────────┤ │ 2013-03-29 │ 2.69 │ 2.56 │ 2.63 │ 2.73% │ │ │ │ │ │ │ ├────────┼────┼────┼────┼────────┤ │ 2013-03-15 │ 2.63 │ 2.5 │ 2.56 │ 18.52% │ │ │ │ │ │ │ ├────────┼────┼────┼────┼────────┤ │ 2013-02-25 │ 2.19 │ 1.13 │ 2.16 │ 13.09% │ │ │ │ │ │ │ ├────────┼────┼────┼────┼────────┤ │ 2013-01-29 │ 1.94 │ 1.88 │ 1.91 │ 3.80% │ │ │ │ │ │ │ ├────────┼────┼────┼────┼────────┤ │ 2013-01-15 │ 1.88 │ 1.81 │ 1.84 │ 10.84% │ │ │ │ │ │ │ ├────────┼────┼────┼────┼────────┤ │ 2012-12-28 │ 1.72 │ 1.63 │ 1.66 │ 1.84% │ │ │ │ │ │ │ ├────────┼────┼────┼────┼────────┤ │ 2012-12-14 │ 1.66 │ 1.59 │ 1.63 │ 2.52% │ │ │ │ │ │ │ ├────────┼────┼────┼────┼────────┤ │ 2012-11-29 │ 1.63 │ 1.56 │ 1.59 │ -4.22% │ │ │ │ │ │ │ ├────────┼────┼────┼────┼────────┤ │ 2012-11-13 │ 1.69 │ 1.63 │ 1.66 │ 0.00% │ │ │ │ │ │ │ ├────────┼────┼────┼────┼────────┤ │ 2012-10-30 │ 1.69 │ 1.63 │ 1.66 │ -1.78% │ │ │ │ │ │ │ ├────────┼────┼────┼────┼────────┤ │ 2012-10-15 │ 1.72 │ 1.66 │ 1.69 │ -1.74% │ │ │ │ │ │ │ ├────────┼────┼────┼────┼────────┤ │ 2012-09-27 │ 1.75 │ 1.69 │ 1.72 │ -6.52% │ │ │ │ │ │ │ ├────────┼────┼────┼────┼────────┤ │ 2012-09-12 │ 1.88 │ 1.81 │ 1.84 │ -5.15% │ │ │ │ │ │ │ ├────────┼────┼────┼────┼────────┤ │ 2012-08-31 │ 2 │ 1.88 │ 1.94 │ -4.43% │ │ │ │ │ │ │ ├────────┼────┼────┼────┼────────┤ │ 2012-08-20 │ 2.06 │ 2 │ 2.03 │ -6.02% │ │ │ │ │ │ │ ├────────┼────┼────┼────┼────────┤ │ 2012-07-30 │ 2.19 │ 2.13 │ 2.16 │ -2.70% │ │ │ │ │ │ │ ├────────┼────┼────┼────┼────────┤ │ 2012-07-16 │ 2.25 │ 2.19 │ 2.22 │ │ │ │ │ │ │ │ └────────┴────┴────┴────┴────────┘ oakchu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반도체 D램 가격 25% 급등…3년7개월만에 최대폭 상승 D램 시장 74% 점유한 삼성·SK하이닉스 실적 청신호 (서울=연합뉴스) 옥철 기자 = 반도체 D램 가격이 한달새 25%나 급등했다. 3년7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이다. 글로벌 D램 시장에서 합계 74%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4분기에 실적을 확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일 반도체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D램 표준제품인 DDR3 4Gb(기가비트) 512Mx8 1333/1600MHz 평균 계약가격(고정거래가격)이 10월31일 기준 1.88달러로 9월30일(1.50달러)에 비해 25.33%나 급등했다. 이는 2013년 3월 상반월(3월15일 기준)에 전월 대비 18.52% 상승한 이후 D램 가격 상승 폭으로는 약 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D램 가격은 2014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인 지난 7월부터 상승 흐름을 탔다. 7월 7.20%, 8월 2.99%, 9월 8.7%로 전월 대비 가격이 상승했으나 10월말 기준 가격처럼 25%나 상승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반도체 업계에서는 분석했다. D램익스체인지는 PC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수요 급등과 서버 수요 급증 등을 이달 D램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D램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4분기에 상당한 실적 반등을 이뤄낼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분기에 D램 매출을 전 분기 대비 각각 8.7%, 4% 늘렸다. 