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상넷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검색영역
검색어입력
한상소식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검색
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비즈니스 정보
한상기업 정보
글로벌 파트너십
한상비즈니스자문단
한상기업 제휴
유통채널 안내
제품홍보
1:1 비즈니스 매칭
국내·외 경제정보
산업∙경제 이슈
부처별 경제정보
Biz News Korea(Eng)
국내청년의 동포기업 인턴십
인턴십 소개
인턴십이란
지원절차 안내
인턴십 FAQ
인턴십 지원
인턴십 수기
안전 공지사항
세계한인 비즈니스대회 (세계한상대회)
대회 소개
대회개요
대회 FAQ
등록 안내
등록방법 안내
리뷰한상
결과보고
사진자료
영상자료
세계한상대회 20년사
정보센터
이벤트/설문
이벤트
당첨자 발표
뉴스레터
묻고 답하기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한상소식
세계한상소식
한상뉴스
한상소식
공지사항
입찰/행사/채용
한상뉴스
국내를 포함한 세계 지역경제 소식, 한상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본 메뉴는 외부사이트의 뉴스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시는 뉴스의 의미 전달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체
(61061)
국내
(60048)
아시아/대양주
(273)
북아메리카
(617)
남아메리카
(26)
유럽
(74)
중동/아프리카
(20)
독립국가연합
(3)
게시글 검색
검색기간
~
종료조회기간
(예시:19990101)
보기조건 갯수 선택
10개 보기
20개 보기
30개 보기
5290/6107
페이지
(전체 61061)
검색분류선택
제목
내용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국내]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등급 재평가 기간 1년 연장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등급 재평가 기간 1년 연장 연속 1등급 판정 시 최대 3년에서 4년으로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등급 유효기간이 내년부터 최대 4년으로 늘어난다. 신체·정신적 기능에 큰 변화가 없는데도 너무 자주 새 등급을 판정받아야 했던 불편이 다소나마 개선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현재 모든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처음 등급을 판정받은 지 1년이 지나면 다시 등급을 평가받아야 한다. 그러나 신체·정신적 기능 상태가 쉽게 호전되지 않는 노인 수급자의 특성상 대부분은 연속으로 같은 등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등급 재판정을 받을 때 최초 판정 때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도 수급자들의 불만을 키우는 원인이 됐다. 복지부는 개정안에 따라 1차 갱신 결과 같은 등급을 받는 경우 1등급은 3년→4년으로, 2∼4등급은 2년→3년으로 각각 등급 유효기간을 1년씩 연장했다. 다만, 5등급은 등급 변동률이 높은 현실을 고려해 현행과 같이 2년을 유지하기로 했다. 개정안에는 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부당청구에 가담한 사실이 적발된 직원에게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를 물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복지부는 "원장의 지시에 따를 수밖에 없는 직원들에게 과태료를 물리는 것이 적정한가 논란이 있었지만, 이런 불법행위에 가담한 직원들을 처벌한다는 의미보다는 가담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의미로 이런 내용을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junm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장기요양보험 수급자 등급 재평가 기간 1년 연장 연속 1등급 판정 시 최대 3년에서 4년으로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의 등급 유효기간이 내년부터 최대 4년으로 늘어난다. 신체·정신적 기능에 큰 변화가 없는데도 너무 자주 새 등급을 판정받아야 했던 불편이 다소나마 개선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현재 모든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처음 등급을 판정받은 지 1년이 지나면 다시 등급을 평가받아야 한다. 그러나 신체·정신적 기능 상태가 쉽게 호전되지 않는 노인 수급자의 특성상 대부분은 연속으로 같은 등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등급 재판정을 받을 때 최초 판정 때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도 수급자들의 불만을 키우는 원인이 됐다. 복지부는 개정안에 따라 1차 갱신 결과 같은 등급을 받는 경우 1등급은 3년→4년으로, 2∼4등급은 2년→3년으로 각각 등급 유효기간을 1년씩 연장했다. 다만, 5등급은 등급 변동률이 높은 현실을 고려해 현행과 같이 2년을 유지하기로 했다. 개정안에는 또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부당청구에 가담한 사실이 적발된 직원에게 최대 300만원의 과태료를 물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복지부는 "원장의 지시에 따를 수밖에 없는 직원들에게 과태료를 물리는 것이 적정한가 논란이 있었지만, 이런 불법행위에 가담한 직원들을 처벌한다는 의미보다는 가담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의미로 이런 내용을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junm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새마을금고 '꺾기' 금지·금고감독위 신설