시장 점유율은 2분기 기준으로 삼성전자가 47.4%, SK하이닉스가 26.5%로 두 회사 합계는 73.9%에 달한다. 삼성전자는 3분기에 반도체 부문에서 3조3천7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작년 3분기(3조6천600억원) 이후 1년 만에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SK하이닉스도 3분기에 7천26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 분기보다 60%나 상승했다. D램과 함께 반도체 메모리 제품 양대산맥을 이루는 낸드플래시 가격도 10월 하반월에 전 분기 대비 4~7% 상승했다. 낸드플래시 표준제품 중 하나인 MLC 32Gb(기가비트)는 9월말 대비 10월말 가격이 7.39% 올랐다. D램익스체인지는 이같은 반도체 메모리 제품의 가격 급등 추세가 중국 반도체 기업의 D램 양산을 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에 있는 시노킹 테크놀로지는 이르면 내년 말 D램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시노킹은 일본 반도체 기업 엘피타 사장 출신인 사카모토 유키오(坂本幸雄)가 허페이시 정부와 공동으로 8천억엔(8조3천억원)을 투자한 회사다. 또 대만과 합작한 중국 푸젠(福建) 진화(晉華) 집적회로공사도 비슷한 시기에 D램 생산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표> 반도체 D램 표준제품 DDR3 4Gb 512Mx8 1333/1600MHz 계약가격 추이 [단위:US달러] [자료:D램익스체인지] ┌────────┬────┬────┬────┬────────┐ │ 기준시점 │ 고점 │ 저점 │평균가격│ 증감 │ │ │ │ │ │ │ ├────────┼────┼────┼────┼────────┤ │ 2016-10-31 │ 1.91 │ 1.81 │ 1.88 │ 25.33% │ │ │ │ │ │ │ ├────────┼────┼────┼────┼────────┤ │ 2016-09-30 │ 1.56 │ 1.44 │ 1.50 │ 8.70% │ │ │ │ │ │ │ ├────────┼────┼────┼────┼────────┤ │ 2016-08-31 │ 1.44 │ 1.31 │ 1.38 │ 2.99% │ │ │ │ │ │ │ ├────────┼────┼────┼────┼────────┤ │ 2016-07-29 │ 1.38 │ 1.31 │ 1.34 │ 7.20% │ │ │ │ │ │ │ ├────────┼────┼────┼────┼────────┤ │ 2016-06-30 │ 1.31 │ 1.22 │ 1.25 │ 0.00% │ │ │ │ │ │ │ ├────────┼────┼────┼────┼────────┤ │ 2016-05-31 │ 1.31 │ 1.22 │ 1.25 │ -4.58% │ │ │ │ │ │ │ ├────────┼────┼────┼────┼────────┤ │ 2016-04-29 │ 1.38 │ 1.28 │ 1.31 │ -5.07% │ │ │ │ │ │ │ ├────────┼────┼────┼────┼────────┤ │ 2016-03-30 │ 1.44 │ 1.31 │ 1.38 │ -6.12% │ │ │ │ │ │ │ ├────────┼────┼────┼────┼────────┤ │ 2016-02-26 │ 1.50 │ 1.44 │ 1.47 │ -7.55% │ │ │ │ │ │ │ ├────────┼────┼────┼────┼────────┤ │ 2016-01-29 │ 1.63 │ 1.56 │ 1.59 │ -7.56% │ │ │ │ │ │ │ ├────────┼────┼────┼────┼────────┤ │ 2015-12-31 │ 1.75 │ 1.69 │ 1.72 │ 0.00% │ │ │ │ │ │ │ ├────────┼────┼────┼────┼────────┤ │ 2015-11-30 │ 1.75 │ 1.69 │ 1.72 │ -3.37% │ │ │ │ │ │ │ ├────────┼────┼────┼────┼────────┤ │ 2015-10-30 │ 1.81 │ 1.75 │ 1.78 │ -11.00% │ │ │ │ │ │ │ ├────────┼────┼────┼────┼────────┤ │ 2015-10-14 │ - │ - │ - │ - │ │ │ │ │ │ │ ├────────┼────┼────┼────┼────────┤ │ 2015-09-30 │ 2.06 │ 1.94 │ 2.00 │ -2.91% │ │ │ │ │ │ │ ├────────┼────┼────┼────┼────────┤ │ 2015-09-15 │ - │ - │ - │ - │ │ │ │ │ │ │ ├────────┼────┼────┼────┼────────┤ │ 2015-08-31 │ 2.19 │ 2.00 │ 2.06 │ -8.44% │ │ │ │ │ │ │ ├────────┼────┼────┼────┼────────┤ │ 2015-08-14 │ - │ - │ - │ - │ │ │ │ │ │ │ ├────────┼────┼────┼────┼────────┤ │ 2015-07-31 │ 2.31 │ 2.19 │ 2.25 │ -16.36% │ │ │ │ │ │ │ ├────────┼────┼────┼────┼────────┤ │ 2015-07-15 │ - │ - │ - │ - │ │ │ │ │ │ │ ├────────┼────┼────┼────┼────────┤ │ 2015-06-30 │ 2.81 │ 2.56 │ 2.69 │ -2.18 │ │ │ │ │ │ │ ├────────┼────┼────┼────┼────────┤ │ 2015-06-15 │ - │ - │ - │ - │ │ │ │ │ │ │ ├────────┼────┼────┼────┼────────┤ │ 2015-05-29 │ 2.81 │ 2.69 │ 2.75 │ -4.35% │ │ │ │ │ │ │ ├────────┼────┼────┼────┼────────┤ │ 2015-05-15 │ - │ - │ - │ - │ │ │ │ │ │ │ ├────────┼────┼────┼────┼────────┤ │ 2015-04-30 │ 2.94 │ 2.81 │ 2.88 │ -7.99% │ │ │ │ │ │ │ ├────────┼────┼────┼────┼────────┤ │ 2015-04-15 │ - │ - │ - │ - │ │ │ │ │ │ │ ├────────┼────┼────┼────┼────────┤ │ 2015-03-31 │ 3.19 │ 3.06 │ 3.13 │ -3.69% │ │ │ │ │ │ │ ├────────┼────┼────┼────┼────────┤ │ 2015-03-13 │ - │ - │ - │ - │ │ │ │ │ │ │ ├────────┼────┼────┼────┼────────┤ │ 2015-02-26 │ 3.31 │ 3.19 │ 3.25 │ -3.85% │ │ │ │ │ │ │ ├────────┼────┼────┼────┼────────┤ │ 2015-02-13 │ - │ - │ - │ - │ │ │ │ │ │ │ ├────────┼────┼────┼────┼────────┤ │ 2015-01-30 │ 3.44 │ 3.31 │ 3.38 │ -5.85% │ │ │ │ │ │ │ ├────────┼────┼────┼────┼────────┤ │ 2015-01-15 │ - │ - │ - │ - │ │ │ │ │ │ │ ├────────┼────┼────┼────┼────────┤ │ 2014-12-31 │ 3.69 │ 3.5 │ 3.59 │ 0.00% │ │ │ │ │ │ │ ├────────┼────┼────┼────┼────────┤ │ 2014-12-15 │ 3.69 │ 3.5 │ 3.59 │ -1.91% │ │ │ │ │ │ │ ├────────┼────┼────┼────┼────────┤ │ 2014-11-28 │ 3.69 │ 3.63 │ 3.66 │ 0.00% │ │ │ │ │ │ │ ├────────┼────┼────┼────┼────────┤ │ 2014-11-14 │ 3.69 │ 3.63 │ 3.66 │ -3.17% │ │ │ │ │ │ │ ├────────┼────┼────┼────┼────────┤ │ 2014-10-31 │ 3.88 │ 3.75 │ 3.78 │ 0.00% │ │ │ │ │ │ │ ├────────┼────┼────┼────┼────────┤ │ 2014-10-15 │ 3.81 │ 3.75 │ 3.78 │ 2.44% │ │ │ │ │ │ │ ├────────┼────┼────┼────┼────────┤ │ 2014-09-30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9-15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8-29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8-15 │ 3.81 │ 3.56 │ 3.69 │ 0.00% │ │ │ │ │ │ │ ├────────┼────┼────┼────┼────────┤ │ 2014-07-31 │ 3.81 │ 3.56 │ 3.69 │ 5.43% │ │ │ │ │ │ │ ├────────┼────┼────┼────┼────────┤ │ 2014-07-15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6-30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5-30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5-15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4-30 │ 3.56 │ 3.44 │ 3.5 │ 0.00% │ │ │ │ │ │ │ ├────────┼────┼────┼────┼────────┤ │ 2014-04-15 │ 3.56 │ 3.44 │ 3.5 │ -3.58% │ │ │ │ │ │ │ ├────────┼────┼────┼────┼────────┤ │ 2014-03-31 │ 3.69 │ 3.56 │ 3.63 │ -1.63% │ │ │ │ │ │ │ ├────────┼────┼────┼────┼────────┤ │ 2014-02-27 │ 3.75 │ 3.63 │ 3.69 │ -1.60% │ │ │ │ │ │ │ ├────────┼────┼────┼────┼────────┤ │ 2014-02-14 │ 3.81 │ 3.69 │ 3.75 │ -1.57% │ │ │ │ │ │ │ ├────────┼────┼────┼────┼────────┤ │ 2014-02-05 │ 3.94 │ 3.69 │ 3.81 │ 0.00% │ │ │ │ │ │ │ ├────────┼────┼────┼────┼────────┤ │ 2014-01-14 │ 3.94 │ 3.44 │ 3.81 │ -3.30% │ │ │ │ │ │ │ ├────────┼────┼────┼────┼────────┤ │ 2013-12-31 │ 4.06 │ 3.44 │ 3.94 │ 0.00% │ │ │ │ │ │ │ ├────────┼────┼────┼────┼────────┤ │ 2013-12-16 │ 4.06 │ 3.44 │ 3.94 │ 3.41% │ │ │ │ │ │ │ ├────────┼────┼────┼────┼────────┤ │ 2013-11-29 │ 4.06 │ 3.44 │ 3.81 │ 3.25% │ │ │ │ │ │ │ ├────────┼────┼────┼────┼────────┤ │ 2013-11-15 │ 3.94 │ 3.44 │ 3.69 │ 0.00% │ │ │ │ │ │ │ ├────────┼────┼────┼────┼────────┤ │ 2013-10-30 │ 3.94 │ 3.44 │ 3.69 │ 0.00% │ │ │ │ │ │ │ ├────────┼────┼────┼────┼────────┤ │ 2013-10-15 │ 3.94 │ 3.44 │ 3.69 │ 7.27% │ │ │ │ │ │ │ ├────────┼────┼────┼────┼────────┤ │ 2013-09-27 │ 3.69 │ 3.31 │ 3.44 │ 8.86% │ │ │ │ │ │ │ ├────────┼────┼────┼────┼────────┤ │ 2013-08-30 │ 3.19 │ 3.13 │ 3.16 │ 0.00% │ │ │ │ │ │ │ ├────────┼────┼────┼────┼────────┤ │ 2013-08-14 │ 3.19 │ 3.13 │ 3.16 │ 0.00% │ │ │ │ │ │ │ ├────────┼────┼────┼────┼────────┤ │ 2013-07-31 │ 3.19 │ 3.13 │ 3.16 │ 0.00% │ │ │ │ │ │ │ ├────────┼────┼────┼────┼────────┤ │ 2013-07-18 │ 3.19 │ 3.13 │ 3.16 │ 2.27% │ │ │ │ │ │ │ ├────────┼────┼────┼────┼────────┤ │ 2013-06-26 │ 3.13 │ 3.06 │ 3.09 │ 0.00% │ │ │ │ │ │ │ ├────────┼────┼────┼────┼────────┤ │ 2013-06-14 │ 3.13 │ 3.06 │ 3.09 │ 0.98% │ │ │ │ │ │ │ ├────────┼────┼────┼────┼────────┤ │ 2013-05-31 │ 3.13 │ 3 │ 3.06 │ 0.00% │ │ │ │ │ │ │ ├────────┼────┼────┼────┼────────┤ │ 2013-05-15 │ 3.13 │ 3 │ 3.06 │ 2.00% │ │ │ │ │ │ │ ├────────┼────┼────┼────┼────────┤ │ 2013-04-30 │ 3.06 │ 2.94 │ 3 │ 4.17% │ │ │ │ │ │ │ ├────────┼────┼────┼────┼────────┤ │ 2013-04-12 │ 2.94 │ 2.81 │ 2.88 │ 9.51% │ │ │ │ │ │ │ ├────────┼────┼────┼────┼────────┤ │ 2013-03-29 │ 2.69 │ 2.56 │ 2.63 │ 2.73% │ │ │ │ │ │ │ ├────────┼────┼────┼────┼────────┤ │ 2013-03-15 │ 2.63 │ 2.5 │ 2.56 │ 18.52% │ │ │ │ │ │ │ ├────────┼────┼────┼────┼────────┤ │ 2013-02-25 │ 2.19 │ 1.13 │ 2.16 │ 13.09% │ │ │ │ │ │ │ ├────────┼────┼────┼────┼────────┤ │ 2013-01-29 │ 1.94 │ 1.88 │ 1.91 │ 3.80% │ │ │ │ │ │ │ ├────────┼────┼────┼────┼────────┤ │ 2013-01-15 │ 1.88 │ 1.81 │ 1.84 │ 10.84% │ │ │ │ │ │ │ ├────────┼────┼────┼────┼────────┤ │ 2012-12-28 │ 1.72 │ 1.63 │ 1.66 │ 1.84% │ │ │ │ │ │ │ ├────────┼────┼────┼────┼────────┤ │ 2012-12-14 │ 1.66 │ 1.59 │ 1.63 │ 2.52% │ │ │ │ │ │ │ ├────────┼────┼────┼────┼────────┤ │ 2012-11-29 │ 1.63 │ 1.56 │ 1.59 │ -4.22% │ │ │ │ │ │ │ ├────────┼────┼────┼────┼────────┤ │ 2012-11-13 │ 1.69 │ 1.63 │ 1.66 │ 0.00% │ │ │ │ │ │ │ ├────────┼────┼────┼────┼────────┤ │ 2012-10-30 │ 1.69 │ 1.63 │ 1.66 │ -1.78% │ │ │ │ │ │ │ ├────────┼────┼────┼────┼────────┤ │ 2012-10-15 │ 1.72 │ 1.66 │ 1.69 │ -1.74% │ │ │ │ │ │ │ ├────────┼────┼────┼────┼────────┤ │ 2012-09-27 │ 1.75 │ 1.69 │ 1.72 │ -6.52% │ │ │ │ │ │ │ ├────────┼────┼────┼────┼────────┤ │ 2012-09-12 │ 1.88 │ 1.81 │ 1.84 │ -5.15% │ │ │ │ │ │ │ ├────────┼────┼────┼────┼────────┤ │ 2012-08-31 │ 2 │ 1.88 │ 1.94 │ -4.43% │ │ │ │ │ │ │ ├────────┼────┼────┼────┼────────┤ │ 2012-08-20 │ 2.06 │ 2 │ 2.03 │ -6.02% │ │ │ │ │ │ │ ├────────┼────┼────┼────┼────────┤ │ 2012-07-30 │ 2.19 │ 2.13 │ 2.16 │ -2.70% │ │ │ │ │ │ │ ├────────┼────┼────┼────┼────────┤ │ 2012-07-16 │ 2.25 │ 2.19 │ 2.22 │ │ │ │ │ │ │ │ └────────┴────┴────┴────┴────────┘ oakchu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中企 분기 해외직접투자 15억달러…역대 최대
中企 분기 해외직접투자 15억달러…역대 최대 5분기 연속 증가…대기업 해외직접투자는 감소 (서울=연합뉴스) 이승환 기자 = 중소기업이 해외에 직접 투자한 금액이 분기 기준으로 1조7천억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해외직접투자 통계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의 올해 2분기 해외직접투자금액(송금액 기준)은 15억 달러(약 1조7천153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 11억 달러보다 33.8% 증가했다. 해외직접투자금액이란 자사나 타사 해외 법인 지분 투자금 등 기업의 자본이 경영 참가를 목적으로 해외로 이동한 금액을 의미한다. 정은선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대리는 "중소기업의 올 2분기 투자금액은 해외직접투자 통계가 공개된 1980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라며 "제조업과 부동산 임대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늘면서 중소기업의 전체 분기 해외투자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지난해 2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올 1분기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액은 14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163.2% 급증했다. 반면 대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올 2분기 들어 다시 감소했다. 대기업의 올 1분기 해외 투자는 65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6.6% 증가했으나 지난 2분기 투자금액은 50억 달러에 그쳐 2.8% 감소했다. 