새마을금고 '꺾기' 금지·금고감독위 신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새마을금고가 대출해줄 때 금융상품 가입을 강요하는 이른바 '꺾기'를 법적으로 금지하고 새마을금고 중앙회에 금고감독위원회를 신설한다. 행정자치부는 새마을금고 금융소비자의 권익보호와 관리 감독을 강화한 내용의 새마을금고법 개정안이 1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금융기관의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대출 시 예·적금 등 상품가입을 강요하는 불공정여신거래행위(꺾기)를 제한한다는 규정을 마련했다. 또 중앙회 공제상품(실손의료공제)을 판매할 때 중복계약에 따른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 중복계약 여부를 새마을금고가 계약 예정자에게 고지하는 의무도 신설했다. 이밖에 금고감독위원회를 신설해 새마을금고 중앙회가 단위 금고를 감독할 때 기존 지도감독이사 1인 체제에서 위원 5명으로 구성하는 위원회 체제로 개편했다. 중앙회 감사위원 선출 방식도 기존 이사회 선출에서 총회 선출로 바꾸고 과반수를 외부 인사로 충원해 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했다. 금고 이사장 선서제도를 개편해 대의원제를 채택한 금고에서는 간선제로만 선출했던 것을 회원 직선으로도 선출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자체 선거관리위원회의 공정성을 강화하는 조치로 선관위원 가운데 2명은 외부인사를 위촉하고 공명선거감시단을 두도록 했다. justdus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새마을금고 '꺾기' 금지·금고감독위 신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새마을금고가 대출해줄 때 금융상품 가입을 강요하는 이른바 '꺾기'를 법적으로 금지하고 새마을금고 중앙회에 금고감독위원회를 신설한다. 행정자치부는 새마을금고 금융소비자의 권익보호와 관리 감독을 강화한 내용의 새마을금고법 개정안이 1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금융기관의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대출 시 예·적금 등 상품가입을 강요하는 불공정여신거래행위(꺾기)를 제한한다는 규정을 마련했다. 또 중앙회 공제상품(실손의료공제)을 판매할 때 중복계약에 따른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 중복계약 여부를 새마을금고가 계약 예정자에게 고지하는 의무도 신설했다. 이밖에 금고감독위원회를 신설해 새마을금고 중앙회가 단위 금고를 감독할 때 기존 지도감독이사 1인 체제에서 위원 5명으로 구성하는 위원회 체제로 개편했다. 중앙회 감사위원 선출 방식도 기존 이사회 선출에서 총회 선출로 바꾸고 과반수를 외부 인사로 충원해 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했다. 금고 이사장 선서제도를 개편해 대의원제를 채택한 금고에서는 간선제로만 선출했던 것을 회원 직선으로도 선출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자체 선거관리위원회의 공정성을 강화하는 조치로 선관위원 가운데 2명은 외부인사를 위촉하고 공명선거감시단을 두도록 했다. justdus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코스피> 4.78p(0.24%) 내린 2,003.41(개장)
4.78p(0.24%) 내린 2,003.41(개장)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코스피> 4.78p(0.24%) 내린 2,003.41(개장)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LS전선아시아, 베트남 대규모 전력지중화 사업 참여
LS전선아시아, 베트남 대규모 전력지중화 사업 참여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LS전선아시아는 베트남의 전력 지중화 사업에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한다고 1일 밝혔다. LS전선아시아의 베트남 LS[006260]-VINA(LS 비나) 법인은 최근 베트남 전력청과 220kV급 초고압 케이블 등을 500만달러(약 57억원)에 공급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LS-VINA는 내년 상반기 베트남 남부 호찌민시 도심의 전력망을 확충하는 공사에 케이블을 납품한다. 베트남은 몇 년 전 일부 지중화 사업을 한 적은 있지만 아직 전력망 대부분은 철탑과 전신주로 연결되는 가공 케이블로 구성돼 있다. 전력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는 지중화 사업에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베트남 정부는 2014년 호찌민에서 트럭이 전신주와 충돌해 도시 절반이 정전되는 사태가 벌어지자 지중화 계획을 발표하고 올해부터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를 위해 베트남 전력청은 아시아개발은행(ADB) 등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 명노현 LS전선아시아 대표는 "향후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해외자본의 지원을 받는 전력망 구축 사업이 늘어날 것"이라며 매출 확대를 기대했다. LS-VINA는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 메콩 강 유역 4개국에서 유일하게 고압의 지중 케이블 생산이 가능한 업체이다. 최근 싱가포르와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 주변 아세안 국가, 유럽과 남미 등에도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LS전선아시아, 베트남 대규모 전력지중화 사업 참여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LS전선아시아는 베트남의 전력 지중화 사업에 초고압 케이블을 공급한다고 1일 밝혔다. LS전선아시아의 베트남 LS[006260]-VINA(LS 비나) 법인은 최근 베트남 전력청과 220kV급 초고압 케이블 등을 500만달러(약 57억원)에 공급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LS-VINA는 내년 상반기 베트남 남부 호찌민시 도심의 전력망을 확충하는 공사에 케이블을 납품한다. 베트남은 몇 년 전 일부 지중화 사업을 한 적은 있지만 아직 전력망 대부분은 철탑과 전신주로 연결되는 가공 케이블로 구성돼 있다. 전력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는 지중화 사업에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베트남 정부는 2014년 호찌민에서 트럭이 전신주와 충돌해 도시 절반이 정전되는 사태가 벌어지자 지중화 계획을 발표하고 올해부터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를 위해 베트남 전력청은 아시아개발은행(ADB) 등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 명노현 LS전선아시아 대표는 "향후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해외자본의 지원을 받는 전력망 구축 사업이 늘어날 것"이라며 매출 확대를 기대했다. LS-VINA는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 메콩 강 유역 4개국에서 유일하게 고압의 지중 케이블 생산이 가능한 업체이다. 최근 싱가포르와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 주변 아세안 국가, 유럽과 남미 등에도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中 북한산 석탄 가장 많이 수입하는 중국 성은 산둥"
"中 북한산 석탄 가장 많이 수입하는 중국 성은 산둥" VOA, 주로 배 통해 수출된 것으로 분석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북한의 대중국 석탄 수출이 대북제재의 '구멍'으로 꼽히는 가운데 중국에서 올해 북한산 석탄(무연탄)을 가장 많이 수입한 지역은 산둥(山東)성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일 보도했다. VOA는 중국 해관총서와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동성이 올해 들어 9월까지 북한산 석탄 약 2억8천만달러(약 3천200억원) 어치를 사들였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으로 들어가는 북한산 석탄의 37%에 달한다고 VOA는 설명했다. 이 기간 북한의 대중 석탄 수출은 총 7억6천만달러(약 8천700억원)로, 전체 대중 수출의 40%에 달했다. 산둥성에 이어 장쑤(江蘇)성(1억7천만달러), 허베이(河北)성(1억6천만달러), 랴오닝(遼寧)성(9천100만달러)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철강과 도자기, 그리고 각종 금속처리 업체가 밀집한 장소로, 북한에서 중국에 수출되는 석탄은 주로 이런 업체들이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VOA는 전했다. VOA는 또 "북한과 인접한 랴오닝성이나 지린(吉林)성보다는 산둥성이나 허베이성, 그리고 장쑤성으로 북한산 석탄이 더 많이 수출됐다"면서 "철도보다는 주로 배를 통해 중국에 수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산 석탄은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중국의 석탄 수입시장에서 약 72%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산 석탄의 중국 수출은 지난 3년간 계속 줄었다. 2014년 약 17%, 지난해 7.6%, 올해는 지난 9월까지 8.3% 각각 감소했다. VOA는 "지난 몇 년간 석탄 가격이 계속 내려가고, 북한산 석탄의 주 고객인 중국 철강업계의 불황으로 석탄 수입을 줄인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면서도 "최근 석탄의 국제시세가 크게 오르고 북한당국이 수출 물량을 대폭 늘리면서 무연탄은 여전히 대중 수출 1위 품목을 지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2270호는 북한산 석탄과 철광석의 교역을 '민생 목적'인 경우로 제한하고 있다. 한국·미국·일본은 지난 9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대중 석탄 수출까지 차단하는 수준의 안보리 결의를 희망하고 있으나, 중국은 민생용 교역은 허용돼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中 북한산 석탄 가장 많이 수입하는 중국 성은 산둥" VOA, 주로 배 통해 수출된 것으로 분석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북한의 대중국 석탄 수출이 대북제재의 '구멍'으로 꼽히는 가운데 중국에서 올해 북한산 석탄(무연탄)을 가장 많이 수입한 지역은 산둥(山東)성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일 보도했다. VOA는 중국 해관총서와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동성이 올해 들어 9월까지 북한산 석탄 약 2억8천만달러(약 3천200억원) 어치를 사들였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으로 들어가는 북한산 석탄의 37%에 달한다고 VOA는 설명했다. 