또 중소기업이 전체 기업(대기업·중소기업·비영리단체 등)의 해외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나 대기업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의 올 상반기 해외투자비중은 77.4%로 전년 동기보다 3.6%포인트(p) 하락했으나 중소기업의 비중은 7.1%포인트 상승해 19.6%를 기록했다. 2015년 이후 분기별 해외직접투자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대기업 │중소기업 │ ├────────────┼────────────┼───────────┤ │2015 1/4 │5,548 │535 │ ├────────────┼────────────┼───────────┤ │2015 2/4 │5,183 │1,124 │ ├────────────┼────────────┼───────────┤ │2015 3/4 │5,478 │1,341 │ ├────────────┼────────────┼───────────┤ │2015 4/4 │5,621 │1,123 │ ├────────────┼────────────┼───────────┤ │2016 1/4 │6,468 │1,408 │ ├────────────┼────────────┼───────────┤ │2016 2/4 │5,037 │1,504 │ └────────────┴────────────┴───────────┘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iam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中企 분기 해외직접투자 15억달러…역대 최대 5분기 연속 증가…대기업 해외직접투자는 감소 (서울=연합뉴스) 이승환 기자 = 중소기업이 해외에 직접 투자한 금액이 분기 기준으로 1조7천억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해외직접투자 통계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의 올해 2분기 해외직접투자금액(송금액 기준)은 15억 달러(약 1조7천153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 11억 달러보다 33.8% 증가했다. 해외직접투자금액이란 자사나 타사 해외 법인 지분 투자금 등 기업의 자본이 경영 참가를 목적으로 해외로 이동한 금액을 의미한다. 정은선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대리는 "중소기업의 올 2분기 투자금액은 해외직접투자 통계가 공개된 1980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라며 "제조업과 부동산 임대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늘면서 중소기업의 전체 분기 해외투자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지난해 2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올 1분기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액은 14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163.2% 급증했다. 반면 대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올 2분기 들어 다시 감소했다. 대기업의 올 1분기 해외 투자는 65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6.6% 증가했으나 지난 2분기 투자금액은 50억 달러에 그쳐 2.8% 감소했다. 또 중소기업이 전체 기업(대기업·중소기업·비영리단체 등)의 해외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나 대기업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의 올 상반기 해외투자비중은 77.4%로 전년 동기보다 3.6%포인트(p) 하락했으나 중소기업의 비중은 7.1%포인트 상승해 19.6%를 기록했다. <표> 2015년 이후 분기별 해외직접투자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대기업 │중소기업 │ ├────────────┼────────────┼───────────┤ │2015 1/4 │5,548 │535 │ ├────────────┼────────────┼───────────┤ │2015 2/4 │5,183 │1,124 │ ├────────────┼────────────┼───────────┤ │2015 3/4 │5,478 │1,341 │ ├────────────┼────────────┼───────────┤ │2015 4/4 │5,621 │1,123 │ ├────────────┼────────────┼───────────┤ │2016 1/4 │6,468 │1,408 │ ├────────────┼────────────┼───────────┤ │2016 2/4 │5,037 │1,504 │ └────────────┴────────────┴───────────┘ ※ 출처: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iam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삼성전자, 프린팅사업부 자회사로 분할…1년내 HP로 매각