이 기간 북한의 대중 석탄 수출은 총 7억6천만달러(약 8천700억원)로, 전체 대중 수출의 40%에 달했다. 산둥성에 이어 장쑤(江蘇)성(1억7천만달러), 허베이(河北)성(1억6천만달러), 랴오닝(遼寧)성(9천100만달러)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철강과 도자기, 그리고 각종 금속처리 업체가 밀집한 장소로, 북한에서 중국에 수출되는 석탄은 주로 이런 업체들이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VOA는 전했다. VOA는 또 "북한과 인접한 랴오닝성이나 지린(吉林)성보다는 산둥성이나 허베이성, 그리고 장쑤성으로 북한산 석탄이 더 많이 수출됐다"면서 "철도보다는 주로 배를 통해 중국에 수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산 석탄은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중국의 석탄 수입시장에서 약 72%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산 석탄의 중국 수출은 지난 3년간 계속 줄었다. 2014년 약 17%, 지난해 7.6%, 올해는 지난 9월까지 8.3% 각각 감소했다. VOA는 "지난 몇 년간 석탄 가격이 계속 내려가고, 북한산 석탄의 주 고객인 중국 철강업계의 불황으로 석탄 수입을 줄인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면서도 "최근 석탄의 국제시세가 크게 오르고 북한당국이 수출 물량을 대폭 늘리면서 무연탄은 여전히 대중 수출 1위 품목을 지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2270호는 북한산 석탄과 철광석의 교역을 '민생 목적'인 경우로 제한하고 있다. 한국·미국·일본은 지난 9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대중 석탄 수출까지 차단하는 수준의 안보리 결의를 희망하고 있으나, 중국은 민생용 교역은 허용돼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롯데, 베트남 청년창업 지원 나선다
롯데, 베트남 청년창업 지원 나선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최근 베트남 현지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롯데가 베트남 청년기업 지원에도 나선다. 롯데그룹의 창업 전문 지원 회사 롯데액셀러레이터와 롯데정보통신은 1일 베트남 하노이 백화기술대학교에서 베트남 과학기술부가 설립한 창업지원기관 VSV(Vietnam Silicon Valley), 백화과학기술대학교 기술지주회사 BK홀딩스와 베트남 우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발굴·육성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최원석 롯데정보통신 글로벌부문 상무, 타익 례 아잉(Thach Le Anh) VSV 대표, 응웬 쭝듕(Nguyen Trung Dung) BK홀딩스 대표 등이 참석한다. 협약식 이후에는 예선 심사를 거쳐 선발된 10개 우수 스타트업의 사업 계획 등이 발표된다. 최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3개 기업에는 5천 달러의 상금과 6개월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사무공간, 창업 컨설팅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VSV와 롯데액셀러레이터는 현지 스타트업의 보육과 투자를, 롯데정보통신과 BK홀딩스는 사무공간과 IT(정보통신) 인프라를 책임지고 지원한다. 이진성 롯데액셀러레이터 대표는 "청년 창업 열기가 뜨거운 베트남에서 우수 스타트업을 발굴, 지원할 뿐 아니라 국내 우수 스타트업과의 교류도 추진할 것"이라며 "베트남 신규 사업 확대 차원에서 사업성이 우수한 기업에는 적극적으로 투자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롯데그룹은 1998년 롯데리아로 처음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고, 현재 백화점·대형마트·호텔·시네마 등 10여 개 계열사가 현지에서 활발하게 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2014년 9월에는 하노이 시에 65층짜리 초고층 건물 '롯데센터 하노이'를 선보였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롯데, 베트남 청년창업 지원 나선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최근 베트남 현지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롯데가 베트남 청년기업 지원에도 나선다. 롯데그룹의 창업 전문 지원 회사 롯데액셀러레이터와 롯데정보통신은 1일 베트남 하노이 백화기술대학교에서 베트남 과학기술부가 설립한 창업지원기관 VSV(Vietnam Silicon Valley), 백화과학기술대학교 기술지주회사 BK홀딩스와 베트남 우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발굴·육성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최원석 롯데정보통신 글로벌부문 상무, 타익 례 아잉(Thach Le Anh) VSV 대표, 응웬 쭝듕(Nguyen Trung Dung) BK홀딩스 대표 등이 참석한다. 협약식 이후에는 예선 심사를 거쳐 선발된 10개 우수 스타트업의 사업 계획 등이 발표된다. 최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3개 기업에는 5천 달러의 상금과 6개월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사무공간, 창업 컨설팅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VSV와 롯데액셀러레이터는 현지 스타트업의 보육과 투자를, 롯데정보통신과 BK홀딩스는 사무공간과 IT(정보통신) 인프라를 책임지고 지원한다. 이진성 롯데액셀러레이터 대표는 "청년 창업 열기가 뜨거운 베트남에서 우수 스타트업을 발굴, 지원할 뿐 아니라 국내 우수 스타트업과의 교류도 추진할 것"이라며 "베트남 신규 사업 확대 차원에서 사업성이 우수한 기업에는 적극적으로 투자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롯데그룹은 1998년 롯데리아로 처음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고, 현재 백화점·대형마트·호텔·시네마 등 10여 개 계열사가 현지에서 활발하게 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2014년 9월에는 하노이 시에 65층짜리 초고층 건물 '롯데센터 하노이'를 선보였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10월 수출 419억달러로 작년比 3.2%↓…車파업·노트7단종 영향
10월 수출 419억달러로 작년比 3.2%↓…車파업·노트7단종 영향 반도체·유화는 호조…무역수지 72억달러 흑자로 57개월째 흑자 행진 (세종=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10월 수출액이 419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밝혔다. 지난 8월 20개월만에 반등에 성공한 뒤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지난 9월(-5.9%)보다는 감소율이 다소 줄었다. 10월 수출에는 자동차 파업과 갤럭시노트7 단종 등이 악영향을 미쳤다. 반도체와 석유화학 등은 호조세를 보였다. 수입액은 34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감소했다. 월간 무역수지 흑자는 72억 달러를 기록했다. 2012년 2월 이후 57개월째 흑자행진이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0월 수출 419억달러로 작년比 3.2%↓…車파업·노트7단종 영향 반도체·유화는 호조…무역수지 72억달러 흑자로 57개월째 흑자 행진 (세종=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10월 수출액이 419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밝혔다. 지난 8월 20개월만에 반등에 성공한 뒤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지난 9월(-5.9%)보다는 감소율이 다소 줄었다. 10월 수출에는 자동차 파업과 갤럭시노트7 단종 등이 악영향을 미쳤다. 반도체와 석유화학 등은 호조세를 보였다. 수입액은 34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감소했다. 월간 무역수지 흑자는 72억 달러를 기록했다. 2012년 2월 이후 57개월째 흑자행진이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10월 수출 419억달러로 작년比 3.2%↓…노트7단종 등 영향(종합)
10월 수출 419억달러로 작년比 3.2%↓…노트7단종 등 영향(종합) 반도체·유화는 호조…무역수지 72억달러 흑자로 57개월째 흑자 행진 (세종=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10월 수출액이 419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밝혔다. 지난 8월 20개월만에 반등에 성공한 뒤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지난 9월(-5.9%)보다는 감소율이 다소 줄었다. 10월 수출에는 자동차 파업, 갤럭시노트7 단종, 조업일수 감소 등이 악영향을 미쳤다. 산업부는 "여러 부정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전월대비 감소율은 축소됐다"며 "일평균 수출 감소율은 -1.1%를 기록해 지난 6월 -0.8%를 제외하면 올해 중 최소치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품목별로는 자동차와 무선통신기기의 수출액 하락폭이 컸다. 전년 대비 각각 11.8%, 28.1%씩 줄었다. 특히 무선통신기기의 감소폭은 2012년 7월 이후 4년3개월만에 최대치다. 반도체, 선박, 컴퓨터 등 3개 분야는 증가했다.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석유제품, 가전 등 5개 품목은 감소율이 줄었다.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23억8천만달러)와 컴퓨터(7억9천만달러)는 올해 최대 수출액을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액은 4억달러로 역대 2위의 월간 수출실적을 거뒀다. 지역별로는 대(對)중국 수출이 111억달러로 올해 최고 실적을 거뒀다. 다만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1.3% 줄었다. 대베트남 수출 증가세도 지속했고 유럽연합(EU), 아세안, 중동으로의 수출은 증가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은 여전히 부진했다. 수입액은 34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감소했다. 