삼성전자, 프린팅사업부 자회사로 분할…1년내 HP로 매각 오늘 창립기념일…수원서 조용한 기념식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삼성전자[005930] 프린팅솔루션사업부가 1일 자회사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S-Printing Solution Co. Ltd)'로 공식 출범했다. 동시에 삼성전자는 제47회 창립기념일을 맞아 별도로 기념식을 연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27일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프린팅사업부의 분할을 승인한 바 있다. 분할된 에스프린팅솔루션은 1년 이내에 미국 휴렛팩커드(HP)로 매각되는 수순을 밟게 된다. 에스프린팅솔루션의 창립총회는 2일, 분할등기일은 4일이다. 회사 이름은 2일 창립총회에서 달라질 수도 있다. 대표이사는 삼성전자 프린팅사업부장을 맡았던 김기호 부사장이 맡을 예정이다. 사내이사로는 프린팅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송성원 전무와 지원팀장 김영욱 상무가, 감사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경영지원그룹 박순철 상무가 맡기로 했다. 프린팅사업부 임직원 6천여명은 일단 기존 삼성전자 사업장에서 근무를 계속할 예정이다. 앞서 프린팅사업부 임직원이 꾸린 임시비상대책위원회는 사측과 고용보장, 위로금 지급 등을 두고 협상을 벌였다. 8차례에 걸친 협상 끝에 양측은 임직원 1인당 평균 6천만원 가량의 위로금을 지급하고 인위적인 고용보장을 하지 않는다는 데 합의했다. 위로금은 애초 사측이 제시한 5천만원보다 1천만원가량 많은 수준이다.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임시주총에서 매각 안건 결의 직후 "그동안 핵심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잘할 수 있는 사업에 집중해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사업조정을 지속 추진해왔으며 이번 매각 결정도 같은 목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프린터 분야 세계 1위인 HP는 에스프린팅솔루션 양도로 입지를 더 공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HP는 삼성전자가 프린팅 사업 초기에 전략적 협업 관계를 맺었던 회사이기도 하다. 매각 이후에도 HP가 국내에서 생산한 프린터는 삼성전자 브랜드로 대행해 판매될 예정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오전 삼성전자 수원 삼성디지털시티에서는 제47회 창립기념식을 연다. 행사에는 권오현 부회장 등을 비롯해 임직원들이 참석한다. 권 부회장은 임직원을 상대로 연설하고 장기 근속직원 등에게 상패를 전달할 계획이다. 권 부회장은 최근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 등으로 회사 안팎의 위기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침체된 분위기를 수습하고 직원들을 격려하는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달 27일 등기이사에 오른 이재용 부회장은 예년과 같이 창립기념식에는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삼성전자, 프린팅사업부 자회사로 분할…1년내 HP로 매각 오늘 창립기념일…수원서 조용한 기념식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삼성전자[005930] 프린팅솔루션사업부가 1일 자회사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S-Printing Solution Co. Ltd)'로 공식 출범했다. 동시에 삼성전자는 제47회 창립기념일을 맞아 별도로 기념식을 연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27일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프린팅사업부의 분할을 승인한 바 있다. 분할된 에스프린팅솔루션은 1년 이내에 미국 휴렛팩커드(HP)로 매각되는 수순을 밟게 된다. 에스프린팅솔루션의 창립총회는 2일, 분할등기일은 4일이다. 회사 이름은 2일 창립총회에서 달라질 수도 있다. 대표이사는 삼성전자 프린팅사업부장을 맡았던 김기호 부사장이 맡을 예정이다. 사내이사로는 프린팅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송성원 전무와 지원팀장 김영욱 상무가, 감사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 경영지원그룹 박순철 상무가 맡기로 했다. 프린팅사업부 임직원 6천여명은 일단 기존 삼성전자 사업장에서 근무를 계속할 예정이다. 앞서 프린팅사업부 임직원이 꾸린 임시비상대책위원회는 사측과 고용보장, 위로금 지급 등을 두고 협상을 벌였다. 8차례에 걸친 협상 끝에 양측은 임직원 1인당 평균 6천만원 가량의 위로금을 지급하고 인위적인 고용보장을 하지 않는다는 데 합의했다. 위로금은 애초 사측이 제시한 5천만원보다 1천만원가량 많은 수준이다.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임시주총에서 매각 안건 결의 직후 "그동안 핵심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잘할 수 있는 사업에 집중해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사업조정을 지속 추진해왔으며 이번 매각 결정도 같은 목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프린터 분야 세계 1위인 HP는 에스프린팅솔루션 양도로 입지를 더 공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HP는 삼성전자가 프린팅 사업 초기에 전략적 협업 관계를 맺었던 회사이기도 하다. 매각 이후에도 HP가 국내에서 생산한 프린터는 삼성전자 브랜드로 대행해 판매될 예정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오전 삼성전자 수원 삼성디지털시티에서는 제47회 창립기념식을 연다. 행사에는 권오현 부회장 등을 비롯해 임직원들이 참석한다. 권 부회장은 임직원을 상대로 연설하고 장기 근속직원 등에게 상패를 전달할 계획이다. 권 부회장은 최근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 등으로 회사 안팎의 위기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침체된 분위기를 수습하고 직원들을 격려하는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달 27일 등기이사에 오른 이재용 부회장은 예년과 같이 창립기념식에는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EBS, 서울 강남 본사 사옥 공개매각
EBS, 서울 강남 본사 사옥 공개매각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 EBS(한국교육방송공사)는 1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 소재 본사 사옥을 공개 매각한다고 밝혔다. EBS는 오는 2017년 경기도 고양시 일산 디지털통합사옥 이전을 앞두고 본사 건물을 한국자산관리공사 전자자산처분시스템 온비드(www.onbid.co.kr)를 통해 전자입찰 방식으로 공개 매각한다고 설명했다. EBS 본사 사옥은 대지면적 3천568.5㎡, 연면적 1만8천491.54㎡의 지하 3층, 지상 7층 건물이다. 입찰 기간은 오는 25일 오후 4시까지이며, 매각 예정가격은 626억 2천894만 4천480원이다. 개찰은 28일 오전 11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pr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EBS, 서울 강남 본사 사옥 공개매각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 EBS(한국교육방송공사)는 1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 소재 본사 사옥을 공개 매각한다고 밝혔다. EBS는 오는 2017년 경기도 고양시 일산 디지털통합사옥 이전을 앞두고 본사 건물을 한국자산관리공사 전자자산처분시스템 온비드(www.onbid.co.kr)를 통해 전자입찰 방식으로 공개 매각한다고 설명했다. EBS 본사 사옥은 대지면적 3천568.5㎡, 연면적 1만8천491.54㎡의 지하 3층, 지상 7층 건물이다. 입찰 기간은 오는 25일 오후 4시까지이며, 매각 예정가격은 626억 2천894만 4천480원이다. 개찰은 28일 오전 11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pr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첫페이지
이전페이지
5284
5285
5286
5287
5288
5289
5290
5291
5292
5293
다음페이지
마지막페이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