월간 무역수지 흑자는 72억 달러를 기록했다. 2012년 2월 이후 57개월째 흑자행진이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0월 수출 419억달러로 작년比 3.2%↓…노트7단종 등 영향(종합) 반도체·유화는 호조…무역수지 72억달러 흑자로 57개월째 흑자 행진 (세종=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10월 수출액이 419억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3.2%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밝혔다. 지난 8월 20개월만에 반등에 성공한 뒤 두 달 연속 하락세다. 지난 9월(-5.9%)보다는 감소율이 다소 줄었다. 10월 수출에는 자동차 파업, 갤럭시노트7 단종, 조업일수 감소 등이 악영향을 미쳤다. 산업부는 "여러 부정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전월대비 감소율은 축소됐다"며 "일평균 수출 감소율은 -1.1%를 기록해 지난 6월 -0.8%를 제외하면 올해 중 최소치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품목별로는 자동차와 무선통신기기의 수출액 하락폭이 컸다. 전년 대비 각각 11.8%, 28.1%씩 줄었다. 특히 무선통신기기의 감소폭은 2012년 7월 이후 4년3개월만에 최대치다. 반도체, 선박, 컴퓨터 등 3개 분야는 증가했다.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석유제품, 가전 등 5개 품목은 감소율이 줄었다.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23억8천만달러)와 컴퓨터(7억9천만달러)는 올해 최대 수출액을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액은 4억달러로 역대 2위의 월간 수출실적을 거뒀다. 지역별로는 대(對)중국 수출이 111억달러로 올해 최고 실적을 거뒀다. 다만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1.3% 줄었다. 대베트남 수출 증가세도 지속했고 유럽연합(EU), 아세안, 중동으로의 수출은 증가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은 여전히 부진했다. 수입액은 34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감소했다. 월간 무역수지 흑자는 72억 달러를 기록했다. 2012년 2월 이후 57개월째 흑자행진이다.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중국 10월 정부 제조업 PMI 51.2…예상치 상회(속보)
중국 10월 정부 제조업 PMI 51.2…예상치 상회(속보)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중국 10월 정부 제조업 PMI 51.2…예상치 상회(속보)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국내]
중국 10월 정부 제조업 PMI 51.2…2년3개월만에 최고
중국 10월 정부 제조업 PMI 51.2…2년3개월만에 최고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10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로 뛰어올랐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0월 정부 제조업 PMI가 51.2로 전달(50.4)보다 상승했다고 1일 발표했다. 지수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의 예상치(50.3)를 크게 웃돌면서 2014년 7월(51.7)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 제조업 PMI는 기준선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하다가 지난 8월 기준선 위로 올라선 뒤 상승세를 타고 있다. PMI가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 웃돌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비제조업 PMI는 54.0을 기록해 전월의 53.7보다 상승했다. 이는 작년 12월(54.4)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중국 10월 정부 제조업 PMI 51.2…2년3개월만에 최고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10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로 뛰어올랐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0월 정부 제조업 PMI가 51.2로 전달(50.4)보다 상승했다고 1일 발표했다. 지수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의 예상치(50.3)를 크게 웃돌면서 2014년 7월(51.7)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 제조업 PMI는 기준선 수준에서 등락을 거듭하다가 지난 8월 기준선 위로 올라선 뒤 상승세를 타고 있다. PMI가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 웃돌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비제조업 PMI는 54.0을 기록해 전월의 53.7보다 상승했다. 이는 작년 12월(54.4)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11.01
첫페이지
이전페이지
5285
5286
5287
5288
5289
5290
5291
5292
5293
5294
다음페이지
마지막페이지
더보기